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학창업

Search Result 538,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대학 창업교육과정 만족도가 기업가적 기민성, 기회인식,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교육과정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Han, Won-Hui;HwangBo, Y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06a
    • /
    • pp.75-84
    • /
    • 2020
  • 2010년 이후 정부는 일자리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창업활성화를 국정과제로 내세우고 있다. 새로운 기회와 가치창출을 통한 창업활성화를 위해 창업의지는 필수적인 요소지만 창업의지를 높이기 위한 방법론 적에 대하여는 많은 연구들의 견해가 엇갈리고 있다. 본 연구는 창업활성화의 첫걸음으로 창업의지를 꼽았으며 창업의지를 가지기위한 선행조건으로 기업가적 기민성·기회인식 역량을 갖추어야 하며 이러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현재 중점 추진되고 있는 정부주도의 대학 창업교육과정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창업교육과정별(교과과정 VS 비교과과정) 비교를 통해 향후 나아가야 할 창업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문헌연구와 이를 토대로 한 실증연구 결과는 대학 창업교육과정이 창업에 필수적인 창업의지를 키우기 위한 기업가적 기민성과 기회인식 역량을 증대 및 영향을 끼치는 것을 시사하며 교육 만족도에 따라 그 효과는 변화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또한, 창업교과과정(학점) 보단 창업비교과과정이(비학점) 창업의지에 더욱 영향을 끼치는 것을 나타내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창업교육과정이 기업가적 기민성과 기회인식의 역량을 증대 시킬 수 있는 창업교육으로 커리큘럼을 수립해야 할 것이며 이론과정 보단 실습 위주의 교육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방향성을 보여준다.

  • PDF

A Study on Vitalization of Faculty-associated Startups: Focusing on Conflicts of Interests Regulations (대학 교원 창업 활성화 방안 연구: 이해충돌 규정을 중심으로)

  • Koo, Bonjin;Kim, Sangwan;Kim, Hoonbae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26 no.1
    • /
    • pp.59-83
    • /
    • 2018
  • University spinoff is a type of high-quality tech-startup that has high level of growth potential and ripple effects. Thus,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making continuous efforts to vitalize university spinoffs. However, existing legislation does not take into account clear definition of university spinoff as well as conflict of interests among its main agents (university, professor, graduate student, etc.). As a result, there exist various types of conflict of interests related to the university spinoff in Korea and that hinder activating university spinoffs. In this study, therefore, we reviewed studies of university spinoff and clarified types of conflict of interests related to university spinoff. Taken together, we diagnosed problems of university spinoff in Korea and proposed plans to vitalize it.

대학중심의 지역기업, 지방정부 및 연구기관 연계를 통한 창업혁신활동 성과지표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Byeon, Yeong-Jo;Lee, Sang-Ha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04a
    • /
    • pp.79-85
    • /
    • 2019
  • 대학의 지역 공헌활동에 대한 역할 증대, 학령인구의 지속적 감소와 이에 따른 재정문제에 대비한 대학의 수익원 창출 노력 등, 대학을 중심으로 재정, 지역연계 역할, 정부 및 연구기관과의 활동 등 대학과 지역의 상호발전을 위한 현실적 과제가 증가됨에 따라 대학 스스로 내부자원을 활용한 발전계획을 기획하고 시행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중앙 또는 지방정부의 대학재정 지원 시, 이러한 활동의 표준을 정해보고 활동에 대한 측정 등을 할 수 있는 지표 설정이 필요하다. 기존 대학의 지역연계 활동과 성과지표 선정 등에 대한 다양한 보고서와 논문 등을 선행연구로 하고 대학 중심의 창업지원과제 등을 중심으로 대학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창업혁신활동 주체를 도출, 이들과의 협력관계에 대한 내용을 선별하고 이를 투입, 활동, 실적, 성과 등으로 구분하여 보았다. 활동 및 주체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학계, 창투사, 연구기관의 창업관련 다양한 전문가를 대상으로 측정변수에 대한 타당성 측정 및 AHP 분석을 통한 변수의 적합도를 분석하여 창업활동 주체 및 평가지표 등을 도출 하였다. 본 논문을 통하여 대학은 지역의 기업, 정부/공공기관, 연구기관, 투자기관 등과 협업 연계할 수 있는 주체간의 연관가능 활동과 해당 기관의 자원을 연계하여 지역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모델 및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 및 주요 내용을 도출 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for Curriculum Desig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University (창업교육의 대학교과과정 설계 방향에 관한 연구)

  • Mok, Young-Du;Choi, Myeong-Gil;Chun, Min-Ju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178-181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교육을 하나의 사회 시스템으로 인식하고 고등학교 창업교육부터 대학 및 대학원의 창업교육, 예비 창업자들에 대한 일반 창업교육까지를 연계한 체계적인 창업교육의 설계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도 창업의 저변확대를 위해 가장 핵심적 영역인 대학 학부의 창업교과과정의 바람직한 설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창업교육에 대한 학자들의 관점, 국내대학 창업교육의 현황, 국내외 대학원의 창업교육 현황 등의 검토내용을 기반으로 대학 학부의 창업교과과정을 공통기초과정과 전공선택과정으로 나누어 설계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아울러 전공선택과정은 전공영역(major area)과 집중영역(concentration area)으로 나누어 설계할 것을 제언한다.

