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조차 조간대

검색결과 503건 처리시간 0.019초

화순 조간대 저서 대형무척추동물의 공간적 종다양성에 관한 연구 (Spatial Species Diversity of Macrobenthos in the Intertidal Zone of Hwasoon, Jeju Islands)

  • 이정재;강경철;김종철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3-70
    • /
    • 2001
  • 1999년 9월부터 2000년 8월까지 제주도 안덕면 화순리 화순화력발전소 인접 5개 지점 조간대의 대형저서무척추동물의 분포와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화순화력발전소 인접 조간대에 분포하는 대형무척추동물은총 6 문, 13 강, 24 목, 49 과, 97 종이 출현하였다. 조간대 상부구역의 제 1 우점종은 좁쌀무늬총알고둥, 제 2우점종은 군부 (Liolophura japonica), 테두리고등 (Patelloida saccharina), 배무래기 (Notoarmea schrenckii) 이였다. 중부구역의 제 1 우점종은 울타리고등 (Monodonta labio), 작은조무래기따개비 (Chthamalus challengeri), 고랑딱개비 (Siphonalia japonica), 군부 (L. japonica), 울타리고등 (M. labio)이였으며, 제 2 우점종은 배무래기 (N.schrenckii), 울타리고등 (M. labio), 진주담치 (Mytilus edulis), 거북손 (Mitella mitella), 군부 (L. japonica) 이였다. 하부구역의 제 1 우절종은 꽃고랑딱개비 (Siphonalia sirius), 작은조무래기따개비 (C. challengeri), 해변말미잘(Actinia mesembryanthemum), 테두리고등 (P. saccharina), 울타리고등 (M. labio) 이였으며, 제 2 우점종은 배무래기 (N. schrenckii), 군부 (L. japonica), 석회관갯지렁이(Serpula vermicularis), 울타리고등 (M. labio)이였다. 조간대 종다양도지수나 균등도, 풍부도는 하부구역이 상부구역이나 중부구역에 비하여 컸다.

  • PDF

호안 건설 후 광양만 조간대 퇴적물의 퇴적학적 특성 (Sedimentologic Characteristics of Tidal Flat Sediments after the Construction of Sea Dyke in Kwangyang Bay, South Coast of Korea)

  • 류상옥;신용식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59-669
    • /
    • 2006
  • 광양만에서 호안 건설 후 조간대 퇴적물의 분포 및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표층 퇴적물의 조직 특성과 퇴적률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퇴적물의 평균 입도는 가을에 조립하고 겨울, 봄, 여름으로 갈수록 세립해지며, 여름에는 초기에 일시적으로 조립한 후 세립해지는 계절적 변화를 보였다. 퇴적률은 봄에 퇴적되고 여름과 가을에 주로 침식되어 호안이 건설퇴기 이전인 2001-2003년 동안 관측한 결과와 매우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연평균 퇴적률은 북측 조간대에서는 2001-2003년 동안 관측한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주변에 호안이 건설된 서측 조간대는 퇴적 환경에서 침식 환경으로 변화된 양상을 보였다. 이와 같은 퇴적 환경의 변화는 아마도 호안 건설에 따른 수류의 변형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편광 SAR 자료를 이용한 조간대 표면 퇴적물에서의 마이크로파 산란 특성 연구 (A study on microwave scattering characteristics in intertidal flats using polarimetric SAR)

  • 박상은;김덕진;문우일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6년도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271-276
    • /
    • 2006
  • 이 논문에서는 다편광 Synthetic Aperture Radar (PolSAR) 관측값을 이용하여 남해안 여자만의 조간대 표면 퇴적물에 대한 지구물리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원격 탐사를 이용한 조간대 지역의 연구는 종래의 야외 조사를 통한 연구 방법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으며 특히 다편광 SAR 자료는 주 야 및 기상 상태와 관계 없이 지구 표면의 지구물리학적 정보를 정량적으로 획득 할 수 있다. 이 연구를 위하여 사용된 여자만 지역의 다편광 AIRSAR 자료는 2000 년 9 월 30 일 NASA/JPL PACRIM-II 프로젝트를 통해 획득되었다. AIRSAR 자료의 다편광 정보를 이용한 마이크로파의 산란모델을 바탕으로 조간대 지역의 표면퇴적물에서의 마이크로파 산란 특성을 연구하였다.

