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학 졸업자

검색결과 195건 처리시간 0.027초

클로즈업 - 2012년 '광학기기 산업기사'시행 앞서 자격증 활성화 방안 '시급'

  • 박지연
    • 광학세계
    • /
    • 통권134호
    • /
    • pp.35-37
    • /
    • 2011
  • 기존에 4년제 대학 졸업생 대상의 '광학기사'와 전문계 고등학교 졸업자 대상의 '광학기능사'가 있었다면 2012년 신설되는 '광학기기산업기사'는 2년제 전문대학을 졸업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한 광학관련 국가자격증이다. 광학기사 및 광학기능사 자격증 제도가 응시인원이 적다는 이유로 여러 번 폐지 위기에 놓였던 상황에서 생겨난 광학기기산업기사 자격증이 과연 제역할을 할 수 있을지 우려의 시각도 없지 않다. 그러나 이번기회를 통해 광학기능사, 광학기기산업기사, 광학기사 등 자격 제도의 활성화 방안을 구체화시켜 전문인력 양성 및 산업발전의 토대를 만들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 PDF

펜데믹 기간 대학교육 만족도가 청년의 취업준비 활동과 사회참여에 끼치는 영향 (Influence of College Education Satisfaction on Young Adults' Job Seeking and Social Participation)

  • 정병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141-148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펜데믹 기간 대학교육의 만족도가 청년들의 취업준비 및 사회참여에 끼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전국단위 표집을 통해 구축한 2021년 청년경제사회 패널데이터의 대학교육만족도, 취업활동, 사회참여 등에 관한 8개 변수를 분석했다. 연구대상은 총 2,941명이고, 구조방정식모형과 다집단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대학교육만족도는 청년들의 취업준비 활동과 사회참여에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다집단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결과 대학교육만족도는 여성의 취업준비와 사회참여에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남성집단에서는 취업준비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또한 대학교육 만족도는 전문대학 졸업자의 취업준비활동과 사회참여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4년제 대학 졸업자의 취업준비 활동에는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서 남성과 전문대학 졸업자의 대학교육 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는 정책적, 교육적 처방이 요구된다.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성 소수자에 대한 인식 (Awareness of Sexual Minorities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in Graduation Year)

  • 염은이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7호
    • /
    • pp.69-79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성 소수자에 대한 인식의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C도와 K도 소재의 3개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졸업학년 학생 8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23년 11월부터 2024년 1월까지 심층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자료는 현상학 연구방법(Colaizzi)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4개의 범주와 8개의 주제 모음이 도출되었다. 4개의 범주는'성 소수자에 대한 양가감정', '성 소수자의 힘든 처지에 대한 공감', '성 소수자 돌봄에 대한 두려움', '간호사로서 미래를 위한 준비'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생의 바람직한 성 소수자 인식과 돌봄을 향상시키기 위한 간호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간호교육의 내실화와 질적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그리고 간호대학생의 성 소수자 인식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과 발생 문제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취업지원시스템의 활성화를 위한 CRM 적용에 관한 연구: D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A Research about CRM Application for the activation of the Job Help System in D-University)

  • 한창엽;장형욱;전홍대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32-41
    • /
    • 2005
  • 경기침체로 인한 기업의 일자리 감소, 대학정원의 확대에 따른 인력수급의 불균형, 기업-취업자간 미스매치 등으로 인하여 대학졸업자들과 같은 고학력자들의 실업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고학력자들의 취업에 대한 문제가 점점 커짐에 따라 경영학 분야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고객관계관리(CRM)를 대학에서 도입하여 재학생 및 졸업생들의 데이터를 동적으로 분석하여 기업이 원하는 인력을 적시에 배출해야 한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또한 대학에서의 CRM구축을 위하여 문헌연구 및 사례연구를 통하여 취업자관리 프로세스 구축방안을 전개하고 대학졸업자 취업능력 구성변수를 추출하였으며, 대학에서 기업으로의 학생 추천을 위한 세분화과정을 제시하였다.

  • PDF

전문대학 시각디자인과 졸업생의 조기이직요인 연구 (A Study on the Early Turnover Factors of Visual Communication Design Graduates in College)

  • 조규명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83-484
    • /
    • 2018
  • 본 연구는 취업문제가 국가 사회 전 분야에 걸쳐 핵심이슈로 해결해야 할 사회문제로 부상하고 있지만 시각디자인분야의 취업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로는 시각디자인 분야 산업규모에 비해 대학에서 관련학과가 지난 30여 년간에 걸쳐 급속히 증가하여 대학졸업자의 공급과잉으로 인한 수요공급의 균형이 무너졌기 때문이다. 또한 4차 산업으로 산업이 재편되어 디자이너와 같은 창의적 직업군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여전히 시각디자인분야의 취업난의 나아지고 있지 않다. 그러나 취업난 보다 더욱 심각한 것은 어렵게 취업에 성공한 신입디자이너의 대부분이 조기이직을 하는 현상이 급증하고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전문대학이 시각디자인전공 졸업자의 퇴직을 예방하는 것도 취업을 지원하는 활동처럼 중요하다는 점에 초점을 두고 시각디자인학과 신입디자이너의 조기퇴직 예방을 위한 산업체 및 교육현장에서의 대처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PDF

역사속 과학인물 - 미 유학한 우리나라 최초의 과학자 변수(1861~1891)

  • 박성래
    • 과학과기술
    • /
    • 제29권8호통권327호
    • /
    • pp.93-95
    • /
    • 1996
  • 우리나라 역사상 최초의 과학자로 일컫는 변수. 그는 갑신정변 때 김옥균과 함께 일본으로 망명했다가 미국 유학길을 떠나 메릴랜드주립대학 농과대학을 졸업, 한국인 최초로 학사학위를 받았다. 그 후 미국 농무부에 취직, '일본의 농업'이란 보고서를 작성하는 등 활약을 하던 중 31세때 교통사고로 사망하여 과학자로서의 큰 꿈을 이루지는 못했다.