  • PDF

Institutional Resources and Systems Affecting Professor Startups and Their Performances: A Panel Data Analysis (대학의 자원과 제도가 교수창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패널 데이터 분석)

  • Kim, Jong-woo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8 no.3
    • /
    • pp.33-43
    • /
    • 2023
  • The paper employs a resource-based approach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itutional resources and faculty-led startup formation and performance in South Korean four-year universities from 2017 to 2021. The author proposes nine hypotheses to explain how institutional resources or systems affect the number of faculty startups, their employee numbers and the revenue of faculty-led startups, and compare four different groups of university resources for cross-college varia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institutional factors impacting faculty-led startup performance differ from those impacting other categories of startups. Universities should provide a more favorable environment, including flexible personnel policies and accompanying startup support infrastructure, to encourage faculty-led startups. In contrast, it is more effective for better performance of faculty startups, in terms of their job creation and revenue, to have more financial resources and good paper publications.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university technology-holding companies are crucial for increasing the number of professor startups and their performance.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both university and government policymakers, who aim to facilitate greater participation of professors in startup form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technology.

  • PDF

A Case Study on the Advancement of Uni. Start-up Education (대학 창업교육 고도화를 위한 사례분석 -10개 대학 창업교육 컨설팅을 중심으로-)

  • Kim, Jae-Hyun;Lee, Sung-Ho;Nam, Jung-Min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0 no.6
    • /
    • pp.96-108
    • /
    • 2020
  • Through the case analysis of the college start-up education consulting operated by the Center for Start-up Education, this study presented the direction of Uni. start-up education, such as regular subjects, comparative studies, commercialization of start-up businesses, and supporting infrastructure, and understood the meaning of start-up edu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ree stages of literature research at 10 universities, pre-diagnosis questionnaire for practitioners, and visiting consulting, and presented design direction by separating universities (four-year colleges) and colleges of specialties. Universities (four-year colleges) need to make continuous efforts to create a specialized start-up valley for universities and start-up businesses using infrastructure with existing quantitative growth, and colleges need to establish professional and infrastructure for start-up education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departments. In addition, it was urgent to introduce differentiated evaluation indicators for universities (four-year colleges) and colleges.

A Study on the Direc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Universities linked to Community (지역연계 대학창업교육 방향 연구)

  • Lee, Won-Cheul;Choi, Jong-I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2 no.6
    • /
    • pp.89-98
    • /
    • 2017
  • The dynamic entrepreneurial activities of small businesses or individual entrepreneurs seeking to enter the global market based on innovative ideas and challenging spirit in the modern society, which is trending in entrepreneurial capitalism according to the times, Leading to new growth engines. In order to promote the establishment of universities in Korea, the government has been working on 'Five-Year Plan for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2013-2017)', 'Efficiency of Government Start-up Support in 2015', and 'Five-Year Basic Plan for Activation of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2016-2020)'. However, there are still practical limitations in spite of the efforts made by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to revitalize start-ups. As a way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aims to systematize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of the university, and examines the role of changing universities and theory of clusters and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addition, we will look at the factors of creative university culture centering on the representative cases of the Innovation University in US, and present a conceptual framework for cluster-based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successful entrepreneurship' which is different from 'start-up success'. The conceptual framework of cluster-based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based on the establishment of 'Integrated Entrepreneurship Education Platform' to revitalize start-ups centered on university technology. At the same time, this framework focuses on the three factors of talent, technology, and culture based on the relevant theories and examples, and emphasizes the clustering of entrepreneurial resources, entrepreneurial policies and leadership that should be involved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 PDF

The Effect of Satisfaction Level with the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Recognition of Support System, and Mentoring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대학생의 창업교육 만족도와 창업지원제도인식, 창업멘토링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창업효능감을 조절효과로)

