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순

Search Result 286, Processing Time 0.02 seconds

Introducing the Digital Culture Map of Daesoon Jinrihoe: Answering the Need for Information on Daesoon Jinrihoe via the Digital Culture Map of Daesoon Jinrihoe (대순진리회 전자문화지도 개발 시론 - 대순진리회 전자정보 제공 양상과 전자문화지도 개발의 필요성 -)

  • Byun Ji-sun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44
    • /
    • pp.97-140
    • /
    • 2023
  • This article is meant to serve as an introduction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culture map of Daesoon Jinrihoe. Recently there has been frequent discussion over the need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website of Daesoon Jinrihoe's Yeoju Headquarters Temple Complex, and the further need to produce a digital culture map of Daesoon Jinrihoe. The production of digital culture map of Daesoon Jinrihoe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ublicize and enhance its status worldwide beyond simply building digital archives, collecting data, visualizing Daesoon Jinrihoe materials, and acquiring tools for research on Daesoon Jinrihoe.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Daesoon Jinrihoe's digital culture map is expected to be a step for Daesoon Jinrihoe to leap forward globally. Next in the process would be the study of data. The current status of Daesoon Jinrihoe's data and analysis of the contents will enable researchers to proceed to the next stage. In the production of digital culture map of Daesoon Jinrihoe, the next step to be studied after data research is to review precedents in the production of digital culture maps related to religion. Researchers will be able to review domestic precedents and overseas precedents, and based on those, it will be possible to suggest a direction for developing Daesoon Jinrihoe's digital culture map.

대순진리회의 '선화(善化)'사상에 대한 연구

  • 위꿔칭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23
    • /
    • pp.193-239
    • /
    • 2014
  • 본 논문은 대순사상의 선화(善化)사상을 살펴보고 그 주체성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전경』에서는 어떻게 선을 드러내고 행하며 더 나아가 선으로 중생을 교육하고 천하를 교화하는가 하는 선화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데, 이는 곧 대순진리회의 핵심 사상으로 볼 수 있다. '선화'사상은 세 가지 내용으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도덕적 의미에서 만물을 도와서 교화시키거나 만물을 크게 이롭게 하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 둘째, 상선(上善)의 덕 외에도 상선의 법이 필요한데, 이는 '선을 행하는 목적'에 부합하고 또한 선을 행하는 법칙을 지키는 실천방법과 절차를 말한다. 셋째, 가장 높은 차원에서의 '선'은 윤리도덕의 단계를 초월한다. 이에 대순진리회의 '선화'사상을 살펴보면 첫째, 대순진리회의 목적인 무자기, 포덕천하, 광제창생, 보국안민, 지상천국건설에 나타난 문자의 표면적 의미와 내재적 의미는 모두 '선화'의 내용에 포함된다. 둘째, 대순진리회 목적의 실현은 그 종지와 신조에 의거하는데, '합덕·조화·해원'과 사강령(四綱領)과 삼요체(三要諦)에도 '선화'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셋째, 대순진리회의 목적은 도인들의 구체적 행위를 통해 실현되는데, 수도와 공부의 필요성과 규범 속 그리고 상제와 도주 조정산(趙鼎山)의 창교(創敎)나 선교(宣敎) 등 구체적인 실례에서도 '선화'의 원칙이 분명하게 드러나 있다. 대순진리회의 '선화'사상은 전형적이고 신성한 종교 도덕적 특징과 일상생활의 의미가 담긴 사회 윤리적 특징이 있으며, 또한 윤리를 초월하고 진선(盡善)을 추구하는 궁극적 목적의식과 이론적 깊이가 있다. 대순진리회 '선화'사상의 주체성과 이론구조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순진리회의 '선화'사상에서는 무엇보다 윤리 도덕적 측면에서의 선의 배양과 실천을 중시한다. 둘째, 대순진리회의 '선화'사상은 윤리도덕의 선을 실천하는 법문(法門)을 제시하였다. 셋째, 대순진리회의 '선화'사상은 수도의 최종 목적인 대선(大善)·지선(至善)·진선(盡善) 등을 추구하고 실현할 것을 강조하였다. 선화사상이 나타내는 핵심인 '선덕'과 이로부터 발전된 '선행선법(善行善法)'이 결국 윤리도덕의 차원을 초월하였음을 알 수 있다.

