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형 와구조

Search Result 15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Influence of Contact Types on the Stress Distributions in Large-Diameter Rolling Bearings (대형 구름 베어링의 접촉형태가 응력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이승렬;이영제;김청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5.06a
    • /
    • pp.54-64
    • /
    • 1995
  • 대표적인 대형 베어링인 일체형 볼 베어링과 와기어 레이스형 볼 또는 로울러 베어링의 마찰 특성을 비성형 유한요소 프로그램인 MARC를 사용하여 상호간의 마찰형상에 대한 접촉응력과 마찰력 특성을 비교 해석하였다. 특히 와이어 레이스식 슬루잉 링 베어링은 우수한 마찰특성 때문에 건설기계, 하역기계, 광산기계나 탱크와 같은 국방무기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접촉면의 변형에 따른 일체형의 볼 베어링은 마찰력과 기울기면에서 와이어 레이스식 베어링에 비하여 크고, 같은 와이어 레이스식 베어링에서는 마찰력의 경우 볼 타입이 로울러 탕입에 비하여 약간 크게 나타났다. 이들의 계산결과를 종합하면 와이어 레이스식 베어링이 일체형 베어링에 비하여 마찰특성이 우수하고, 특히 와이어 레이스 베어링중에서 로울러 타입은 마찰 토오크면에서 균일하기 때문에 베어링을 사용한 제어기능 설계에서 특히 우수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유한요소 해석결과는 기존의 실험결과와 잘 일치하고 있어서 슬루잉 링 베어링의 최적설계에 유한요소 해석의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을 연결하기 위한 체결볼트의 구멍은 하중조건에 따라서 구조적 불안정성을 야기할 수 있음도 확인하였다.

  • PDF

사고사례 - 송파 고시원 화재 사례

  • Hwang, Tae-Yeon
    • 방재와보험
    • /
    • s.116
    • /
    • pp.60-65
    • /
    • 2006
  • 해마다 고시원에서 대형 인명피해를 수반하는 화재가 발생하고 있다. 고시원이 갖고 있는 구조적인 문제점과 고시원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대책 등에 대해 알아보자.

  • PDF

Plasma Surface Modification of Glass Fiber and Fabrication of the Glass Fiber/Fluoro-Polymer Composite (유리섬유의 플라즈마 표면개질과 유리섬유/불소고분자 복합재료의 형성)

  • 이승구;박영민;최성신;김동철;주창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485-488
    • /
    • 2002
  • 최근 산업용 유리섬유는 고부가가치 응용분야로 대형 막구조(membrane structure)와 의공학 부품, 인쇄회로기판 등에 응용되고 있으며, 광통신의 주체인 광섬유로 활용되며 점차 그 용도를 넓혀가고 있다. 특히, 근래에 관심을 모으는 유리섬유 복합재료를 이용한 대형 막구조물은 경제성과 건축의 용이성 및 신속성 면에서 기존 건축구조보다 유리하고, 내구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그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중략)

  • PDF

The effect of variations to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s community after river environment improvement in the Osan Stream (오산천 하천환경정비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변화에 미치는 영향)

  • Kim, Jea-Su;Kwon, Yong-Duk;Kim, Seong-Hwan;Kim, Kook-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977-981
    • /
    • 2006
  • 본 연구는 오산천 하천환경정비로 인하여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2년 6월부터 2005년 11월까지 5개지점을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중 출현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4문 7강 16목 38과 81종이었으며, 년도별로는 2002년에는 총 55종이 출현하였으나, 2004년에는 36종으로 종수가 급감하였다. ESB에 따른 군집의 생태점수는 2003년도에 45.4에서 2004년도에는 21.7로 낮아졌다가 2005년도에는 31.2로 높아졌다. 이는 하천환경정비공사로 일시적인 교란을 일으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변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종조성의 변화로는 상류부의 경우 환경정비공사 완료 후 생태계안정화와 추이대가 복원되면서 1급수 지표종인 플라나리아(Dugesia japonica)와 옆새우(Gammarus sp.)가 출현하여 다양한 군집을 형성하고 있었다. 하류의 경우는 군집의 종조성이 빈약하지만 공사가 마무리 단계에 들어가면서 수서생물의 서식처가 안정화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처럼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서식에 영향을 주는 하상의 물리적 구조와 이와 연관된 유기물 퇴적층과 토사 퇴적층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하여 하도특성에 맞는 안정된 군집구조가 형성될 수 있도록 대체서식처를 하천환경정비계획 수립 시 고려하여야 한다.

