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퇴골과

검색결과 583건 처리시간 0.024초

골반 골절의 수술적 교정을 실시한 31두 개에서의 후향연구 (Retrospective Study on Surgical Repair of 31 Canine Pelvic Fracture Cases)

  • 이승훈;박성수;강병재;김용선;김완희;권오경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8-11
    • /
    • 2012
  • 본 조사는 골반골절을 수술적으로 교정한 31두 개에서의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파행과 부중의 정도가 후지의 기능개선 평가에 이용되었다. 단순골절은 천장관절과 장골에서 발생하였으며, 골반골절은 관골절구의 골절을 포함하는 것과 포함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관골절구의 골절은 추가적인 대퇴골 머리 및 목 절제술 또는 관골절구 둘레 고정 만을 실시하였다. 단순골절은 복합골절에 비해 초기 회복시간과 완전한 회복시간 모두 짧았다. 관골절구를 포함하지 않는 골절에서는 포함한 골절에 비해 회복시간이 유의적으로 짧았다(p < 0.05). 또한 대퇴골 머리 및 목 절제술을 추가로 실시한 경우에서 실시하지 않은 것 보다 짧은 회복시간을 보였다. 소형견에서 관골절구의 골절 발생 시 대퇴골 머리 및 목 절제술을 이용한 수술적 교정은 대체 가능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역행성 골수강 내 금속정을 이용한 대퇴골절의 치료 시 골유합 기간에 영향 미치는 인자 (Factors Affecting the Period of Bone Union When Treating Femoral Fractures with a Retrograde Intramedullary Nail)

  • 김범수;김성태;신승엽;전성만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26-333
    • /
    • 2021
  • 목적: 역행성 골수강 내 금속정은 다발성 외상 환자에서 대퇴골 간부 및 원위 대퇴골 치료에 흔히 사용되고 있다. 저자들은 역행성 골수강 내 금속정을 이용하여 치료한 35명의 환자에 대하여 치료 결과와 골유합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역행성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 후 최소 12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35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치료 결과와 환자의 연령과 성별, 분쇄 여부, 개방성 유무, 골절 위치, 동반 골절 유무가 골유합 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평가하였다. 결과: 평균 골 유합 기간은 4.5개월이었다. 3예에서 불유합이 발생하여 총 골절 치료 성공율은 91.4%였다. 골유합 기간은 연령, 성별, 골절 위치, 개방성 여부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분쇄 여부, 동반골절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결론: 역행성 골수강 내 금속정은 대퇴 간부 및 원위부 골절 치료에 효과적 이었다. 분쇄 여부, 동반골절 유무에 따른 골유합 기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만성 카드뮴 처치 쥐에서 골조직 장애에 미치는 녹차 Catechin의 영향 (Effects of Green Tea Catechin on Bone Disorder in Long-Term Cadmium Treated Rats)

  • 최정화;김용진;이순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253-1259
    • /
    • 2001
  • 만성 카드뮴 중독 흰쥐에서의 골조직의 변화와 이에 대한 녹차 catechin의 해독기전을 관찰하고져 하였다. 실험동물은 100g 내외의 sprague-Dawly종 흰쥐를 대상으로 카드뮴을 투여하지 않은 정상군과 카드뮴 투여군으로 나누었다. 카드뮴 투여군은 다시 식이 내 catechin 공급 수준에 따라 Cd-0C 군(catechin 비공급군), Cd-0.25C군(catechin 2.5 g/kg of diet), Cd-0.5C군(catechin 5 g/kg of diet)으로 나누어 10 및 20주간씩 자유섭식시켰다. 카드뮴은 50 ppm C$d^{2+}$ 농도의 식수로 자유로이 공급하였다. 실험동물은 각기간별로 사육후 뼈조직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고 20주째 조직학적 변화 및 골밀도를 관찰하여 만성 카드뮴 중독으로 인한 골조직 장애에 미치는 녹차 catechin의 효과를 관찰하였다. 경골과 대퇴골에서의 카드뮴 함량은 10주에서는 catechin 비공급군인 Cd-0C군에 비하여 catechin 공급군에서 감소하였으며 catechin공급수준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20주에는 Cd-0C군에 비하여 Cd-0.25C군과 Cd-0.5C군이 각각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경골과 대퇴골 두 뼈조직의 무게변화를 관찰한 결과는 모두 10주, 20주에서 정상군에 비해 카드뮴 투여군 모두가 다소 감소되었으며 실험군간의 유의성은 없었다. 뼈조직의 길이를 관찰한 결과 대퇴골, 경골 모두에서 10주, 20주 모두 카드뮴 투여군에서 감소되었으나 catechin을 투여한 군에서는 길이 감소가 다소 완화되었다. Cd-0C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유의성은 없었으나 다소 감소하였다. 경골에서의 골밀도를 관찰한 결과 골밀도는 정상군에 비하여 Cd-0C군은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catechin공급군은 정상군 수준의 골밀도를 관찰하였다. 대퇴골의 골밀도를 측정한 결과 정 상군에 비해 Cd-0C군은 낮았으나 Cd-0.25C군과 Cd-0.5C군은 Cd-0C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정상군에서 보여지는 소견은 카드뮴 투여군에서도 잘 유지되어 있었다. 전자현미경 관찰한 결과 정상군에서 보여지는 소견은 카드뮴 투여군에서 도 잘 유지되어 있었다. 결론적으로 녹차 catechin은 만성 카드뮴 중독 흰쥐에서 경골과 대퇴골에서의 카드뮴 축적을 감소시켰으며 골밀도를 정상화시킴으로서 골조직의 변화를 완화시킴을 알 수 있었다.