A Study on the Future Prospect for Establishing the True Donghak Phase of Daesoon Thought (대순사상의 참동학 위상정립을 위한 미래관 연구)

  • Kim, Yong-hwan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29
    • /
    • pp.1-36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future prospects for establishing the True Donghak phase of Daesoon Thought. The True Donghak refers to 'the future prospect of having a true life, true thinking, and true living' in which enjoying the world in a state of good fortune became a true reality after the death of Suwun, according to faith in Gucheon Sangje. The correlation between "Attending to the Lord of Heaven" in Donghak, and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in Daesoon shows the prospect of achieving the Daesoonist transformation into energy to gain true life and re-creation. The correlation between "Nourishing the Lord of Heaven" in Donghak and "Attending to Study and Attending to Law" in Daesoon show the transformation of Daesoon-reason into true thinking and renewing. The correlation between "Humanity is Divine" in Donghak and "The Salvation of Humanity is the Will of Heaven" in Daesoon show transformation into the practice of Daesoon for the true living and renewing. This investigation utilizes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generation theory of life-philosophy to examine revelations regarding the conversation between Spirit and Mind. This is the future prospect for the establishing the True Donghak phase of Daesoon thought. It consists of a threefold connection among life, thinking, and living. The "public-centered spirituality of Daesoon Truth" which connects and mediates among people appears in three aspects. Firstly, it is thought to be the vision of the true life through the 'renewal of active, energetic power' bestowed by Gucheon Sangje. Secondly, it is thought to be the vision of true thinking through the "renewal via freedom from delusion". Thirdly, it is thought to be the vision of true living through the "renewal of true mind". To bring about the creation of true Donghak, Gucheon Sangje incarnated to the Korean peninsula instead of Suwun and the salvation of the world salvation now centers on Korea with regards to the threefold connection future prospect. Gucheon Sangje's revelation addresses and solves the postscript problem of Chosun and further establishes a Utopia. Suwun established Donghak but failed later on due to his lankiness. At last the true Donghak has been opened for the future by Gucheon Sangje and Jeongsan's fifty years of religious accomplishments. In the long run, it has been developed further by Woodang's Daesoon Jinrihoe.

『전경』의 숫자 부호 '삼(三)'의 의미에 대하여

  • 양옌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23
    • /
    • pp.293-344
    • /
    • 2014
  • 본 논문은 『전경』에서는 나타나는 숫자 부호 '삼(三)'의 의미와 나아가 '삼'과 『주역』 그리고 도교 신선신앙과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중화의 문화에는 예부터 '삼'을 숭상하는 풍속이 있고, 도교문화도 '삼'을 숭상한다. 이는 주로 『주역』, 『도덕경』 및 도교 신선신앙과 관련이 있다. 한국문화는 전체적으로 중국문화의 영향을 깊이 받았다. 대순진리회 또한 이러한 배경 하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대순진리회에서는 '삼' 이라는 숫자를 반복해 사용하고 있는데, 어떤 의미에서 이것은 『주역』에 나타나는 부호 상징 사유의 확장된 표현이라 할 것이다. 또한 대순진리회의 교의(敎義)와 부도(符圖)에서도 '삼을 숭배하는(尙三)' 도교 신선신앙의 특징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대순진리회에서 볼 수 있는 '삼'의 의미는 도교의 영향을 받은 것일 가능성이 매우 크다. 이렇게 말하는 것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대순진리회의 상제와 종도들이 중국의 서적을 이해하고 중시했기 때문이며 대순진리회의 구천상제께서 많은 종교를 통섭하였기 때문이다. 공사(公事) 활동, 부주(符呪) 문건, 상제와 도주의 행적 사료, 신령신앙 등의 내용 곳곳에서 '삼'이라는 특별한 숫자에 대한 각별한 관심이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이러한 '삼'은 생명과 시작을 나타내며 또한 완성과 완결을 의미한다. 대순진리회 신앙의 특징을 보면 그 배후에는 아주 깊은 중국문화의 영향이 있으며, 『주역』사상의 구체적인 표현이고, 도교신선신앙의 흔적이기도 하다. 물론 대순진리회는 자신만의 독창적이 재해석으로 이러한 문화나 사상을 계승하고 발전시켰다. 그렇기 때문에 '삼'이라는 숫자의 근원을 탐구하고, '삼'이 지니고 있는 철학적 사상을 파헤쳐 그 속의 오묘함을 발견한다면 대순사상의 깊을 뜻을 이해하는데 더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대순사상의 인문정신과 인류평안의 이념

