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피 방향 탐색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Evacuation Route Searching when disasters occur in indoor utilizing audible·inaudible signal (가청·비 가청 대역을 활용한 실내 공간에서 재난발생 시 대피 경로 탐색방안)

  • Kim, Nam-moon;Kim, Jung-gon;Kim, Young-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72-74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시뮬레이션에 머물렀던 기존의 재난 대피경로 안내 기술을 지향성 스피커와 스마트 디바이스와 결합하여 실제 재난발생 시 적용 가능한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의 연구에서 얻은 대피 경로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지향성 스피커의 방향과 소리의 크기 등의 컨트롤을 통해서 대피자들이 대피 방향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보유하고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대피 방향에 대한 탐색을 통해서 재난으로부터 발생되는 인명 피해를 최소화 하는 기술을 제안하였다. 또한, 가청 과 비 가청 대역을 이용한 대피 안내 방송 송출을 통해서, 재난 발생으로 혼란한 상황에서도 대피 방향 탐색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기술을 제안 하였다.

  • PDF

Design of Fire Emergency Evacuation System using Potential Field (퍼텐셜 필드를 이용한 화재 응급 대피 시스템 설계)

  • Lee, Min-Goo;Jung, Kyung-Kwon;Lee, Won-Seok
    • 전자공학회논문지 IE
    • /
    • v.48 no.3
    • /
    • pp.26-32
    • /
    • 2011
  • This paper proposed that the method be searched for optimal route of evacuation by algorithm using potential field in specific situation, fire. When robot met an obstacle to be indicated it to ignition point, the installed sensor could be detected the point in restricted area. In according as the data of a fire detection sensor and a sensor complex in a building, the information was transmitted to server which computed optimal route of evacuation by algorithm using potential field. After that, it was able to blow a siren and mark the safe-path with using wireless device such as smart-phone.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posed method in functional test, fire emergency evacuation algorithm using potential field, was advanced in circumstance of simulation.

Survey for Awareness for Disaster Safety in South Korean (한국의 재난안전인식에 대한 조사 및 분석)

  • Lee, Min Ji;Chung, Gunh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91-191
    • /
    • 2020
  • 현재 전 세계적으로 태풍, 지진, 홍수 등의 재해 피해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고, 4차 산업의 발달로 인한 AI기술을 활용하여 자연재해 전반을 예측 할 수 있는 시스템이 도입될 정도로 과학적으로 발전 되어진 반면에, 재난으로 인한 인명 피해 수를 저감 시키는 방향을 도모 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고, 국민들의 재난피해의식도 심각 하지 않은 추세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 국민 남녀 489명을 대상으로 재난위험인식에 대한 설문을 작성하여 조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들의 재난 안전의 위험도에 대한 인식 수준이 어떠한지 분석하고, 영향 요인을 탐색 하는 데에 있고, 조사결과 안전취약계층은 스스로 대피 하는 데에 있어 큰 어려움이 있으며, 이중 여성은 남성에 비해 안전교육과 훈련의 접근성이 적음에 따라 위험도가 더 큰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재난 안전교육의 필요성을 가지고 재난 안전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 구축되는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되어지고, 미래에 자연재해 발생 시 문제점을 파악하고 인명피해 감소가 될 전망으로 기대가 된다.

  • PDF

Social Perception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rough Big Data (빅데이터를 통해 살펴본 유아 재난안전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 Kang, Min-Jung;You, Hee-J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2
    • /
    • pp.162-171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ocial perception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ased on Textom big data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young children's disaster safety education. Researchers collected and analyzed online text data using the keywords 'young children+disaster+safety education' from portal websites from 2014 to 2017. The raw data were then subjected to first and second data refinement process. Based on the frequency analysis results, 50 keywords were selected, and the selected keywords were converted into matrix data for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first, the most frequently appeared keyword together with young children's disaster safety education was 'education', followed by 'experience', 'kindergarten', 'prevention', and 'school.' Second, keywords with high centrality in the analysis of centrality also were 'education', 'experience', and 'prevention'. In addition, keywords like 'prevention', 'life', and 'evacuation' appear higher in connection-centricity than frequency ranking, which means that the degree of connection between the words is high. These results suggest that young children need education in during early childhood in order to improve their disaster safety skills, and disaster safety education should be accomplished through 'prevention' and 'experi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