  • PDF

중수골에 발생한 단골성 섬유성 이형성증: 1예 보고 (Monostotic Fibrous Dysplasia in the Metacarpal Bone: A Case Report)

  • 조한일;박성훈;정선관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3권2호
    • /
    • pp.203-206
    • /
    • 2009
  • 섬유성 이형성증은 원인불명의 섬유조직의 양성질환으로 정상적인 해면골이 섬유조직과 불규칙적인 골소주의 증식에 의해 점진적으로 대체되는 특징을 가지며 단골성 또는 다골성으로 발생한다. 단골성의 경우 주로 늑골, 대퇴골, 경골 등에서 흔히 발생하지만 손에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13세 남아의 중수골에 발생한 단골성 섬유성 이형성증의 단순X선촬영과 자기공명영상의 소견을 중심으로 증례보고 하고자 한다.

  • PDF

인체 골(bone)의 유한요소 모델링을 위한 VOXEL MESH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oxel Mesh Technique for Finite Element Modeling of Human Bone)

  • 변창환;오택열;백승민;채경덕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81-1084
    • /
    • 2002
  • In this study, we perform 3-D reconstruction of human proximal femur from DICOM files by using voxel mesh algorithm. After 3-D reconstruction, the model converted to Finite Element model which developed for automatically making not only 3-D geometrical model but also FE model from medical image dataset. During this job, trabecular pattern, one of characteristic of human bone can be added to the model by means of giving it's own elastic property calculated from intensity in CT scanned image to the each voxel. And then another model is made from same image dataset which have two material properties - one corresponds to cortical bone, another to trabecular bone. Finally, validity of voxel mesh technique is verified through comparing results of FE analysis, free vibration and stress analysis.

  • PDF

태권도 뒤후려차기 동작시 숙련자와 비숙련자의 근전도 비교 (The Comparison of Expert with Non-Expert EMG during Perform Back-round Kicking of Taekwondo)

  • 김재우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200-205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뒤후려차기시 이용되는 주요 근육들의 근전도 반응을 분석하고, 둘째 지지하는 다리와 차는 다리의 근육들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고, 셋째 숙련자와 비숙련자간 EMG 값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측정된 근육들은 다음과 같다: 슬관절과 대퇴골, 내측광근과 외측광근을 굴곡과 신전을 조절하고, 대퇴골의 신전, 슬관절의 굴곡, 그리고 정강이의 외전을 조절하는 대퇴직근. 선택된 모든 근육의 근전도 반응이 분석되었다. 3개의 발차기가 수행되었고, 각 발차기의 근전도가 분석되었다. 그때 최상의 발차기의 근전도 반응이 근전도 분석에 이용되었다.

  • PDF

슬관절 후방십자인대 대퇴 부착부 거대 삽입성 골낭종 (Huge Insertional Bone Cyst at the Femoral Attachment of th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in the Knee)

  • 민경대;김경범;조휘제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5호
    • /
    • pp.445-449
    • /
    • 2021
  • 슬관절내 삽입성 골낭종은 주로 십자인대의 골 부착부에 작은 낭종의 형태를 보이며, 보통 증상과 관련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31세 남자의 슬관절에서 통증이 유발된 후방십자인대 대퇴 부착부 거대 삽입성 골낭종을 진단하고, 소파술과 골시멘트 충진술로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CT기반 3차원 모델을 이용한 고관절 운동범위 예측 (Hip Range of Motion Estimation using CT-derived 3D Models)