  • 잔스촹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21
    • /
    • pp.199-254
    • /
    • 2013
  • 대순사상은 인간의 행위와 정신적 틀, 즉 몸과 마음을 닦고 세상을 다스리며 백성을 평안하게 하는 도리를 설파하고 있다. 우주 공간의 질서와 깊은 연관을 맺는 이러한 도리는 인간 자신의 인지(認知)와 심신 수양의 내용을 포함하며, 사람이 사회와 우주자연과의 관계를 어떻게 처리해 나갈 것인지에 관한 문제도 다루고 있다. 따라서 대순사상을 인문이라는 관점에 입각하여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이탈리아에서 시작된 서양의 인문주의와 비교해 볼 때, 중국 전통의 인문정신은 인류 개체의 창조력과 그 성과를 인정하고, 인격적 수양과 개선을 주장하며, 사회의 조화를 강조하는 한편, 인류가 반드시 천지인의 조화로운 관계 속에서 개체와 전체의 생존을 파악해야 함을 강조한다. 이러한 인문정신은 『전경』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그 하나가 모악산과 단주(丹朱)에 대한 서술인데, 모악산은 산 즉 '간'(艮)괘이며 단주는 적색에 상응하니 곧 '리'(離)괘가 된다. 이 두 괘가 서로 조합하면 '비(比)'괘가 되며, 『주역』의 비괘와 연관하여 서로 간의 모순을 없애고, '바둑'을 두는 기법을 거울삼아 심성을 다스리며, 인격을 완성하고, 인신이 조화를 이루도록 하며, 사회를 안정시킬 것을 말한다. 대순 신앙의 최종 목표는 지상천국을 건설하는 것인데, 이런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인격수양을 그 출발점으로 삼아야 한다. 인격수양의 목표는 바른 도인이 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수도 공부를 해야만 한다. 수도는 춘추시기 노자 이래로 유구한 문화적 전통을 지닌 것이지만, 대순진리회는 한국사회 역사의 경향과 현실의 필요에 부응하여 수도 이론을 새롭게 수립하였다. 이를 살펴보면, 대순진리회는 수도자가 '성(誠), 경(敬), 신(信)'에 힘쓰는 품격 함양을 매우 중시한다. 또 도인들이 가정의 화목에 힘써야 하며, 솔선수범하는 도인으로서 사회의 모범이 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이렇게 볼 때, 대순진리회는 '인도'(人道)를 함양함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것은 전통적인 유가에서 말하는 '수신, 제가' (修身, 齊家)의 정신과 그 의미가 맞닿아 있다. 또한 중국 도교의 '선도(仙道)를 이루고자 하면 먼저 인도(人道)를 행하라'는 사상적 취지와도 일치한다. 대순진리회에서 수도의 최종 목표는 도통이다. 도통은 수도자가 매우 높은 경지에 이르게 되었을 때 가지는 특수한 능력과 정신의 경지이다. '도통'에 대한 기록은 『장자·제물론』, 『문자』의 「부언편>(符言篇) 등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대순진리회가 말하는 도통은 중국의 도가 전통에 보이는 도통과도 연관되지만 강한 인륜수양(人倫修養)적 특색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것은 대순진리회가 가지는 중요한 인문적 함의라 하겠다. 대순진리회는 수도 공부로써 광제창생·보국안민·지상천국건설의 사회적 이상을 실현하고자 한다. 조화로운 사회적 관계를 수립하기 위한 토대는 대순진리회의 종지 첫 번째인 음양합덕이다. 음양합덕은 대순진리의 인문 취지의 이론적 기초를 형성하는 사상이다. 음양합덕의 철학적 사고는 종지 두 번째인 신인조화(神人調化)의 이상으로 이어진다. 신인조화는 『상서·순전』(尙書·舜典)의 신인이화(神人以和)에서 그 사상적 연원을 찾아 볼 수 있다. 다만 신인이화가 율려 조화의 '결과'를 표현한 것이라면, 신인조화에서 중시하는 것은 '과정'이며 인간과 신의 상호작용이라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신인조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공부를 해야 하며, 그 배후에는 인본(人本)의 사상이 깃들어 있다. 그것은 종지 세 번째인 '해원상생'의 내용에서 더욱 명확하게 드러난다. 신인조화가 인간과 신의 관계를 조화롭게 하는 것을 말한다면, 해원상생은 인간과 인간의 관계를 조화롭게 하는 것을 말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긴 역사의 과정 속에서 맺힌 원을 풀어 우주의 기운을 잘 통할 수 있게 하고 인간 사회의 정상적인 교류를 이루도록 한다. 이러한 내용은 사회적인 인문적 관심과 배려를 다분히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대순진리회의 종지 네 번째인 도통진경은 수도의 가장 높은 경지를 말하는데, 이러한 이념은 노장 일파의 도가 학자들이 말한 순박한 본성으로 회귀하자는 정신에서 그 원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는 한진(漢晉)시대 이래 중국 도교가 추구했던 '진경' 의 의미와도 합치된다. 그러나 시대와 환경이 다름으로 인해, 대순진리회의 '진경'은 사회생활의 의미까지 내포한다. 비록 대순진리회의 경전이 인본(人本)을 명확히 밝히고 있지는 않으나, 대순진리회의 요의(要義) 중 하나인 인존사상은 대순진리회의 인문정신을 말해주는 것이다. 인존사상의 직접적인 기능은 평안(平安)으로서 삶을 이롭게 하는 것이다. 대순진리회는 우주대원의 진리를 '도'라 하였는데 이러한 '도'는 중국의 도가에서 말하는 '도'와 동일하며, 여기에는 '안(安)'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대순진리회의 신조 중 '안심', '안신'은 마음을 정(靜)하게 하고, 몸을 편하게 하는 것으로 볼 수 있지만, 심신의 공포와 두려움을 떨쳐내어 안전과 보호를 얻는다는 의미도 있으므로 결국 평안이 전제가 된다. 이렇듯 대순진리회에서는 '평안에 대한 희구'를 근본으로 하여 신앙인들이 열심히 수도에 정진하고 있다. 대순진리회가 인류 평안을 기본으로 하는 종교라는 점에서, 반드시 세인들의 환영을 받을 것임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Virtuous Concordance of Yin and Yang and Tai-Ji in Joseon art: Focusing on Daesoon Thought (조선 미술에 내재한 음양합덕과 태극 - 대순사상을 중심으로 -)

