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학도서관 평가지표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5초

대학도서관의 역할변화에 관한 사서의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n Librarians' Perception about the Changing Role of University Libraries)

  • 노영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27-25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이 급격한 환경변화 속에 있는 대학의 환경을 반영하고, 정보기술의 발전을 반영함으로써 대학을 리드하는 기관으로서 우뚝 서기 위한 전략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대학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도서관 사서는 대학도서관과 관련된 빅이슈가 "대학도서관진흥법", 대학도서관 평가 및 평가지표, 대학에서의 대학도서관의 가치, 대학도서관의 공간구성 및 기능변화라고 하였고, 대학의 환경변화, 정부의 대학에 대한 정책, 각종 국책사업, 각종 구조개혁이 대학도서관에 영향을 상당히 미친다고 하였다. 둘째, 대학도서관 사서는 도서관의 역할 변화로 학생의 정보자원 및 기술의 활용능력 향상, 학생의 독서능력 향상, 대학구성원의 연구능력 향상, 대학구성원 학습역량 향상 등에 기여할 수 있다고 하였다. 셋째, 대학도서관 사서는 이용자가 대학도서관에 가장 높게 요구하는 서비스를 전자책 및 정보자원의 확대 등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도서관 가상참고서가의 협동구축 (Cooperative System for Virtual Reference Shelves of the University Libraries)

  • 박준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25
    • /
    • 2005
  • 이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의 가상참고서가 협동구축을 위한 기본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는 이 목적을 위해 첫째, 가상참고서가의 이론적 토대를 정립하고 그 필요성을 도서관의 문화주체적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둘째, 국내 대학도서관의 가상참고서가 운용실태를 9가지 평가지표를 통해 분석함으로써 협동구축의 당위성을 이끌어 냈다. 마지막으로 가상참고서가의 협동구축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과 절차를 대학도서관 관련 기구 및 단체들의 역할과 연관하여 논의하였다.

  • PDF

대학종합평가인정제 실시에 따른 대학도서관의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Academic Libraries in the Context of Accrediting Universities in Korea)

  • 서혜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9-34
    • /
    • 1996
  • 현행 대학종합평가인정제의 실시배경과 목적, 평가절차, 평가영역 및 부문별 가중치를 개관하였다. 대학교육협의회에서 설정한 대학종합평가 기준 가운데 대학도서관에 관련된 평가항목 및 가중치, 평가지표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지적했다. 외국에서의 대학 도서관 평가의 최근 경향을 살펴보고 그것에 기초하여 현행 평가기준 중 도서관 평가와 관련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단 평가 항목에 대한 정량적 평가척도 문제는 제외하였다.

  • PDF

대학도서관의 BSC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ying the BSC for University Libraries)

  • 조윤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41-262
    • /
    • 2006
  • 오늘날과 같이 급변하는 환경 하에서 대학도서관이 유기적 조직으로써 다양한 변화에 신축적으로 적응하면서 조직의 총체적인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자원을 중심으로 한 양적평가와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 질적평가 이외에도 자원 활용의 효율성이나 효과성, 서비스의 제공 능력이나 조직구성원의 잠재능력 등 경영전반에 걸친 균형적인 성과측정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Kaplan과 Norton이 개발한 BSC 모형을 비영리조직인 대학도서관에 적합하게 수정하여 고객, 자원, 내부 프로세스, 학습 성장의 네 관점으로 그 모형을 개발하고, 각 관점별 전략에 대한 전략지도와 측정지표를 개발하였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에 전략적 계획과 균형성과표를 연계하여 적용함으로써 대학도서관 조직의 전략적 계획에서 성과까지의 전체적이고 포괄적인 그림을 제시하는 전략적 통합 경영지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관 리포지토리 평가를 위한 개념적 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ceptual model for institutional repository evaluation)

  • 곽병희;장우권;김현희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05년도 제12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393-400
    • /
    • 2005
  • 기관 리포지토리에 대한 개념적 평가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국내외 기관 리포지토리에 대한 문헌연구를 통하여 평가요소를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평가 요소들이 도서관 업무 현장에서의 적용가능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국 7개 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4개 평가영역과 29개 평가지표로 구성된 평가모형을 개발하였다.

  • PDF

국내대학의 학술논문 연구업적평가기준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n Universities' Journal Publication Research Performance Evaluation Standards)

  • 이혜경;양기덕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295-322
    • /
    • 2017
  • 본 연구는 보다 효율적이고 균일하게 교원의 연구업적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현재 국내 대학의 교원업적평가 기준과 한국연구재단의 연구업적평가기준, 그리고 여러 계량서지학 지표를 비교하여 국내의 교원연구업적평가 방식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국내 대학 27곳의 교원업적평가기준과 한국연구재단 연구업적평가기준을 수집하였으며, 183명의 국내 문헌정보학과 교수의 2001년부터 2015년 사이 발표된 학술논문 3,863편과 16,978건의 인용을 수집하였다. 이를 토대로 우선 현재 시행중인 국내 대학의 연구업적평가지표들을 비교 한 후, 대학지표들과 저자기여도 산정식을 가중한 계량서지학적 지표들을 수집한 데이터에 적용하여 산출한 저자와 대학별 순위들을 분석하였다. 국내 대학의 연구업적평가지표는 연구업적의 생산성과 영향성을 고루 평가하고자 하였으나, h-index처럼 이와 유사한 계량서 지학 지표와 다른 평가 결과를 나타냄으로써, 평가지표가 평가결과에 각기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대학도서관의 정보공개 및 공시 실태분석을 통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s through the Analysis of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and the Disclosure of Academic Libraries)

