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식세포주

검색결과 305건 처리시간 0.029초

토복령(土茯笭)이 RAW264.7 대식세포주에서 산화질소 억제에 미치는 영향 (Inhibitory effect of Smilacis Glabrae Rhizoma on nitric oxide production in the macrophage cell line RAW 264.7)

  • 이강희;정준희;김이화;이재혁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6권3호
    • /
    • pp.69-76
    • /
    • 2009
  • Objectives : 본 연구의 목적은 제습, 해독, 통리관절등의 효능이 있는 토복령이 RAW264.7 대식세포주에서 lipopolysaccharide(LPS)로 처치하여 생성되는 nitric oxide(NO)와 prostaglandin $E_2$($PGE_2$)에 억제작용이 있는지 관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Methods : 토복령이 RAW264.7 대식세포주에 세포독성이 유무를 관찰하기 위하여 농도별 MTT assay를 수행하여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LPS로 염증유발된 RAW264.7 대식세포주에서 토복령의 농도별 처치가 NO 및 $PGE_2$ 생성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NO 및 $PGE_2$ assay를 수행하였다. Results : 토복령의 농도별 처치가 RAW264.7 대식세포주에서 세포독성을 유발하는지 MTT assay로 측정한 결과 세포독성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토복령은 LPS처치로 인하여 증가된 NO 및 $PGE_2$ 생성을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시킴을 관찰하였다. Conclusions : 본 연구를 통하여 토복령은 RAW264.7 대식세포주에서 LPS로 유도된NO 및 $PGE_2$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킴으로써 추후 염증질환의 치료제로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구절초(九折草)가 LPS로 염증유도(炎症誘導)된 대식세포주(大食細胞柱)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on the release of inflammatory mediators from LPS-stimulated mouse macrophages)

  • 이정호;김이화;이재혁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09-221
    • /
    • 2008
  • 목적 : 구절초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가을에 줄기와 잎을 가을에 채취한 것을 한약재로 사용하여 대한, 월경불순 등 각종 여성질환과 함께 위냉증, 소화불량, 감고, 폐렴, 기관지염, 배뇨장애 및 신경퇴행성 질환에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LPS로 염증유도된 대식세 포주를 활용하여 구절초의 항염증효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 구절초 추출물의 항염증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RAW264.7 대식세포주에서 MTT cytotoxic assay, iNOS 및 COX-2 발현, NO와 PGE2 생성 및 $NF-{\kappa}B$ 활성실험을 수행하였다. 결과 : 세포독성실험을 통하여 구절초 추출물의 안전성이 확인되었으며 LPS로 염증유도된 RAW264.7 대식세포주에서 증가된 iNOS의 발현이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NO 및 PGE2의 생성을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구절초가 염증매개물질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NF-{\kappa}B$ 활성도를 감소시킴을 관찰하였다. 결론 : 이러한 결과는 구절초가 $NF-{\kappa}B$ pathway를 조절해 줌으로써 항염증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질편모충에 대한 대식세포의 세포독성에 있어서 NO의 역할 (The role of nitric oxide as an effector of macrophage-mediated cytotoxicity against Trichomonas vaginalis)