  • 이연수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15-12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CT영상기반 3차원 고관절모델을 이용한 컴퓨터시뮬레이션을 통해서 고관절의 운동범위(Range of Motion)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그 측정방법에 대한 기술적인 사항을 제시하고, 그 기술이 재현성 있게 실현할 수 있도록 대퇴골두 중심점의 결절, 대퇴골 외전(Abduction)/내전(adduction)회전축, 굽힙(flexion)/신전(extension) 회전축을 정의하고 측정하는 명확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외전각은 해부학적인 시상면(Sagittal plane)상의 Anterior-Posterior축에 대해 아래쪽(Inferior)면으로부터 Lateral 쪽으로의 회전각으로 정의된다. 최대외전각은 대퇴골두가 엉덩이뼈(Pelvis)의 절구(Acetabulum)의 테두리와 겹치지 않고 Anterior-Posterior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최대 외전각으로 결정된다. 굴곡각은 해부학적인 관상면(Coronal plane)상의 Medial-Lateral축에 대해 아래쪽(Inferior)면으로부터 회전각으로 정의된다. 최대굴곡각은 대퇴골이 Medial-Lateral축을 중심으로 엉덩이뼈(Pelvis)의 절구(Acetabulum)의 테두리와 겹치지 않고 회전할 수 있는 최대 굴곡각으로 결정된다. 정상고관절에 비해 인공고관절술을 받은 해당 환자의 경우, 외전에서는 60도 정도, 굽힘에서는 4도 정도 운동범위가 줄어들 수 있다는 예측이 나왔다. 본 연구에서 행한 시뮬레이션을 해보고 외전의 경우 운동범위의 감소가 예측되므로, 대퇴골두를 조금 큰 것을 고르거나 대퇴골목부의 길이 (femoral neck offset)를 길게 시술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양성 골 종양의 수술적 치료 후 발생한 골 결손에서 탈무기화 골 기질(DBM, Genesis$^{(R)}$)의 단기 결과 (Early Result of Demineralized Bone Matrix (DBM, Genesis$^{(R)}$) in Bone Defect after Operative Treatment of Benign Bone Tumor)

  • 서현제;정소학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56-63
    • /
    • 2013
  • 목적: 골 종양의 수술적 치료 후 발생한 골 결손에 대해 골 대체물의 하나인 탈무기화 골 기질(Demineralized Bone Matrix, Genesis$^{(R)}$)을 이용하여 치료하고 그 결과를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으로 분석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2년 2월부터 2013년 5월까지 골 종양의 수술적 치료 후 발생한 골 결손에 대해 골 대체물의 하나인 탈무기화 골 기질(Demineralized Bone Matrix, Genesis$^{(R)}$)을 이용하여 치료하였다. 총 25예의 양성 골 종양 환자에서 시행하였으며, 남자 15명, 여자 10명이었고, 평균연령은 30.3세였다. 양성 골 종양의 종류별로 보면 고립성 골낭종이 9예, 비경화 섬유종 5예, 섬유성 이형성증 5예, 동맥류상골낭종 3예, 내연골종 3예였다. 부위별로 원위 대퇴골 5예, 근위 경골 4예, 근위 대퇴골 3예, 근위 상완골 3예, 수지골 3예, 원위 요골 2예, 골반골 2예, 종골 2예, 견갑골 1예였다. 자가골을 함께 사용한 경우가 6예, DBM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가 19예였다. 추시 기간은 최단 6개월에서 최장 14개월로 평균 8.7개월이었다. 주기적인 추시에서 관찰된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DBM의 이식물의 흡수 정도와 골 생성 정도를 술 후 사진과 비교하여 백분율로 표시하여 관찰하였다. 흡수 정도는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관찰할 수 있는 DBM의 부피의 변화로 측정하였고, 골 생성 정도는 결손부의 골 소주의 생성 정도로 측정하였다. 결과: 총 25예 중 23예에서 골 유합(Bone union)을 관찰 할 수 있었다. 골 유합을 보인 23예는 술 후 평균 4.3개월에 98% 이상의 DBM 흡수율을 관찰할 수 있었고 술 후 평균 6.9개월에는 98% 이상의 골 생성을 관찰 할 수 있었다. 골 결손의 양이 적은 경우 골 형성이 빨랐다(p=0.036). 하지만 그 외 환자의 성별, 나이, 자가골의 첨가 여부 등은 이식물의 흡수율이나 골 생성에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으며, 모든 경우에서 최종 추시 상 특이한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양성 골 종양의 수술적 치료 후 발생한 골 결손의 치료제로서 탈무기화 골 기질은 유용할 것으로 생각되나, 장기간의 추시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근위 경골에 발생한 악성종양 절제 후 슬관절 신전력 재건술 -증례 보고- (Reconstruction of Extensor Mechanism After Prosthetic Replacement of The Proximal Tibia)

  • 박종훈;오정문;김진욱;이수용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20-123
    • /
    • 2004
  • 근위 경골부에 발생한 악성종양의 사지구제술은 화학요법의 발달로 인해 대표적인 치료 방법이 되었다. 다양한 술식의 보고에도 불구하고, 종양 절제 후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구제술에 있어 슬개건의 부착 부위가 상실되어 슬관절의 신전력을 재건 하기가 어려운 것이 공통적인 문제로 지적 되고있다. 본 연구는 경골 근위부의 종양을 절제한 후 저온열처리 한 다음 원위 대퇴골을 절제하여 저온열처리 자가경골 및 종양대치물과 결합하고, 슬개골을 자가경골과 결합된 원위 대퇴골에 고정하여 슬관절 신전력을 재건 한 2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