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상중심적 접근

Search Result 1,07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Study on the expression feature of the visual and auditory senses for Imagery psychotherapy images (심상치료 영상의 시청각적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 Ham, Gi-Hun;Jeong, Seo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05a
    • /
    • pp.47-50
    • /
    • 2009
  • 본 연구는 예술심리치료 및 심상유도의 접근을 통해 영상치료로서의 시각적, 청각적 표현 범위와 치료요소를 찾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현재 인간의 사회 활동 중에 생기는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를 예방 및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치료 활동 중 영상을 이용한 심리치료의 노력이 다방면으로 행해지고 있다. 치료의 형태는 주로 예술심리치료에 속하는 이미지와 기능음악, 클래식 등을 결합한 영상과 음향의 복합적 활용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는 치료적 요소에 초점을 두고 체계적인 제작이 되지 앉아 심리치료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기존의 병원, 테라피 공간 및 공공장소에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행해지고 있는 영상심리치료의 현황을 파악하고, 행해지는 치료 형태 분류를 통해 색채.미술심리치료에서 사용되어지는 이미지 활용과 음악치료 기법 중 GIM(Guided Imagery and music: 음악과 심상유도) 활용을 중심으로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여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 대상물은 영상이미지와 음향의 두 가지 자극이 복합되어 혹은 단일의 자극으로 주어지는 경우를 구분하여 정서적 반응을 조사하고, 전반적인 치료영상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통해 긍정적 정서를 불러일으키는 이미지 및 음향 요소를 도출한다. 이는 향후 영상심리치료의 체계적인 가이드라인 제작과 평가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in Using Electronic Journals between Graduate Students (대학원생의 전자저널 이용행태 비교 분석 - K대학교 인문계열 공학계열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

  • Lee, Jong-Duck;Lee, Sun-Mi;Choi, Jae-Hw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05.08a
    • /
    • pp.157-164
    • /
    • 2005
  • 지금까지 전자저널 서비스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정보원으로써의 전자저널에 대한 접근성의 문제나 비용문제에 중점을 두고 이루어져왔으며, 전자저널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집단의 정보이용행태에 관한 연구는 대학교수를 대상으로 수행된 것 외에는 거의 찾아볼 수가 없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의 주요 이용자집단 중의 하나인 대학원생, 특히 인문계열과 공학계열 대학원생들의 전자저널에 대한 정보 요구 및 이용행태에 관해 과학적${\cdot}$체계적인 분석을 통하여 대학도서관이 효율적인 전자저널 서비스를 수행하는데 있어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 PDF

Analysis on Spectrum Auction Design of France's 800MHz & 2.6GHz Band and It's Implication (프랑스의 800MHz 및 2.6GHz 주파수 경매설계 정책 분석 및 주요 시사점 -주파수 패키징 및 경매방식을 중심으로-)

  • Seol, S.H.;Kweon, S.C.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8 no.3
    • /
    • pp.137-150
    • /
    • 2013
  • 본 논문은 경매설계 벤치마크 대상 국가로 거론되고 있는 프랑스를 대상으로 모바일 시장동향, 4G 주파수 경매결과, 정책과정, 그리고 세부 정책내용을 분석하여 조만간 시행될 예정인 국내의 1.8GHz 및 2.6GHz 대역 경매설계에 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논문의 분석에 따르면 주파수의 이용 효율성, 공정경쟁 양 측면에서 극단에 가까운 패키징 옵션 대신에 양 측면을 보다 균형되게 접근하여 메커니즘을 통해 자동적으로 결정되도록 하는 패키징 옵션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이와 함께 미래 10년간의 경쟁 상태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제 4의 이동통신사의 진입 문제, 주파수 할당의 동시 할당 또는 순차적 할당 등에 대하여도 심도있는 정책적 고민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 PDF

The Effect of Digital Divide on the Use of Online Services in the Severely Disabled People: Focusing on Online Accessibility (중증장애인의 온라인 서비스 이용에 대한 디지털 정보격차의 영향: 온라인 접근성을 중심으로)