  • 박건채;류재숙;민득영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5권3호
    • /
    • pp.189-196
    • /
    • 1997
  • 활성화된 대식세포에서 생산되는 NO가 질편모충에 대해 세포독성이 있는지를 관찰하고자 질소 중간산물에 영향을 주는 약제를 첨가한 후 nitrite 생산 및 세포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대식세포로는 마우스(BAkBlc) 복강 대식세포와 마우스 복강 내 종양세포인 RAW264.7 세포로 LPS(lipopolysaccharide)나 $rIFN-{\gamma}$로 활성화시켜 사용하였다. 세포독성의 측정을 위해서 질편모충을 methyl-[$^3H$]-thymidine으로 표지하였고 NO의 측정은 Griess reagent를 사용하여 시행하였다. 마우스 복강 대식세포는 LPS로 활성화시켰을 때 질편모충에 대한 세포독성이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고, RAW264.7 세포는 $rIFN-{\gamma}$ 또는 $rIFN-{\gamma}$ 및 LPS로 활성화시켰을 때 대조군에 비해 세포독성 및 nitrite 생산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LPS로 활성화시킨 마우스 복강 대식세포와 $rIFN-{\gamma}$로 활성화시킨 RAW264.7 세포에 NO 생산에 영향을 주는 NG-monomethyl-L-arginine(L-NMMA), NC-nitro-L-arginine methyl ester(NAME), arginase를 첨가하였을 때 약제 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질편모충에 대한 세포독성과 nitrite 생산이 감소하였다. NO synthase coractor인 tetrahydrobiopterin($H_4B$)을 마우스 복강 대식세포에 넣었을 때 질편모충 에 대한 세포독성이 증가하였다. Ferrous sulfate를 두 종류의 활성화시킨 대식세포에 첨가하였을 때 질편모충에 대한 세포독성과 nitrite생산이 감소하였다. 이상의 성적을 종합하면 대식세포의 활성화에 따라 NO 생산 및 세포독성이 증가하였고. NO 생산을 저하시키는 약제들은 활성화된 복강 대식세포 및 RAW264.7 세포에 의한 질편모충에 대한 세포독성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아 NO는 질편모충에 대한 대식세포의 숙주 방어기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감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Tetrahymena pyriformis에 의한 마우스 복강내 대식세포의 활성화 (Effect of in vivo administration of Tetrahymena pyriformis on the in vitro toxoplasmacidal activity of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 김정태;정평림;임경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9권2호
    • /
    • pp.129-138
    • /
    • 1991
  • 자유생활 담수 섬모충류의 일종인 Tetrahymenn Pyriformis는 비특이적으로 복강 대식세포를 활성화하여 미생물 살멸효과가 있음이 밝혀졌으나 한국에서 순수분리 배양된 GL주(주)에 대한 평가는 시행된 바 없어 본 섬모충의 추출액을 ICR 마우스 복강 내로 주사하여 복강 대식세포를 활성화한 다음 실험실 내에서 표적 기생 원충인 Toxoplasma gondii (RH 주)를 접촉시켜 시간별로 Togoplasma 살멸 효과를 보아 대식세포의 환성도를 평가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표적 기생 원충으로서 살아있는 Toxoplasma 영양형을 주입하였을 경우, 대식세포 활성제 처리 실험군은 물론 대조군에서도 모두 처리 1분 이내에 Toxoplasma가 숙주세포내로 침입 내지 탐식되었으며 이때 탐식지수 범위는 15∼51%였다. 대조군에서는 배양 시간에 따라 100개의 대식세포당 총 탐식 표적 기생충 수가 증가하였으나 활성제 처리군에서는 배양 20시간에 그 수가 모두 줄었고 Tetrahymena 처리군에서는 총 표적 기생충 수가 14, 탐식지수 10%로서 가장 왕성한 대식세포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화학 함성 활성제로서는 dimethyldioctadecylammonium bromide (DDA)가 Tetrakymena와 대차 없는 대식세포 활성효과를 보였다. 표적 기생 편충으로서 열처리 Tonxplasma 영양형을 주입하였을 경우, 대조군을 포함한 모든 실험군에서 처리 1분 이내에 역시 Toxoplasma 가 숙주 세포에 의해 탐식되었으며 탐식지수 범위는 8∼25%여서 살아있는 영양형을 처리하였을 때보다 낮은 범위를 보였다. 이때 Tetrakymena 처리군에서는 탐식지수 4%, 대식세포 100개당 표적 세포 총수가 4로서 Texoplasma 추출액 처리군과 함께 가장 우수한 활성제로 평가되었으며 화학합성 활성제로서는 DDA, dextran sulfate, complete Freund's adjutant 순으로 환성 효과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T. pyriformis (GL 주)는 화학합성 활성제보다 우수한 Toxoplasma 살멸 효과를 나타내었고, 실험실 내에서 대량 무균 배양될 수 있어 앞으로 대식세포 활성제로서, 나아가 Toxopzasma 감염 억제제로서 널리 이용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질트리코모나스(Trichomonas waginazis)에 대한 마우스 복강 대식세포의 세포독성 (Cytotoxicity of resident and Iymphokine-activated mouse peritoneal macrophage against yrichomonas vaginalis)

  • 유재숙;안명희;민득영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8권2호
    • /
    • pp.85-90
    • /
    • 1990
  • 질트리코모나스(Trichomenas vaginalis)에 대한 마우스의 복강 대식세포 및 림포카인으 로 활성화시킨 대식세포의 세포독성을 각각 관찰하였다. 세포독성은 질트리로모나스를 3H-TdR로 label시킨 후 대식세포와 반응시켜 사멸한 원충에서 방출되는 방사능 양을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대식세포의 원충에 대한 비율을 1 : 1, 5 :1, 10 : 1, 20 : 1 및 50 : 1로 증가시키고 반응시간을 12시간 및 24시간으로 변화시켰을 때, 대식세포와 원충의 비율 10 : 1 및 24시간 반응의 경우 가장 놓은 세포독성을 보였다. 마우스 비장세포를 phytohemagglutinin으로 자극시켜 얻은 림포카인으로 활성화시킨 대식세포에서는, 아무 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 대식세포와 비교하였을 때 세포독성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나 세포독성이 림포카인의 희석정도와는 비례하지 않았다. 또한 질트리코모나스에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세포는 주로 플라스틱에 부착하는 대식세포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NQO1 (NAD(P)H:quinone oxidoreductase 1)에 의한 대식세포 활성화 억제 (Inhibitory Effect of NAD(P)H:Quinone Oxidoreductase 1 on the Activation of Macrophages)

