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한지리학회지

Search Result 2,092, Processing Time 0.02 seconds

Basic Concepts in Geographic Education: The Estimation by Secondary Geography Teachers and the Quest for Reformation (지리교육의 기본 개념: 지리교사들의 인식과 재정립 방향의 모색)

  • 이영민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4 no.3
    • /
    • pp.281-293
    • /
    • 1999
  • 이 연구는 개념 및 개념학습의 의미와 가치를 평가해 보고, 기존의 지리교육 기본 개념에 대한 논의를 정리하여 현장 교사들의 기본 개념 인식과 비교한 후, 향후의 지리교육 내용 구성의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지리교육의 개념은 지리적 현상의 작동 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개괄적인 관념으로서 관련 지식들을 인지구조 속에 붙들어 매어주는 역할을 한다. 현장교사들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기본개념은 인간-자연관계, 입지, 지역, 지도화, 지역적 차이, 문화 등이며, 이는 전통지역지리학에서 강조되어 온 개념들이다. 반면에 지역적 결합, 공간 및 공간관계, 장소, 지구사회, 이동 등의 개념은 교사들이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개념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분석과 관련하여 주의를 기울여야 할 점은 지리학과 지리교육의 기본개념을 무차별적으로 혼용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학문적 성과와 교육적 성과는 다른 것이며, 이에 맞춰 지리교육의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하위개념들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 PDF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and Hinterland of Air Freight Transportation at Sachon Airport, Korea (사천공항 항공 화물수송의 시.공간적 특성과 배후지)

  • 장재구;한주성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5 no.1
    • /
    • pp.53-75
    • /
    • 2000
  • 본 연구는 사천공항에 있어서 항공 화물수송의 시.공간적 특성과 공항의 배후지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내선 화물수송량에 의해 제4계층에 속하는 사천공항의 탑재 화물수송은 그 배후지가 남서부 경남지역으로 핵심 배후지와 주변 배후지로 구성되는 공간구조를 나타내며, 주로 어묵과 화훼를 탑재하고 감규을 간재하는 기능을 가지고, 탑재화물 중심의 편하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계절별(6.12월).요인별.편별 항공 화물수송량의 시간적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地理敎育

  • 전장호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13
    • /
    • pp.41-49
    • /
    • 1976
  • 8.15광복후부터 현재까지의 지리교육은 1960년대 초기까지는 주로 중등교육이 중심이되어 각급학교의 교육과정의 개편이 지리교육의 방향을 결정하였던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필자는 중등학교의 지리교육에 한정하지 않고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부터 각 대학에 신설된 지리학과 또는 사회생활(교육)과내의 지리전공(이후 편의상 지리과로 사용키로함)을 중심한 대학에서의 지리교육 그리고 이들 각 대학의 활동, 지리교육에 관계된 활동 및 각종 연구업적을 중심으로 개괄적으로 정리하였다. 본 논문중에 인용된 연구활동이나 업적등은 주로서 말미에 기재하였다.

  • PDF

The shaping of C.B.D. and Sub-C.B.D. in Seoul (서울의 都心과 副都心의 形成)

  • ;Ri, Yeongtaeg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5
    • /
    • pp.31-40
    • /
    • 1970
  • 도시지리학은 도시사회학으로, 또한 공간경제학의 측면에서 계통화되어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2, 3의 지리학자에 의하여 도시분류를 시도하는 단계에 있고, 일부 사회학자에 의하여 토지이용, 지역배치 등이 개척되었으나 도시구조에의 approach는 미흡한 면이 많다. 근래 지역개발이 고창되고 도시화에 따르는 제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여러 분야에서 많은 실적이 발표되어가고 있다. 본고은 이와 같은 시점에서 도시문제해결의 제1수단이 되는 도시역, 도심, 폭도심의 형성, 구심과 난심등에 걸쳐 서울의 예를 들어 조사분석을 시도하였다.

  • PDF

An inventory and prospect on the half a century of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in Korea (한국 문화 . 역사지리학 50년의 회고와 전망)

  • ;Ryu, Je-Hu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1 no.2
    • /
    • pp.255-267
    • /
    • 1996
  • The so-called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sometimes called even a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Geography, has been defined as an interdiscipline that encompasses several disciplines in Korea. Scholars with various academic background have participated in the academic activity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ers that was organized in the late 1980s. The academic majors of these participants are cultural geography, historical geography, history of geography, urban geography rural geography, economic geography, social and economic history anthropology, landscape architecture, and so on. It was in the 1960s that articles about the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appeared for the first time in the major academic journals in Korea. The pioneers of publishing these articles in the 1960s continued to conduct their research, while training students majoring in the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in the 1970s. All of these pioneers and their students were very active in the formation of identity vrith the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In the 1980s.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in Korea took a great leap forward both in quantity and in quality. The number of articles in the journal increased substantially, and the range of research theme and methodology extended in a great deal. It was also in the late 1980s that the Association of Korean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ers was organized in Seoul, Korea, and this association began to publish a professional journal named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once a year. In the 1990s, single-authored books dealing with Korean Cultural and Historcial Geography began to appear in public as textbooks or research monographs. These books are expected to speed up the spread of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in Korea. If it continues to grow further both in quantity and in quality as it has been,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in Korea will be able to stand as an independent academic field in the future. Until then, however, it cannot but avoid its mission to contribute to an integrated development of human geography in Korea. It has already gained not only its own merit in the humanistic perspective but also its own strength in its synthetic understand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