  • Yu, Young Cheul;Lee, Won Il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8 no.2
    • /
    • pp.187-200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start-up education, start-up support system, and start-up mentoring directly and indirectly conducted in universities affects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to present programs and directions that can increase the possibility of start-up for college students.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awareness of the entrepreneurship support system, and entrepreneurship mentoring on entrepreneurial will, and then analyzed how entrepreneurship efficacy affects entrepreneurial will as a moderating effect. The recognition of the start-up support system was divided into the government start-up support policy and the university start-up support project, and start-up mentoring was divided into mentoring function (problem-solving function, networking function, communication function, motivation function) and mentor trust (cognitive trust, emotional trust).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satisfaction with college entrepreneurship education, perception of entrepreneurship support system, entrepreneurship mentoring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willingness to entrepreneurship as dependent variables. In addition, entrepreneurship efficacy was designated as a moderating variable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satisfaction with start-up educa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college students' willingness to start a business. Second, among the start-up support systems, university start-up support project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college students' willingness to start a business.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whether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art-up support projects and college students' willingness to start a business while recognizing the start-up support system, it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The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deriv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First, efforts to improve start-up education will be needed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start-up education. Secon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start-up counseling center in the university, it will be possible to recognize the education system supported by the university, the university start-up support project that can carry out the indirect experience of start-up, and the government start-up support policy that supports funds. Third, It will be necessary to open a program that can provide start-up mentoring through connection with mentors in the start-up field, such as professors, employees, and senior start-ups in universities. Four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orough education on the preparation process of start-ups, start-up special lectures where senior start-ups can indirectly experience the failure of start-ups, and programs for customized start-up education according to college students' major and individual tendencies.

  • PDF

우리나라 대학생의 창업인식 조사를 통한 창업교육 고도화 방안

  • Song, U-Yong;Gwon, Hye-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08a
    • /
    • pp.69-8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의 도전적 창업문화 정착, 대학생의 창업역량 강화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창업 확대에 필요한 창업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 창업의 국가경제적 의의와 함께 대학생의 진로 대안으로서 주목받고 있지만 우리나라 대학생의 창업인식은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대학생의 창업아이템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만큼의 창의성이 뒷받침된 기술기반 창업과는 거리가 먼 경우가 많다. 최근 정부 및 대학에서 창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다양한 지원정책과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창업문화 확산을 통한 창업도전의 저변 확대, 시장과 산업 트랜드를 바꿀만큼의 시장 전환적이며, 창조적 파괴가 동반된 창업을 활성화하는 데에는 부족함이 많다. 이에 본 연구는 H대학교 신입생 1,09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대학생 창업인식을 분석하고 대학의 창업교육 고도화를 위한 유의한 사실을 발견하였다. 실태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창업교육 고도화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첫째, 생애주기적 진로대안으로서 창업의 의의 인식, 둘째, 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기초한 맞춤형 창업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운영, 셋째, 창업 전문성을 갖추면서 동시에 교육자로서의 역량을 갖춘 대학 내 외부 전문가들을 네트워킹하여 이론-실무의 우수한 창업 교육자 풀 구성 넷째, 효과적 창업교육 전략 및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을 위한 구체적 대안으로 창업교육 목적의 명확화, 교육목적에 부합하는 실천적 교육 콘텐츠 개발 및 국내외 우수 창업교육 콘텐츠의 적극적 활용,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강화를 위하여 교육학적으로 효과적인 방법의 모색 등을 제시하였다.

  • PDF

대학생의 창업교육이 창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계획된 우연기술에 의한 기회인식의 조절된 매개효과

  • Yang, Song-Lee;Yang, Yeong-Seok;Kim, Myeong-Suk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11a
    • /
    • pp.41-45
    • /
    • 2021
  • 대학생의 대부분은 진로에 대한 명확한 목표가 설정되지 않거나 졸업 후 진로 미결정으로 인해 어려움을 느낀다. 대학 생활 중 진로의 선택과 결정, 결정을 위해 정보를 수집하고 탐색하는 활동들은 매우 중요하며 대학에서는 진로를 '창업' 으로 결정한 학생들을 위해 다양한 창업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창업교육은 양적 성장을 하였지만 실제 창업까지는 한계가 있다. 창업을 하기 위한 적극적 창업준비행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창업교육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창업교육이 창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고 두 영향 관계에서 계획된 우연기술에 의한 기회인식의 매개적 효과를 조사·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학에서 지원하는 창업교육의 참여 형태, 교육 만족도, 참여횟수 등 창업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창업을 하기 위한 정보수집활동과 도구구비활동 및 목표달성을 위한 적극적 노력 등 창업준비행동을 분석한다. 본 연구를 통해 개인적 관점에서 '창업교육' 이라는 우연한 행동을 기회로 인식하고 창업준비에 긍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체계화된 창업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하며 대학의 취업만을 강조하는 교육 패러다임을 변화할 수 있는 창업교육의 질적 성장의 중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