  • PDF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Variables on Macrobenthic Communities after Dike Construction in Asan Bay, Korea (방조제 건설이후 아산만 대형저서동물 군집 구조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

  • Yu, Ok-Hwan;Lee, Hyung-Gon;Lee, Jae-Hac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29 no.4
    • /
    • pp.326-344
    • /
    • 2011
  • Although anthropogenic disturbance of 20 years duration affects benthic habitats, few studies have examined its effects on the macrobenthic communities of a ba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variables on the macrobenthic communities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Hwaong dike. Macrobenthos were collected at 22 sites using a Smith McIntyre grab (0.1 $m^2$) in August 2007 and February 2008. Total organic content was very low around the Hwaong dike. Sediment grain size increased from the Hwaong dike to the outer bay. In total, 317 species of macrobenthic fauna were collected and the mean density was 1,155 ind. $m^{-2}$, both of which were higher tha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e dominant species, $Hetermastus$ $filiformis$, known to be a potential pollution indicator, was more abundant near the Hwaong dike. Conversely, species sensitive to organic pollution, such as the polychaete $Ampharete$ $arctica$ and the ophiuroid $Amphioplus$ $squamata$, exhibited higher mean densities in areas distant from the dike. A cluster analysis indicated that the macrobenthic community was divided into two distinct groups: group I near the dike and group II in the outer bay, which were affected by sediment grain size and total organic content. This study suggests that variations in sediment grain size and organic content after dike construction are important factors controlling the macrobenthic community in Asan Bay.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during Spring and Summer Season in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Area, Korea (환경보전해역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춘계와 하계의 군집구조)

  • Choi, Byoung-Mi;Yun, Jae Seong;Kim, Seong Gil;Kim, Seong-Soo;Choi, Ok In;Son, Min Ho;Seo, In-Soo
    • Journal of Marine Life Science
    • /
    • v.1 no.2
    • /
    • pp.95-108
    • /
    • 201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ic assemblages in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area, Korea. Benthic animals were collected by van Veen grab sampler at spring (May) and summer (August) 2009. The total species number and mean density were 195 species 5.6 m-2 and 667 individuals m-2, respectively. Polychaetes were the most dominant faunal group in species (96 species) and abundance (431 individuals m-2). The major dominant species were the polychaetes Lumbrineris longifolia (76±224 individuals m-2), Mediomastus californiensis (42±117 individuals m-2), Tharyx sp.3 (26±110 individuals m-2), the bivalvia Theora fragilis (54±78 individuals m-2) and the amphipod Eriopisella schellensis (70±146 individuals m-2). Based on the cluster and nMDS ordination analysis, macrobenthic communities were divided into three faunal groups. The first group was characterized by high abundance of the polychaeta Sternaspis scutata and the amphipod Ampelisca cyclops iyoensis, which is located by most stations of Hampyeong Bay and St. 4 of Deungnyang Bay. The second group was numerically dominated by the polychaeta Capitella capitata at St. 4 and St. 5 in Gamak Bay where was most pollutant area. Finally, the third group was dominated by the polychaetes Heteromastus filiformis, Tharyx sp.3 and the amphipod Sinocorophium sinensis. Therefor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bay shape and pollution gradient may be important factors controlling of the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in Environment Conservation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