  • 구중억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27-35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2008년 대학정보공시 대상 총 414개교 중 학교의 홈페이지를 가지고 있는 413개교를 대상으로 정보공개제도 및 대학정보공시제의 운영실태를 조사 분석하였다. 대학도서관의 정보공개제도 활성화를 위하여 '대학도서관용' 한국 도서관 통계 항목과 전국 도서관 운영평가 지표를 자율적인 정보공개 표준으로 활용하고,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의 효율적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대학정보공시제의 효율화를 위하여 도서관 지원 현황에 대한 공시항목 및 범위는 대학도서관 재정 확보와 개선도에 초점을 두고 공시될 수 있도록 장서보유 현황과 도서관 예산 현황에 대한 개선방안을 각각 제안하였다. 대학도서관은 대학과 사회적 정책적 관심도를 높이기 위하여 정보공개제도와 대학정보공시제를 주요 수단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 PDF

대출 기록에 기초한 대학 도서관 도서 개인화 추천시스템 개발 및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ersonalized Book Recommendation Systems in University Libraries Based on Individual Loan Records)

  • 홍연경;전서영;최재영;양희윤;한채은;주영준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13-127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 도서관 사용 증진을 위하여 개인별 맞춤 도서 추천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사용자의 아이템에 대한 선호도가 존재하는 다수의 추천시스템과는 달리, 선호도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 도서 추천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인 도서관 이용자의 도서 대출 목록과 성향을 활용하여 평가지표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용자가 아직 읽지 않은 책에 대한 예상 선호도를 산출하는 방식으로 도서를 추천하는 행렬 분해 방법인 Singular Value Decomposition(SVD)과 Stochastic Gradient Descent(SGD) 알고리즘을 활용한 모델을 구축했다. 더불어 유사도가 높은 이용자 그룹 내의 도서 대출 목록을 참조하여 추천하는 사용자 기반 협업 필터링 알고리즘을 활용해 모델을 구현했다. 최종적으로 평가지표를 활용한 세 가지 모델에 대하여 사용자 평가를 진행했다. 각각의 모델이 제시한 개인별 맞춤 도서 다섯 권의 목록을 해당 대출자에게 제공하고, 추천 도서에 대한 만족/불만족 여부를 이진화 점수화하여 모델에 대한 평가를 진행했다.

전문대학 도서관 활성화 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A Policy Study on How to Support Community College Libraries)

  • 황금숙;노영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45-374
    • /
    • 2007
  • 전문대학은 4년제 대학과 더불어 주요한 고등인력 양성기관임과 동시에 수적으로도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서관발전 종합계획에는 전문대학도서관만의 열악한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전체 대학도서관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들만이제시되고 있어서 전문대학도서관은 여전히 소외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학도서관들의 현황을 문헌조사를 통해 조사하여 전문대학도서관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국가차원에서 지원해 주어야할 정책을 6가지로 나누어 제안하고 있다. 즉, 전문대학특성에 따른 장서개발, 전문대학특성화에 따른 주제전문도서관 구축, 전문대학도서관간상호협력 강화, 전문대학도서관서비스 강화, 전문대학도서관법적 개선 및 평가지표 개발, 수요조사연구 및 서비스 품질 평가 등이다.

디스커버리(Discovery) 통합색인의 품질평가에 관한 연구 - EDS를 사례로 하여 - (A Study on Quality Evaluation of Discovery Central Index - the Case of EDS(EDSCO Discovery Service) -)

  • 이은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415-440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빠르게 도입되고 있는 디스커버리에 대한 이해를 돕고, 통합탐색도구로서 우리 도서관목록의 유용성을 증대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과 한계를 가늠해 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관련 문헌에 대한 조사와 분석에 근거하여, (1) 디스커버리가 등장하게 된 배경과 개념 및 유형 등 디스커버리의 실체를 살펴보고, (2) 디스커버리 통합색인의 품질평가를 위한 기준과 지표를 개발하고, (3) 도출된 기준과 지표에 따라 디스커버리에서 제공하는 통합색인의 질적 수준을 평가한 뒤, (4) 디스커버리의 도입에 앞서 우리 학계와 도서관계가 고민해야 할 과제와 취해야 할 전략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EDS를 사용하는 P대학도서관을 사례로 하여 371건의 표본 레코드를 추출한 뒤, 이를 대상으로 디스커버리 통합색인의 품질평가를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