  • PDF

대졸 청년층의 노동이동 분석 - 인문사회계와 이공계 졸업자를 중심으로 - (Job Mobility of the University Graduates Youth In Korea)

  • 김안국
    • 노동경제논집
    • /
    • 제28권3호
    • /
    • pp.39-76
    • /
    • 2005
  • 대졸 청년층의 노동이동을 대학졸업생자료와 고용보험DB를 결합한 자료로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대졸 청년들의 졸업 후 4년 동안 평균 취업회수는 1.68회였고, 직장경험이 늘어남에 따라 직장근속이 늘고 있으며, 취업회수가 많을수록 총근속기간이 더 길었다. 대졸 청년층들의 노동이동에서 업종과 직종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대졸 청년층들이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비율은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으로 이동하는 비율보다 높아 인적자원의 수도권 집중이 되고 있음을 보이나 이는 수요측 요인으로 파악된다. 대졸 청년층은 노동이동을 통하여 상위의 직종을 얻고 있으나, 작은 규모의 기업으로 이동하고 있다. 직장경험이 많은 대졸 청년들의 첫 직장 임금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들은 직장 이동을 통해 임금수준을 증가시키고 있었다. 인문사회계 출신보다는 이공계 출신이 직장이동을 할 확률이 높았으며, 임금이 높을수록 직장이동을 할 확률은 떨어지고 있다. 수능점수가 높은 경우 직장이동을 할 확률이 낮았다. 직장이동을 통해서 대학에서의 전공과 일치하지 않는 직무로 나갈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청년층의 노동이동을 경력형성의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대안이 필요하다. 또한 대학 졸업자의 노동의 질이 보다 높아질 수 있도록 대학교육의 강화 및 대학생 수의 감축을 위한 정책대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 PDF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감정노동에 대한 인식 (Awareness of Emotional Labor of Nursing College Students in Graduation Year)

  • 염은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177-18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감정노동에 대한 인식을 이해하여 기술하기 위함이다. 연구참여자는 충남소재 1개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졸업학년 간호대학생 11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9월 5일부터 11월 25일까지였으며, 자료수집은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가 포화될 때까지 이루어졌다. 모든 면담내용은 녹음하여 참여자가 말한 그대로 필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Colaizzi의 현상학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21개의 주제가 확인되었으며, 10개의 주제모음과 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이 인식하는 감정노동에 대한 5개의 주요 범주는 '비합리적인 상황으로 인한 혼란', '간호직에 대한 회의', '간호사의 힘든 처지에 대한 공감', '간호사의 언행을 학습' 그리고 '미래를 위한 준비'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감정노동 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간호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제공하여 간호 실습교육의 내실화와 질적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그리고 간호대학생의 감정노동 경험을 보다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연구와 간호대학생의 감정노동 인식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과 발생 문제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지방대학 졸업자의 노동시장 성과와 지역별 교육격차 (Analysis on the Labor Market Performance of Local University Graduates and Regional Education Gap)

  • 김희삼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2권2호
    • /
    • pp.55-9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OMS) 자료를 이용하여 출신대학 소재지가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다른 조건이 유사할 때 비서울지역 대학교 졸업자는 서울 소재 대학교 졸업자에 비해 약 16% 정도 낮은 임금을 받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비서울지역 대졸자는 소규모 업체나 전공과 맞지 않는 직장에 다닐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서울 소재 대학 졸업자와 비서울지역 대학 졸업자 간 임금격차의 3분의 2 가량이 입학 당시의 학과 평균 수능점수의 차이로 설명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업체 규모나 직무와 전공의 일치도의 차이 역시 수능점수 격차에 의해 상당 부분 설명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처럼 노동시장 성과 차이에 대한 상당한 설명력을 갖고 있는 수능점수는 출생지, 14세 성장지, 고교 소재지가 어느 지역인가에 따라 뚜렷한 격차를 나타냈다. 따라서 지역간 학력격차 중 교육환경의 지역 간 차이에서 비롯되는 부분이 있다면 이를 보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PDF

나의 주장 - 교육의 산학협동 활성화 시급

  • 임병덕
    • 과학과기술
    • /
    • 제32권6호통권361호
    • /
    • pp.12-13
    • /
    • 1999
  • 우리나라 공과대학의 학생들은 열악한 환경에서 공부하고 있으며 졸업자 대상 설문조사에서 59%가 현장성이 결여된 이론중심의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에 우리의 공학교육은 산업체 적응기간을 단축시키고 신기술 조류를 파악하여 시대 변화에 적응력이 강한 공학인을 양성토록 하고, 특히 현장위주의 교육과정을 도입하고 분야별로 다양한 단계의 산학협동 협의체를 구성하여 실속있는 공학교육을 실현시켜야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