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표항적

Search Result 5,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기계학습을 이용한 대표항적선 결정 연구

  • 백인흠;박준모;하창승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374-376
    • /
    • 2022
  • 항로표지 배치의 적합성 평가 및 검증에 활용하기 위해 기계학습 (Machine Learning)을 통해 대표항적선을 결정한다. 이 연구에서는 대표항적선과 항로표지와의 최근접 거리를 계산하고 시인가능 거리 및 거리율 등을 통해 항로표지의 배치 적합성을 평가하고 검증한다.

  • PDF

해상거리표 개선방안 연구 - 국내항 항구간 거리를 중심으로

  • Jeong, Hae-Sang;Lee, Yun-Seok;Park, Yeong-Su;Yu, Yong-Ung;Lee, Myeong-Gi;Guk, Seung-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05a
    • /
    • pp.5-6
    • /
    • 2018
  • 과거(2011년판)의 해상거리표는 한국근해거리표를 기초로 하였고 해외 해상거리표를 참고하였다고 명시하였으나 해상거리 산출에 대한 근거가 불명확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서비스 대상선박의 선정, 선박의 안전항해, 경제항로 및 GICOMS 자료를 토대로 대표항적을 추출하고 항로계획 수립하여 해상거리를 계산하는 등 그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또한 계산된 해상거리를 통해 해상이용자가 항해전 벙커링을 하거나 운임을 산정하는데 필요한 사항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IS 항적 데이터 기반 선박의 충돌 위험 영역 예측에 관한 기초 연구

  • 박정홍;최진우;김혜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1.11a
    • /
    • pp.181-18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자율운항선박의 원격 관제 및 제어하는 과정에서 원격 운항자에게 사전 충돌 위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선박자동식별시스템(AIS,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의 항적 정보를 토대로 자율운항선박의 운항 경로 상에 잠재된 충돌 위험 영역을 예측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율운항선박의 운항 경로 상에 근접한 타선의 AIS 정보에는 기본적으로 선박의 위치, 속도, 침로에 대한 정보가 반영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정보를 토대로 일정 시간 동안 운항 경로를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예측한 정보를 기반으로 대표적 충돌 위험 지수인 최근접점(CPA, Closest Point of Approach)과 최근접점 거리(DCPA, Distance to CPA) 정보를 활용하여 충돌 위험 영역을 2차원 공간상에서 예측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실제 AIS 항적 데이터를 활용한 수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초기 결과를 검증하였다.

  • PDF

Target Tracking Performance Verification of Surveillance Data Processing System for Air Traffic Control (항공관제용 감시자료처리시스템 항적 추적 성능 검증)

  • Eun, Yeonju;Jeon, Dae-Keun;Yeom, Chan-Hong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1 no.2
    • /
    • pp.171-181
    • /
    • 2012
  • As a sub-system of an air traffic control system, SDP(Surveillance Data Processor) provides with the system tracks of aircraft using the surveillance sensor data from various air traffic surveillance sensors, such as radars. Therefore, the high accuracy of tracking results is a crucial requirement for safe flights, and verification of the required system performance of SDP is an essential step in development. Moreover,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target tracking accuracy is important for newly developed SDP, since there are several tracking methods for Multi-Sensor Multi-Target Tracking, such as MRT(Multi Radar Tracking), inevitably required as the main function of SDP. In this study, definition of required system performances, establishment of test environment, and test results for MRT performance evaluation of SDP, which is being developed in KARI(Korea Airspace Research Institute) are presented.

Critical Review of Discourse on Aging in Korean Newspaper (대중매체에서의 신노년 담론 분석:신문매체를 중심으로)

  • Han, Gyounghae;Yoon, Sung-eun
    • 한국노년학
    • /
    • v.27 no.2
    • /
    • pp.299-322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review recent discourse on aging appeared in Korean newspapers. For this purpose, 1,725 articles on 'aging' or 'elderly' appeared on three major Korean newspapers during 1997- 2006 are analyzed. It is shown that there is a recent surge of articles portraying the positive images of aging in Korean newspaper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productive, successful aging and active life style of the elderly. This trend is a welcomed change from the negative images of elderly as dependent burden of society. However, it seems that over emphasis on positive aging and 'New Elderly' might have created another stereotype about the elderly and unintentionally marginalize the certain group of the elderly. By focusing on individual responsibility, it also overlooked the constraints imposed by social structure on disadvantaged elderly group, such as women, elderly in low socio-economic strata.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of this trends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