  • Hwang, Eui-pil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35
    • /
    • pp.217-253
    • /
    • 2020
  • This study analyzes the principles of the 'Earthly Paradise' (仙境, the realm of immortals), 'Virtuous Concordance of Yin and Yang' (陰陽合德), and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天地公事) while combining them with Joseon ar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iscover the context wherein the concept of Taiji in 'Daesoon Truth,' deeply penetrates into Joseon art. Doing so reveals how 'Daesoon Thought' is embedded in the lives and customs of the Korean people. In addition, this study follows a review of the sentiments and intellectual traditions of the Korean people based on 'Daesoon Thought' and creative works. Moreover, 'Daesoon Thought' brings all of this to the forefront in academics and art at the cosmological level.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ividly reveal the core of 'Daesoon Thought' as a visual image. Through this, the combination of 'Daesoon Thought' and Joseon art will secure both data and reality at the same time. As part of this, this study deals with the world of 'Daesoon Thought' as a cosmological Taiji principle. This concept is revealed in Joseon art, which is analyzed and examined from the viewpoint of art philosophy. First, as a way to make use of 'Daesoon Thought,' 'Daesoon Truth' was developed and directly applied to Joseon art. In this way, reflections on Korean life within 'Daesoon Thought' can be revealed. In this regard, the selection of Joseon art used in this study highlights creative works that have been deeply ingrained into people's lives. For example, as 'Daesoon Thought' appears to focus on the genre painting, folk painting, and landscape painting of the Joseon Dynasty, attention is given to verifying these cases. This study analyzes 'Daesoon Thought,' which borrows from Joseon art, from the perspective of art philosophy. Accordingly, attempts are made to find examples of the 'Virtuous Concordance of Yin and Yang' and Tai-Ji in Joseon art which became a basis by which 'Daesoon Thought' was communicated to people. In addition, appreciating 'Daesoon Thought' in Joseon art is an opportunity to vividly examine not only the Joseon art style but also the life, consciousness, and mental world of the Korean people. As part of this, Chapter 2 made several findings related to the formation of 'Daesoon Thought.' In Chapter 3, the structures of the ideas of 'Earthly Paradise' and 'Virtuous Concordance of Yin and Yang' were likewise found to have support. And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and Tai-Ji were found in depictions of metaphysical laws. To this end, the laws of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and the structure of Tai-Ji were combined. In chapter 4, we analyzed the 'Daesoon Thought' in the life and work of the Korean people at the level of the convergence of 'Daeesoon Thought' and Joseon art. The analysis of works provides a glimpse into the precise identity of 'Daesoon Thought' as observable in Joseon art, as doing so is useful for generating empirical data. For example, works such as Tai-Jido, Ssanggeum Daemu, Jusachaebujeokdo, Hwajogi Myeonghwabundo, and Gyeongdodo are objects that inspired descriptions of 'Earthly Paradise', 'Virtuous Concordance of Yin and Yang,' and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As a result, Tai-Ji which appears in 'Daesoon Thought', proved the status of people in Joseon art. Given all of these statements, the Tai-Ji idea pursued by Daesoon Thought is a providence that follows change as all things are mutually created. In other words, it was derived that Tai-Ji ideology sits profoundly in the lives of the Korean people and responds mutually to the providence that converges with 'Mutual Beneficence.'