  • 훙지;장펑;윤이나;김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8호
    • /
    • pp.873-878
    • /
    • 2017
  • 본 연구는 대식세포 활성화 과정에서 NQO1의 역할을 확인하는 것이다. 대식세포의 활성화 정도는 배양액으로 분비하는 IL-6와 $TNF-{\alpha}$ 양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먼저 NQO1 WT 생쥐와 NQO1 KO 생쥐에서 각각 분리한 복강대식세포의 활성화 정도를 비교해 보았다. 특이하게도 NQO1 KO 복강대식세포가 NQO1 WT에 비해서 더 높게 활성화되어 있었다. 또한 일반 생쥐의 복강대식세포에 NQO1 억제제(dicumarol)을 처치한 경우에도 강한 활성이 유도됨을 확인하였다. Dicumarol을 처치한 RAW264.7 (대식세포주)에 서도 강한 활성화가 관찰되었다. 이는 NQO1이 대식세포의 활성화 과정을 억제하는 경로와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더욱이 dicumarol을 처치하여 NQO1의 기능을 억제시킨 다양한 대식세포에서 $I{\kappa}B$ 단백질이 유의하게 감소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대식세포 활성화 과정을 매개하는 주요 신호분자가 $NF{\kappa}B$이며 이 분자에 대한 억제자가 $I{\kappa}B$라는 사실들을 감안할 때, NQO1의 기능이 $I{\kappa}B$ 단백질변성 억제와 연관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대식세포의 활성화를 차단했을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향 후 대식세포 활성화 과정을 조절하는 NQO1의 역할을 규명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기초 결과가 될 것이다.

보리발효추출물로부터 분리한 다당의 대식세포 활성화 및 신호 전달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fermented barley extract activates macrophages via the MAPK and NF-κB pathways)

  • 김한울;지희숙;신광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555-563
    • /
    • 2018
  • 보리는 높은 비율로 식이섬유를 함유하고 있어, 일반적으로 영양학적으로는 전곡 형태로의 섭취가 추천되고 있지만, 조직감과 소화율을 고려하여 발효물 형태의 소비가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본 연구는 효소당화 후, 효모 및 유산균 발효를 거쳐 조제한 보리발효물로부터 조다당 BF-CP를 분리하고, 대식세포에 대한 면역증강 효과 및 세포 내 신호전달을 규명하여 기능성 소재로의 이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계획되었다. BF-CP 획분의 일반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70.7% 글루코스 11.4% 자일로스 및 9.0% 아라비노스를 포함하여 91.1%의 중성당으로 이루어진 중성다당이었다. BF-CP는 RAW 264.7 대식세포주에서 농도의존적으로 IL-6, $TNF-{\alpha}$와 같은 사이토카인 및 NO의 생산능을 유도하는 등 높은 대식세포 활성능을 나타냈다. 또한 qPCR 분석을 통해, BF-CP 획분을 대식세포주에 처리하였을 때, 처리 농도에 비례하여 IL-6, $TNF-{\alpha}$ 및 iNOS의 mRNA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Western blot을 활용한 신호전달 단백질 추적실험에서 BF-CP 획분을 대식세포주에 처리하였을 때, JNK, ERK 및 p38과 같은 MAPK 경로와 $NF-{\kappa}B$ 경로의 관련 단백질을 인산화시킴이 확인되었으며 그 활성은 BF-CP 농도에 의존적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보리발효물 유래 다당 BF-CP는 MAPK와 $NF-{\kappa}B$ 경로를 통해 대식세포를 활성화시키며, 이를 통하여 NO, IL-6 및 $TNF-{\alpha}$와 같은 면역활성화 관련 물질의 생산을 높은 비율로 유도시킨다는 것을 최종 확인할 수 있었다.