  • PDF

사질 조간대 표착유의 방제를 위한 유화분산제의 적용 평가 (Evaluation of Dispersant Application to Stranded Oil as a Clean-up Technique at Sandy Tidal Flat)

  • 정정조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27-23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연안사질 조간대에 표착된 기름의 방제를 위한 화학적 방제법의 적용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사질 조간대에서 유처리분산제의 살포에 의한 해수침투량의 변화 및 표착유의 거동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모의 조간대 실험장치를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파도에너지가 비교적 작은 사질 조간대에서 표착된 원유에 의해서 해수의 침투량이 감소되었으나, 분산제를 살포함으로 인해 해수침투량이 약 30%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질 조간대에 표착한 원유는 토양표층 2 cm부분에서 가장 농도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유화분산제를 살포하였을 경우 침투된 기름이 작은 입자로 분산되어 토양중으로 분산되었다. 따라서 표착된 원유에 분산제를 살포함으로 인해 저서생물의 생존에 필수적인 용존산소, 영양염, 유기물 등의 공급이 회복되어 저서생물에게 생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표착된 기름에 유처리분산제를 살포함으로 인해 표착된 기름이 작은 유적으로 분산되어 비 표면적의 증대로 인한 기름분해 미생물의 분해가 촉진되어 표착유의 처리에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조간대 복원이 수조류의 분포에 미치는 영향 (Study on the Influence of Waterbirds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Restoration of Intertidal Zone)

  • 박치영;신만석;김호준;백운기;이준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37-847
    • /
    • 2016
  • 본 연구는 경기도 시화호를 대상으로 조간대 복원 전(2009~2011년)과 후(2012~2014년)의 조류군집 양상과 이용분포변화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조간대 수조류는 복원 후에 약 4만여 개체가 증가하였다. 대부분 수조류가 증가하였으며, 잠수성오리류는 감소하였다. 관찰된 각 수조류의 개체수 증감 변동 분석을 실시한 결과 도요 물떼새류가 복원전과 비교하여 뚜렷한 개체수 증가를 보였다. 서식지 이용양상의 변화는 복원 후에 가장 넓어진 조간대 면적을 포함하고 있는 남측간척지 조간대와 내수면 조간대 지역으로서 이는 먹이원인 저서생태계의 변화와 연관된다. 복원된 시화호의 저서생태계는 기회종의 감소와 함께 오염에 민감한 평형종의 지속적인 증가로 안정화가 진행되었고 결과적으로 도요 물떼새류의 서식에 환경적 여건이 개선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조간대의 복원은 수조류의 이용 분포변화에도 단시간에 영향을 주었다. 복원 전과 비교하여 모든 수조류가 넓은 면적의 조간대에 고르게 분포하였으며, 특히 도요 물떼새류와 고니 기러기류의 서식분포에 큰 변화를 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조력발전에 의한 인위적인 조간대의 복원이 조류에 미치는 영향 연구로서 수행되었으며, 종다양성 측면에서 조간대의 중요성이 재확인 되었고 현재까지 긍정적인 변화를 보이고 있다. 향후 유사한 환경에서의 생물다양성 유지 및 증진을 위한 대안의 한 방법으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태풍 곤파스 전과 후의 고창 개방형 조간대 표층 지형과 퇴적물 특성 (Characteristics of Surface Topography and Sediments before and after the Typhoon Kompasu in the Gochang Open-Coast Intertidal Flat, Korea)

  • 강솔잎;양우헌;전승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49-162
    • /
    • 2019
  • 서해안 대조차 개방형 연안에서 2010년 태풍 곤파스 전후에 나타난 지형, 표층 퇴적물, 퇴적상 변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소형의 강한 태풍인 곤파스는 2010년 9월 1일과 2일 사이에 한반도 남서부 해안에 상륙하여 내륙을 관통했다. 태풍 전후에 고창 동호리 조간대의 측선을 따라 30 m 간격으로 22개 지점에서 지형을 측량하고 표층 퇴적물을 채취하였다. 연구 지역을 평균고조면, 평균해수면, 평균저조면을 기준으로 고조대, 중조대, 저조대로 구분하였다. 태풍 전후의 지형 변화는 고조대에서 평균 0.03 m 퇴적, 중조대에서 평균 -0.15 m 침식, 저조대에서 평균 -0.39 m 침식으로 나타났다. 조간대의 태풍 전후 표층 퇴적물은 주로 세립사와 중립사로 구성되며, 세립사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태풍 후 표층 퇴적물은 태풍 전에 비해 평균입도가 세립해졌고, 양호한 분급을 보였다.