A Study on the Daesoon Cosmology of the Correlative Relation between Mugeuk and Taegeuk (무극과 태극 상관연동의 대순우주론 연구)

  • Kim, Yong-hwan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33
    • /
    • pp.31-6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on the Daesoon Cosmology of the Correlative Relation between Mugeuk and Taegeuk. Daesoon cosmology is a cosmology based on the juxtaposition between the Gucheon Sangje and the world.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say that this theory in Daesoon Thought was developed in three stages: the phase of the Mugeuk Transcendence of Gucheon Sangje, the stage of the Taegeuk Immanence, and the phase of the Grand Opening of the Later World between Mugeuk and Taegeuk as a correlative gentle reign. First of all, the phase of the Mugeuk Transcendence of Gucheon Sangje has been revealed as a yin-yang relationship. The stage of the Taegeuk Immanence represents the togetherness of harmony and co-prosperity between yin and yang, and the phase of the Grand Opening of the Later World between Mukeuk and Taegeuk refers to the unshakable accomplishment of its character and energy. It will be said that this is due to the practical mechanism in the correct balance of yin-yang making a four stage cycle of birth, growth, harvest, and storage. In addition, the Daesoon stage of the settlement of yin and yang is revealed as a change in the growth of all things and the formation of the inner circle. The mental growth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everything in the world, each trying to shine at the height of their own respective life as they grow up energetically. The dominant culture of cerebral communion renders a soft and elegant mood and combines yin and yang to elevate the heavenly and earthly period through transcendental change into sympathetic understanding. The stage of the Grand Opening of the Later World between Mugeuk and Taegeuk is one of the earliest days of the lunar month and also the inner circle of Taegeuk. It is in line with Ken Wilbur's integrated model as a step to the true degrees to develop into a world with brightened degrees. It is a beautiful and peaceful scene where celestial maidens play music, the firewood burns, and the scholars command thunder and lightning playfully. Human beings achieve a state of happiness as a free beings who lives as gods upon the earth. This is the world of theGrand Opening of the Later World between Mugeuk and Taegeuk. Daesoon Thought was succeeded by Dojeon in 1958, when Dojeon emerged as the successor in the lineage of religious orthodoxy and was assigned the task of handling Dao in its entirety. In addition, Daesoon is a circle and represents freedom and commonly shared happiness among the populous. Cosmology in the Daesoon Thought will enable us to understand deep dimensions and the identity of members as individuals within an inner circle of correlation between transcendence and immanence. This present study tries to analyze the public effects philologically and also the mutual correlation by utilizing the truthfulness of literature and rational interpretation. The outlook for the future in Daesoon Thought also leads to the one-way communication of Daesoon as a circle.