유산균의 항균효과와 대식세포 활성화 (Antibacterial Activity and Macrophage Activ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 박소희;김윤아;이도경;이상진;정명준;강병용;김경제;하남주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2권4호
    • /
    • pp.287-297
    • /
    • 2007
  •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은 Escherichia coli와 Salmonella typhimurium과 같은 병원균에 항균 활성을 지니며 면역 증강효과를 나타내는 등 건강에 이로운 다양한 역할을 한다. 유산균에 의한 항균 효과는 E. coli와 S. typhiumurium에 대항하는 항균 활성으로 측정되어 졌으며, 면역 증강 효과는 유산균을 처리한 RAW264.7 대식세포의 활성화로 측정하였다. Lactobacillus acidophilus, Streptococcus thermophilus, Bifidobacterium bifidum의 E. coli와 S. typhimurium에 대한 항균활성은 9시간 이상 혼합 배양하였을 때 가장 좋은 항균효과를 나타내었고 E. coli와 S. typhiumurium 두 균주가 9시간 이후에는 모두 콜로니를 형성하지 않았다. RAW264.7 세포는 유산균에 의한 NO와 $TNF-{\alpha}$의 생성과 대식세포의 형태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대식세포로서 이용되었다. NO와 $TNF-{\alpha}$의 생성은 유산균을 처리한 RAW264.7세포의 24,48시간 배양 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대식세포의 형태 변화 역시 유산균에 의해 영향을 받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주)쎌바이텍으로부터 분양받은 유산균은 항균활성과 대식세포의 활성을 유도하여 면역을 증강시키는 효과를 지니고 있음을 in vitro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에 자연감염된 포유자돈의 폐장에서 면역조직화학법을 이용한 바이러스 항원의 확인 (Immunohistochemical identification of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 antigen in the lungs of naturally infected piglets)

  • 천두성;민경섭;채찬희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417-423
    • /
    • 1997
  •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의 nucleocapsid와 반응을 하는 SDOW17 단크론항체를 이용하여 중성 포르말린에 고정시킨 자연감염된 포유자돈의 폐장에서 면역조직화학법을 이용하여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 항원을 확인하였다.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병리학교실에 의뢰된 포유자돈들 중에서 병리조직학적으로 폐장에서 간질성 폐렴이 관찰된 포유자돈 7두를 임의로 선택하여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간질성 폐렴의 병변으로 많은 수의 대식세포 침윤을 동반한 폐포벽 두께의 증가와 제II형 폐포세포의 비후가 관찰되었다. 검사한 7두 포유자돈중에서 6두에서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를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에 의해 확인하였다. SDOW17 단크론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염색과 간질성 폐렴의 대식세포에서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의 항원을 검출하였고, 항원은 (주로)대식세포의 세포질에서만 진한 갈색의 양성반응이 관찰되었다. 이상 검사결과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는 폐장의 간질과 폐포강에 분포되어 있는 대식세포에서 주로 증식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면역조직화학법은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 감염여부를 바이러스 분리 또는 혈청검사 없이 진단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진단방법으로 판명되었다.

  • PDF

폐흡충(Paragonimus westermani) 감염시의 세포 면역학적 장어 기전 (Antibody-dependent rat macrophage-mediated damage Into the excysted metacercariae of Paragonimus westeymani in vitro)

  • 정평림;장재경;소진천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9권1호
    • /
    • pp.43-54
    • /
    • 1991
  • 폐홉충(Paragonimus westermani) 초기 감염시의 숙주 면역 기전을 알아보기 위하여 폐흡충 피낭유충을 백서에 감염시켜 주별(주별)로 항혈청을 분리하고 등일 백서에서 복강 대식세포(homologous rat peritoneal macrophage)를 얻은 다음, 이들과 폐흡충 탈낭유충 및 숙주 조직 이행중인 유약충으로 effector system을 조작하여 폐흡충 유충에 대한 항체 의존성 대식세포 공격기전을 관찰하였다. 백서 복강 대식세포는 항혈청 출현 시에만 폐흡충 탈낭유충에 대한 세포부착 반응(cell adherence reaction)을 보였고 이 반응에는 보체가 관여하지 않았다. 폐흡충 감염 1주에서 8주까지의 백서 항혈청 중 2주째에 분리한 항쳔청 실험군에서 100%의 세포부착 반응을 나타내었고 사멸된 충체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세포부착 반응은 탈낭 유충기에서만 나타나는 반면 조직이행 유약충에서는 전혀 그 반응을 인정할 수 얼어 폐흡충 감염에 따른 항체의존성 숙주 세포 매개독성(antibodydependent cell·mediated cytotoxicity)은 발육단계 별 특이성을 보였다. 한편, 대식세포의 공격에 의하여 사멸된 폐흡충 탈낭유충의 형태학적 특징은 대식세포와 유충 사이에 형성되는 fuzzy material, tegumental syncytium 내의 미세구조의 변성 및 syncytium과 근육층을 연결하는 tubular tunnel의 형성 등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