학암포 사질조간대 대형저서동물의 분포양상 (Distribution patterns of macrobenthos in the sandy shore of Hakampo, Korea)

  • 남기웅;마채우;손대선;김종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729-735
    • /
    • 2015
  • 본 연구는 학암포 사질조간대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와 분포양상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조사 정점의 퇴적물 평균입도는 $1.90{\phi}{\sim}2.52{\phi}$의 범위로 평균 $2.37{\phi}$으로 나타나 전체 정점에서 전형적인 사질조간대의 중립사 퇴적상을 나타냈다. 유기물 함량은 0.90%~1.46%의 범위로 평균 1.15%이며, 대부분의 정점에서 사질조간대에서 나타나는 낮은 유기물 함량 수치가 나타났다. 전체 조사 정점에서 6개의 분류군 총 59종, 출현 개체수는 $668inds./m^2$이었다. 조사지역의 10개 정점에서 Bray-Curtis index의 유사도(Similarity)를 분석한 결과, 크게 3개의 그룹으로 나뉘었는데, 조간대 상부지역인 St. 2~St. 4, 조간대 중부지역인 St. 5~St. 8, 조간대 하부지역인 St. 9~St. 10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상 중 하부로 나누어지는 공간적인 군집구조 양상이 나타났다.

유출된 풍화유와 분산유의 조간대 침투 및 생태계 영향 - 용존상 물질의 침투량 변화 - (Penetration of Weathered Oil and Dispersed Oil and its Ecological Effects on Tidal Flat - as Infiltration of Dissolved Matter -)

  • 정정조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34-13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조간대에서 유출된 기름의 표착 및 침투과정을 파악하고, 침투된 기름의 해수 침투차단 여부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모의 조간대를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표착된 기름의 침투깊이는 분산유가 가장 낮았으며, 풍화유 그리고 원유의 순서로 깊어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리고 기름의 침투는 표착된 기름의 양에 의해 좌우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유출된 기름의 침투는 첫번째 조석에서 거의 대부분 결정되며 그이후에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침투된 기름은 토양 표층으로부터 2 cm 부분이 가장 농도가 높음을 알았다. 기름의 침투량의 증가와 더불어 해수의 침투량이 감소하였으며, 분산유보다는 원유나 풍화유가 보다 많은 양의 해수를 차단하였다. 따라서 해수의 침투량의 차단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연안 조간대에서 표착유의 저서생물에 대한 피해는 풍화유나 원유가 분산유보다 클것으로 사료된다.

  • PDF

ERS-l/2 tandem 자료를 이용한 조간대 지역의 DEM 생성 (DEM Generation over Tidal Flat using ERS-1/2 tandem data)

  • 김상완;홍상훈;나영호;이윤경;원중선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3년도 공동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5-138
    • /
    • 2003
  • 레이더 interferometry 기법을 이용하여 1995년 12월 11일과 12일에 획득된 ERS-1(orbit: 23180, frame 2853), ERS-2(orbit: 03507, frame: 2853) tandem 자료로부터 서해안(강화도-아산만) 지역의 조간대 DEM을 추출하였다. 사용된 SAR 자료는 영상획득 당시의 낮은 조위(ERS-1: 0.89 cm, ERS-2: -0.02 cm), 짧은 시간 간격(1일), 그리고 비교적 긴 기선 간격(270 m 수직 baseline)을 갖기 때문에 조간대 DEM 추출에 매우 적합하였다. 비록 추출된 DEM의 정확도 평가는 수행되지 않았지만 기존에 광학영상으로부터 추출된 남양만 지역의 waterline과 시각적으로 단순 비교될 수 있었다. 보다 정밀한 정확도 평가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료와 같은 날 획득된 곰소만 지역의 자료(frame: 2886)를 사용하여 waterline 방법으로 추출된 DEM 및 현장 측량자료를 이용하여 수행될 것이다. Temporal 그리고 baseline decorrelation 등을 무시하고 SAR 영상의 위상측정 오차만을 이용하여 계산된 고도 정밀도는 SNR 20 dB에서 약 0.57 m이다.

  • PDF

만경강-동진강 하구역 조간대 퇴적층의 퇴적과정 (Depositional processes of Tidal Flat Deposits off Mankyung-Dongjin Rivers West Sea Korea.)

  • 최진용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9-32
    • /
    • 1995
  • 한반도 서해 만경강-동진강 하구역 조간대 퇴적층의 수직층서 퇴적상 변화를 분석 하여 퇴적과정을 기초해양환경의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본 연구해역 저 조선의 퇴적층은 사 질함량이 우세한 반면 방조제와 인접한 만조선의 퇴적층은 실트질이 우세하였고 상층과 하 층의 퇴적물이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사질퇴적층의 내부퇴적구조는 괴상구조, 평행층리 및 사층리 구조등이 우세하며 니질퇴적층에서는 모래/니질 교호엽리구조가 우세하다. 본 연구 의 결과 만경강-동진강 조간대 퇴적층서는 인근의 방조제 축조에 다른 퇴적환경 변화에 크 게 영향받은 것으로 해석된다, 즉 방조제축소 이전 고에너지의 퇴적환경에서 집적되었던 사 질퇴적층이 방조제축조 이후에는 저에너지 환경조건에서 집적된 니질퇴적물로 피복된 것으 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