An Interpretation of Human View in Daesoon Thought: From the Perspective of Mircea Eliade's New Humanism (엘리아데의 관점으로 본 대순사상의 인간관 연구)

  • Ahn, Shin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33
    • /
    • pp.1-30
    • /
    • 2019
  • There have been three trends in the study of the view of humanity in Daesoon Thought: insider theology, outsider theology, and religious studies. This article is intended to interpret the view of humanity in Daesoon Thought from the perspective of Mircea Eliade's New Humanism. We find similarities between Daesoon Thought and Eliade's New Humanism. Daesoon Thought deals with the complexities of life as being labyrinth-like and puts Jeungsan's view of humanity at the center of a Daesoon worldview. Jeungsan examines the existential problems which humans face in the Former World, and gives the religious remedies of Haewonsangsaeng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and Boeunsangsaeng (the grateful reciprocation of favors for mutual beneficence) to transform humanity's worldview for usage in the Later World. Jeungsan suggests a way of peace instead of the revolution of Donghak. Through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Jeungsan changes the mutual contention of the Former World into the mutual beneficence of the Later World. The cosmology of Daesoon Thought recovers the relationship between divine beings and human beings in the three realms, and proposes a system of ethics that promotes virtue and reproves vices and human-centericism. In conclusion, the view of humanity in Daesoon Thought is an unapologetic view of homo-religiosus from within a new humanism.

대순진리회의 '제생의세(濟生醫世)' 사상과 도교의 '즉신의세(即身醫世)' 사상 및 현대적 의의

  • 가이젠민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24_1
    • /
    • pp.43-96
    • /
    • 2014
  • 본 논문의 목적은 대순의 '제생의세'와 도교의 '제인도세(濟人度世)', '신국동치(身國同治)' 사상과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그것의 현대적 의의를 밝히는데 있다. 특히 대순의 '제생의세' 사상은 중국 명나라시기 도사인 민일득(閔一得)이 저술한 『고서은루장서(古書隱樓藏書)』에 나오는 '즉신의세' 사상과 많은 유사점이 발견된다. 대순진리회 역시 도교와 마찬가지로 몸과 나라를 같이 다스리는 사상을 통해 내단 수련법을 제시하였으며, 내법(內法)을 외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통하여 제생의세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삼대목적을 실현하는 요결(要訣)을 보면, 그것은 곧 천지와 심신의 조화와 안정을 이루는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대순사상은 도교의 '신국동치' 철학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대순진리회와 민일득의 '신국동치' 사상의 이론적 배경에는 유불도 '삼교병용(三敎倂用)', '삼교동수(三敎同修)' 사상이 깃들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대순의 '제생의세' 사상과 도교의 '즉신의세' 사상은 모두 현실사회에서 자신의 몸을 잘 다스리는 것을 통하여 세상을 이롭게 한다는 교리를 담고 있다. 양자 모두 사회의 병폐를 충분히 인식한 후,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 인간의 내면과 외면의 관계개선을 통하여 인간과 세상을 다스리려 하였다. 이러한 그들의 인간과 자연에 대한 견해는 매우 큰 특색이 있으며, 시대를 초월한 사상이라 할 수 있다. 21세기 과학기술이 고도로 발달한 현대사회에서, '의세(醫世)' 사상이 나타내는 인간에 대한 관심, 사회와 생태계에 대한 윤리의식은 중요한 시대적 가치를 지닌다. 이들은 사회의 발전에 적응하면서 시대적 요구에 맞춰 탄생된 종교사상이다. 이는 사회적 폐단을 해결하고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 인간의 내면과 외면의 조화를 이루고자 하는 관점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중요한 현실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Daesoonjinrihoe(大巡眞理會) and Injon(The Supreme being of Man: 人尊) Thoughts

  • Youn, Jae Keun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1
    • /
    • pp.445-462
    • /
    • 1996
  • 본 연구는 대순진리회의 종교 사상에서 제시하는 바람직한 인간 관념인 인존사상을 통하여 그것이 내포하고 있는 교육적 가치성을 제고하는데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대순사상 자체가 가지는 학문적 의의를 밝히고 그것의 교육학적 해석을 통하여 그 학문적 영역의 저변을 확대하는데에도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근세 조선후기사회의 종교·문화적 배경을 검토함으로써 대순사상이 당시대의 기층 민중들에게 어떠한 종교적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는가를 살피고 또한 그 기본구조를 분석하여 대순사상이 제시하는 종교적 구도를 개념화 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패러다임 위에서 대순사상이 지향하는 교육이념을 중심으로, 교육적 이상 실현의 가능성을 지닌 내재적 존재로서의 인존의 형성이론을 고구하여 교육적 인간상의 이상적인 모델을 확인한다. 또한 인존사상에서 표방하는 교육적 시사성이 현대 교육의 제문제에 어떠한 비전을 제시하고 있는지를 검토해 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