  • Jang, Changki;Sung, WookJoon
    • Informatization Policy
    • /
    • v.27 no.3
    • /
    • pp.56-81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s of motivation and skill for digital devices and the Internet on the use of online services in the severely disabled people. In addition to the general effect of digital divide, particularly for the case of severely disabled people, the effects of physical and mental inconvenience of individuals were taken into account and the moderating effect was confirmed by classifying the groups that need help with online activities and those that do not. The 2018 Digital Divide Survey data of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was used for the study. As a research method, path analysis and multi-group analysis using a sequence access model to Internet use were perform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even in the case of the disabled, the motivational factor affects the skill for digital device operation and Internet use, and this access skill sequentially affects the use of online service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strategic and technical skill for internet use is the most important for the use of online services for the disabled rather than the motivation or a simple operational skill for digital devic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even in the disabled group, those requiring help in using the Internet was more passive in using the online service than the rest in the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ed for stronger capacity for physical access as well as support in building strategic and technical skills that enhance responsibilities and protect from risks in using the Internet among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Development of Spatio-Temporal Analysis of Drought Using Mass Moment (질량모멘트를 이용한 가뭄의 시공간적 특성 분석 방법 개발)

  • Kwon, Hyun-Han;So, Byung-Jin;Yoo, Ji-Young;Kim, Tae-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34-434
    • /
    • 2011
  • 가뭄은 홍수와는 달라서 정확한 발생시점, 지속시간, 피해반경 등을 정의하기 어렵다. 가뭄은 가뭄지수를 통해서 정의되며 정해진 지속시간에 따라서 가뭄의 특성을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가뭄의 심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많이 사용되는 지수로 표준강수지수(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6개월 지속시간에 SPI 지수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최근 가뭄연구에서 시공간적 거동을 평가하는 연구가 중요한 연구주제로 자리 잡고 있다. 가뭄은 홍수와는 달리 공간적으로 전이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가뭄의 시작점과 영역반경을 평가하는 것은 가뭄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기본적으로 선결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가뭄의 시공간적 분석 연구는 많이 진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질량모멘트 개념을 도입하여 가뭄의 중심과 영역을 평가하는 기법을 개발하였다. 가뭄의 중심(centroid)은 1차모멘트를 통해서 추정되며 가뭄의 영역은 2차모멘트 즉, x방향의 공분산, y방향의 공분산, xy의 공분산을 통해서 타원(ellipse)형태로 수치적 접근이 가능하다. 다음 그림과 같이 가뭄의 중심을 1차모멘트로 추정하게 되면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분산을 타원체로 표현하여 가뭄의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1, 2차모멘트를 추정하는데 있어서 Threshold 로 -2.0 이하의 값만을 이용하였으며 각 격자별 SPI 강도를 가중인자로 이용하였다. 그림과 같이 가뭄이 서해안에서 시작되어 시간에 따라 중동부로 퍼져나가는 것을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모형을 통해서 추출된 1, 2차 모멘트 정보를 활용하여 가뭄의 특성을 범주화하고 이를 기상학적 특성과 연결시키면 기상특성을 고려한 가뭄 예측모형으로의 개발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Case Study on the Community School for Urban Regeneration: A Convergence Approach Based on the Strength Model (도시재생사업활성화를 위한 주민대학 사례연구: 강점모델을 기반으로 한 융합적 접근)

  • Kim, Nam-Sook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10
    • /
    • pp.249-257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ways to promote residents' participation as an important key for urban regeneration and enhancing urban competition.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The case of the design and operation of the community academy as part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e New Ddeul Village Project) in the S district of Busan Metropolitan City was analyzed based on the strength model. Based on the job, this study presented some empirical discussions for a successful community engagement program. First, move away from the pathological model based on regional problems and approach it as a positive and potential-oriented strength model. Second, it is co-prosperity by utilizing the resources of local universities around the village. Third, to meet the diverse needs of local residents, they should seek regional support and exchanges through the convergence of college majors.

