• 제목/요약/키워드: 대혜종고

검색결과 1건 처리시간 0.013초

혜심(慧諶)의 『구자무불성화간병론(狗子無佛性話揀病論)』 찬술 배경과 내용 분석 - 간화십종병(看話十種病)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Writing Background and Contents of Hyesim's 「Gujamubulseonghwa Ganbyeongron(狗子無佛性話揀病論)」 - focusing on Ganhwa Sibjongbyeong(看話十種病) -)

  • 염중섭
    • 철학연구
    • /
    • 제148권
    • /
    • pp.183-211
    • /
    • 2018
  • 혜심(慧諶)은 최이(崔怡)의 무신정권 후원 하에 지눌(知訥)의 결사도장(結社道場)인 수선사(修禪社)를 확고한 위상으로 확립하는 중요한 인물이다. 본고에서는 혜심 선사상이 온축되어 있는 "간병론(揀病論)"의 배경과 핵심 내용인 십종병(十種病)을 검토해본 것이다. 이를 통해서 다음의 5가지를 새롭게 인지해 볼 수 있게 된다. 첫째, 십종병이 혜심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는 점. 이는 혜심이 지눌에게 인정받는 인가(印可)과정과, 혜심이 지눌의 유고(遺稿)를 간행한 "간화결의론(看話決疑論)", 그리고 "간병론"에서 공통적으로 십종병이 등장한다는 점을 통해서 확인된다. 둘째, "간병론"의 찬술은 지눌이 제기한 간화(看話) 경절(徑截)의 체계적인 발전인 동시에, 혜심의 수선사 내에서의 위상정립을 위한 것이라는 점. 셋째, 혜심은 "간병론"을 통해서 지눌이 제기한 간화경절의 체계를 확립하려고 했다는 점. 넷째, "간병론"의 결과는 종고와 지눌이 제기한 깨달음의 보편화를, 실행적인 측면에서 일반화하는 것이라는 점. 다섯째, 깨달음의 보편화는 최이 무신정권이 요구하는 시대적인 요청과 무관하지 않다는 점. 이상의 연구접근으로, "간병론"과 십종병 그리고 수선사 초기의 선불교적인 측면에 대해서 보다 분명한 이해를 수립해 볼 수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