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륙성 기후

Search Result 46, Processing Time 0.03 seconds

체리밸리사(Cherry Valley) 원종오리 사양관리(최신판)

  • Korea Duck Association
    • Monthly Duck's Village
    • /
    • v.63 no.9
    • /
    • pp.78-79
    • /
    • 2008
  • 원종오리들은 단일일령의 농장에서 이상적으로 수용가능하나, 그러나 일령별 계군에서도 적합한 관리시 더욱 훌륭한 생산성을 얻을 수 있다. 원종오리들은 성장단계에 따라 다른 축사에서도 사육이 가능하며, 또는 단일령의 축사에서 사육을 해도 문제가 없다. 원종오리의 원활한 수용을 위해서는 편안하고 안전한 환경의 제공이 필수적이다. 한국의 기후는 추운 겨울과 뜨거운 여름이 있는 대륙성 기후이기 때문에 영국의 온대성 기후와는 확연히 다르다. 그렇기 때문에 체리밸리는 뚜렷한 계절상의 차이가 있는 기후와 환경에서 최적으로 오리를 사육 할 수 있도록 지역적으로 설계된 건물과 기기들을 사용할 것을 추천한다. 영국의 축사 설계는 한국에 적합지 않다.

  • PD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Precipitation and Climate Index Using EMD in Korea (EMD를 활용한 우리나라 강수와 기상인자간의 상관관계 분석)

  • Choi, Wonyoung;Jung, Jin-Seok;Um, Myoung-Jin;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53-153
    • /
    • 2015
  • 최근 지구온난화와 같은 기후변화로 인한 기상이변으로 홍수, 태풍 등이 빈번히 발생하면서 지면서 그로 인한 피해도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상 이변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기후변화가 수문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중, 기후변화로 인한 강수현상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강수 현상이 주변 기후 요소의 분포에 영향을 받으며, 이를 바탕으로 강수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인자를 통하여 강수를 분석하는 방법이 있다. 동으로는 태평양을 마주한 아시아 대륙 끝에 위치한 우리나라의 지형적 특성상, 강수 현상에 있어 대륙과 해양의 영향을 모두 받은 위치에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강수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인자를 분석할 경우 대륙에서의 기상변화를 반영한 기상인자와 더불어 태평양에서의 기상변화를 반영한 모든 기상인자를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자료기간이 30년 이상인 주요 지점의 강수량 자료를 바탕으로 Empirical Mode Decomposition(EMD)을 이용하여 과거의 기후변화에 따른 강수량 변동성과 경향성에 대하여 분석하고, 이를 다양한 기상인자와의 지연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기후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강수량의 변동이 어느 요소에 민감한지를 판단해 보고, 상관관계가 높은 지연개월 수를 판단하여기상인자를 통한 강수량의 예측 가능성을 제시 하고자 한다.

  • PDF

충청북도의 지반특성

  • 서용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4.03a
    • /
    • pp.211-223
    • /
    • 2004
  • 충청북도는 한반도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위도상으로는 중위도에 속하고, 우리나라에서 바다에 접하지 않은 유일한 내륙도이다. 따라서 바다와 가장 가까운 지점인 진천군 백곡면 서단에 있는 서운산에서 바다에 접해 있는 충청남도 아산만의 방파제까지의 거리가 무려 47km나 된다. 이와 같이 바다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충청북도는 북동쪽에 태백산맥, 동쪽에 소백산맥, 북서쪽에 차령산맥으로 차단된 거대한 분지지형을 형성하고 있어, 여름은 고온다습하고 겨울은 한랭 건조한 온대몬순기후로서 대륙성 기후의 특징을 보인다.(중략)

  • PDF

Study on Sea Level Changes in Korean Peninsula by Using Satellite Altimetry Data (위성 고도계 자료를 활용한 한반도 해수면 높이 변동 연구)

  • Hwang, Do-Hyun;Yoon, Hong-Joo;Seo, Won-Cha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1 no.3
    • /
    • pp.325-330
    • /
    • 2016
  • Sea level is upward trend since the end of 19th century, it is accelerating after 20th century. Because sea level height has regional differences, we concerned sea level change in Korean Peninsula. We used Topex/Poseidon, Jason-1 and Jason-2 satellite altimetry data which has $1/4^{\circ}$ resolution. From 1993 to 2013, for 21 years, monthly mean sea level anomaly was negative between January and April, positive between March and October. Bohai Bay in China, affected the continental climate, showed big sea level changes. Mean sea level data showed remarkably affecting the continental climate in Bohai Bay in China, the Kuroshio Current and eddy affects the sea level change.