Analysis on Predictive Factors of Digital Accessibility Level of Middle-old Age Group: Focused on Gender Difference (중고령자의 디지털정보접근수준 예측요인 분석 :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 Kim, Su-Kyoung;Shin, Hye-Ri;Kim, Young-Sun
    • Informatization Policy
    • /
    • v.27 no.1
    • /
    • pp.55-71
    • /
    • 2020
  • Digital accessibility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has been increasing at a faster pace than other groups such as the handicapped and adolescents. However, studies related to the digital accessibility of middle and older adults are scarce. In order to examine variables affecting accessibility to digital information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this study researches the impacts of sociodemographic,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social activity variables on the accessibility of digital information. We analyzed data of 1,661 people between the ages of 55 and 84 from the 2018 Status Survey on Digital Divide conducted by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s the higher education, economic, and life satisfaction levels are, the higher digital accessibility levels of both male and female are. The result of the analysis also shows that the aged male has a higher accessibility level when he does not live alone; meanwhile, the aged female has higher digital capability as her age is lower, which describes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gender. We expect the result of this study to be used as an important reference to understand factors related to digital accessibility level and active intervention for improving digital accessibility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male and female.

Effect of Home-Visit Occupational Therapy on Community Dwelling Stroke Survivors: A Case Study (지역사회 거주 뇌졸중 환자의 가정방문 작업치료 효과: 사례 연구)

  • Jeong, Eun-Hwa
    •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
    • v.9 no.2
    • /
    • pp.87-98
    • /
    • 2020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home-visit occupational therapy in stroke patients. Methods : Two patients with stroke who applied for home-based occupational therapy services at a health center in Seoul were enrolled. The home-visit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evaluates the subject's daily living, task performance, cognitive, and emotional functions, sets occupational therapy goals and plans interventions based on a client-centered approach. Occupational therapy programs consisted of 12 sessions based on the client's major problems. Results : COPM scores improved in both cases, there was an improvement in COPM scores, and in Case 2 there were improvements in MBI and K-MMSE scores. There was also an improvement in KGDS scores in Case 1. Conclusion : Home-visit occupational therapy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daily activities, cognition, and mental function of stroke patients. During home and community integration, continuous and continuous rehabilitation services need to be activated from institutional rehabilitation to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Active home-visit occupational therapy is needed to promote physical, cognitive, mental and social access in stroke patients discharged from hospitals.

The Analysis of Valuation Case Study on Academic Library Services : Focused on Reference Information Services & Technical Services (대학도서관 서비스의 가치측정 사례연구 - 참고서비스와 기술서비스를 중심으로 -)

  • Ahn, Hye-Yeon;Chung, Gin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1.08a
    • /
    • pp.87-94
    • /
    • 2011
  • 본 연구는 최근 실용주의 입장에서 대학 및 그 부속기관들의 평가가 경제적 가치의 평가 문제로 다루어지고 있는 현상을 배경으로 하여 국내 대학도서관의 가치측정을 위한 기반 연구로써 대학도서관 서비스들 중 참고정보서비스와 기술서비스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들 서비스가 가지는 상이한 특성으로 인한 각 연구들의 측정접근 방법 및 절차와 결과의 다양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대학도서관의 영향력이나 가치와 관련한 최근 문헌을 대상으로 사례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이를 통하여 대학도서관의 가치측정의 방향과 방법론적인 틀을 검토하고 이를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측정모형 구축을 위한 기반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PDF

The Perception and Needs Analysi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Development of a Play-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 for 5-Year-Olds (만 5세 대상 놀이중심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분석)

  • Park, Jieun;Hong, Misun;Cho, Jungwon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20 no.5
    • /
    • pp.39-59
    • /
    • 2022
  • We analyze the perceptions and requiremen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artificial intelligence(AI) education to develop an AI education program for 5-year-olds. As for the research methodology, we conducted a survey and an in-depth interview to extract the AI educational elements centering on the analysis stage, the first stage of the ADDIE model. The research result is that first, it is necessary to design a curriculum that combines the cont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AI education to be naturally accepted as AI education for 5-year-olds. Second, an evaluation tool for AI education that can showcase the teacher's reflection should be developed systematically. Third, it is necessary to support a play-centered AI education support and environment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Lastly,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 system that can be continuously operat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AI education in the non-curricular curriculum. It is expected that in the future, a play-oriented AI education program for 5-year-olds will be developed to spread awareness of AI education for infants and present an AI education approach for each age and stage of learn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