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학생 스트레스

검색결과 710건 처리시간 0.022초

코로나19를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Academic Stress among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COVID-19)

  • 임정혜;남정자;김미정;이외선;심봉희;이순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445-455
    • /
    • 2023
  • 본 연구는 COVID-19를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G도 소재 3개 대학의 간호학과 4학년 172명으로, 2022년 11월 URL설문조사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COVID-19를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정도는 2.09점이었고, 학업스트레스 영향요인은 전공만족도, 임상대체실습 만족도, 정서적대처, 문제중심대처, 자기효능감, 자신의 건강상태, 코로나우울 이었으며, 총 설명력은 62.3%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우리는 간호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를 높이고, 임상대체실습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 마련으로 향후 재난 및 감염병 상황에서 간호대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는 체계적 교육방안을 마련해야만 한다.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이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silience on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Nursing Students)

  • 홍세화;김지수;주도빈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443-45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과 학업스트레스, 학업성취도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회복탄력성이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기 위함이다. 2019년 9월 26일부터 10월 12일까지 W군에 위치한 일 개 대학 간호대학생 230명을 편의표집 하였으며, 부적절한 응답자를 제외한 197명의 자가보고 설문지를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회복탄력성은 학업스트레스(r=-.46, p<.001)와 음의 상관관계를, 학업성취도(r=.48, p<.001)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회귀분석 결과 회복탄력성 하위영역 중 사회적지지, 조직적 스타일, 긍정성은 학업스트레스에 대해 28.4%(F=24.80, p<.001)의 설명력을 나타내었고 관계성, 자신감은 학업성취도에 대해 22.7%(F=27.80, p<.001)의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토대로 간호대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를 관리하고,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회적지지, 조직적 스타일, 긍정성, 관계성, 자신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재방안을 개발하는 노력이 필요하겠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 의사소통능력 및 소진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Practice Stres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Burnout in Nursing Students)

  • 김혜정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433-441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실습스트레스, 의사소통능력 및 소진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간호대학생의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M시 소재한 1개 대학교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3·4학년 간호대학생 대상으로 2020년 9월 17일부터 9월 30일까지 자료수집 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는 3.08점, 의사소통능력 3.38점, 소진 2.94점으로 5점 만점에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실습스트레스 차이는 실습만족도(F=7.058 p=.001)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소진은 연령(F=5.159 p=.007), 입학동기(F=3.034 p=.019), 실습만족도(F=7.718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의사소통능력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223, p<.001),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소진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194 p<.001)를 나타냈으며, 의사소통능력과 소진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155, p=.032)를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소진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The Effect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Self-leadership, and Social Support on Nursing students' Clinical Practice Stress

  • Mi-Sook Park;Mi-Jin You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4호
    • /
    • pp.105-114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부적응적 완벽주의, 셀프리더십, 사회적 지지가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C지역에 소재한 4개의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3, 4학년 간호대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2022년 11월 3일부터 30일까지 완벽주의 척도(APS-R), 셀프리더십 척도(SLQ-R), 사회적 지지 척도(SSS), 임상실습 스트레스 척도(CPSS-R)를 사용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부적응적 완벽주의(r=.51, p<.001)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셀프리더십(r=-.11, p<.001)과 사회적 지지(r=-.44, p<.001)와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부적응적 완벽주의(β=.45, p<.001), 사회적 지지(β= -.27, p<.001), 전공만족도(β=-.21, p=.002), 타 지역 임상실습 횟수(β=-.19, p=.003)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이들 요인의 설명력은 43%였다(F=28.63, p<.001). 이상의 연구결과는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낮을수록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향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시 이러한 심리적 특성 요인들에 대한 적극적 고려가 중요하다고 본다.

간호대학생의 대면 및 비대면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가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Stress Coping on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 김혜경;박지예;강은지;이성현;민성현;이지윤;정지현;정현서;이소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521-533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면 및 비대면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가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각 요인 간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이 임상실습스트레스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고 임상수행능력을 증진할 수 있는 임상실습교육 전략의 근거를 제시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과 충청권 소재 간호대학생으로, 2021년 6월 10일부터 7월 10일까지 총 201부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통계프로그램 SPSS 21.0을 이용하여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대면 및 비대면 임상실습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 임상수행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단계에서 간호대학생의 성적, 전공만족도, 대면실습만족도가 임상수행능력의 19.4%를 설명하였고, 2단계에서는 스트레스 대처를 추가하여 19.6%의 설명력이 증가되어 총 39.0%의 변량을 설명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대한 원만한 스트레스 대처가 중요하며,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상담 및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대학생의 자기계발프로그램이 대학생활 적응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self-development program on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and stress coping methods)

  • 조혜정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07-421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lan out a university students' self-development program an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students in adapting themselves to college life and coping with stress from it. The program was developed as the liberal arts course for a semester and comprised 12 sessions. Each secession of a 150 minutes workshop program. The pre-test, post test regard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and stress coping methods conducts upon each experimental group and each control group. Each group consisted of 50 subject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is study could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ly, it was found that the university students' self-development program has effect on improv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Secondly, it was found that the university students' self-development program has effect on improving stress coping methods.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Impact of Stress on Depress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Testing for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박영례;장은희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49-558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impact of stress on depress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in university students. Methods: A total of 445 subjects were participated from May to July 2011.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nd t-test, ANOVA,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WIN 20.0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results indicate that depression was increased by stress and decreased with social support. Social support included four type of social support behavior;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material support, and appraisal suppor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support was significant when provided by friends but not by parents. Conclusion: These finding indicate the importance of emotional support of friends on depression in university students.

대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 (The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djustment at University Life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 차남현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24-131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dentify the correlations among academic stress and adjustment at university life in university students. Methods: A total of 489 subjects aged 17 and 36 were selected through convenient sampling. Data were collected with a self reported questionnaire from September 2 to November 30, 2015.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WIN.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djustment at university life. Academic stres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grade, economic status, health status major department of study, drinking and smoking. Adjustment at university lif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economic status, health status. 25.4% of variance in adjustment at university life were explained by academic stress, major department of study, health status. Conclusion: The finding of this study may be useful in understanding the academic stress express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developing more specific programs on adjustment at university life.

재정적 스트레스 및 재정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미국 대학생을 중심으로- (Determinants of Financial Distress and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An analysis of U.S. college students-)

  • 백은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161-174
    • /
    • 2004
  • Using a sample size of 643 college students, this study examined the level of financial stress and financial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and investigated the factors related to stresses and problems. A majority of the students had experienced financial stress that interfered their study. Among the financial problems, spending problems were the most problematic.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financial knowledge and practice were important determinants of students' financial stress and problems. Some of the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family income, were also important in predicting the students' spending problems. It was suggested that good financial practices of expenditure and maintenance of those practices were important to reduce or prevent financial problems and distress. Financial educators and parents should provide their support in helping students handle their finances responsively.

일부 전문대학 보건계열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와 구강 증상발현에 관한 연구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stress and oral symptoms in health college students)

  • 신선행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19-526
    • /
    • 2014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stress and oral symptoms in health college students. Methods :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275 health college students in Seoul from October 7 to November 29, 2013.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14.0 program. Results : Female students tended to have higher employment stress oral symptoms than male. The higher the employment stress was, the more oral symptoms were. There wa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trait, environmental stress and oral symptoms.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ongue, teeth, gum, temporomandibular joint(TMJ) were influenced by the employment stress. Conclusions : It is important to reduce the environmental stress in the students. The students themselves must try to overcome the agonal condition by diverting stress into positive way of liv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