Changes in global climate zone based on SSP scenario (SSP 시나리오 기반 전 지구 규모의 기후대 변화)

  • Young Hoon Song;Jin Hyeok Kim;Sung Tack Chae;Eun Sung Ch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89-89
    • /
    • 2023
  • 인간 활동에 의해 발생한 전 지구적 기후변화는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군락을 기반으로 서식하는 동식물은 기후변화에 가장 취약하며, 대부분의 군락 위치가 북상하거나 멸종 위기에 처해있다. 2022년에 발표된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보고서는 섭씨 5도 이상 상승하면 생물군의 60%가 멸종될 것이라고 보고하였으며, 고위도와 고도로 이동하여 봄철 식물 성장이 과거보다 더욱 가속화 될 것으로 예측하였다. 따라서, 온실가스 농도에 따른 전 지구적 기후변화 분석은 다양한 분야에서 지속가능한 완화 및 적응 정책을 결정하는데 필요하다. 본 연구는 SSP2-4.5와 SSP5-8.5를 이용하여 Koppen-Geiger의 기후대 분류에 따른 전 지구 규모(아시아, 유럽, 남아메리카, 북아메리카, 오세아니아, 아프리카)의 과거 및 미래 기후대에 대한 변화를 분석하였다. 과거 기간의 기후대를 추정하기 위해 25개 CMIP6(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6) GCM(General circulation model)의 월 단위 강수량과 표면 온도를 사용하였으며 6개의 기간으로 구분하여 기후대 변화를 비교하였다. 더 나아가, 미래 기후대를 예측하기 위해 SSP(Shared Socioeconomic Pathways)2-4.5와 SSP5-8.5의 미래 기후변수를 사용하였으며, 전망 기간을 7개로 구분하여 전망 기간의 기후대를 변화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온실가스 농도가 높은 시나리오에서는 북아메리카, 아시아, 유럽의 툰드라와 영구동토층이 가파르게 감소하였으며, 온대 기후 중 습한 아열대 기후대의 면적이 급속도로 증가하였다. 더 나아가, 남아메리카의 경우 대륙성 기후대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반면에 열대 우림 기후대는 증가한다. 오세아니아의 미래 기후대는 몬순의 영향을 받는 아열대 기후대가 증가하고 열대 우림은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 PDF

Analysis of long-term climate variability by extending hydrologic time series (수문 시계열 확장을 통한 장기 기후 변동성 분석)

  • Kim, Taereem;Kim, Hanbeen;Jung, Younghun;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08-308
    • /
    • 2019
  • 지구상 해양, 대기 및 대륙 상호간의 연속적인 물의 거동을 나타내는 물의 순환의 주요 과정 중 하나인 유량 자료는 경년부터 수십년간의 다양한 기상학적 변동성을 내포하며 해당 지역의 수문기상학적 특성을 반영한다. 이러한 기상학적 변동성 중에서 비교적 긴 시간 주기를 나타내는 저주파 진동은 전지구적 기후변화의 장기적 영향을 나타내며 해수면 상승, 홍수 또는 가뭄과 같은 극한 수문사상을 나타내는 매우 주요한 지표로 활용되고 있지만 관측된 수문 시계열의 짧은 자료길이로 인하여 통계적 분석의 신뢰성에 한계를 보여왔다. 따라서 과거 수문 시계열의 확장으로 인하여 부재의 영역으로 남아있던 자료 기간의 한계가 보완되면 보다 정확하고 신뢰도 있는 분석이 가능할 것이다. 나무나이테를 활용한 고기후 복원 등의 연구가 증가하고 있지만 공학 분야에서 이를 실제로 활용한 연구는 아직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거 기후의 정보를 바탕으로 복원된 수문 시계열을 활용하여 수문 시계열에 내재된 장기 기후 변동성을 통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문헌들을 조사하고, 장기적인 시간 흐름에 내재된 잠재적인 경향 및 변동성을 통계적 분석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주어진 수문 시계열에 내재된 저주파 신호을 추출하기 위한 경험적 모드분해법을 활용하여 수문 자료에 내재된 장기 변동성을 추출하였으며, 산업화 이전부터 연장된 수문 시계열의 공학적 활용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 PDF

Role of the prediction skill of near-surface temperature in seasonal forecasting: A case study of U.S. droughts (근지표면 온도 예측성이 계절적 예보에 미치는 영향: 미국 가뭄의 사례연구)

  • Kam, J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73-73
    • /
    • 2021
  • 가뭄의 계절적 예측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대기-지면-해양의 상호 작용이 현실적으로 모의할 수 있는 지구 기후 예보 모델의 개선이 필수적이다. 제한적인 기후 예보 모델의 예측성으로 인하여 다중 기후 모델들의 다중 앙상블 계절 예보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2008년에 제안된 북미 다중 모델 다중 앙상블 시스템(North American Multimodel Multiensemble System; NMME)은 다양한 모델 개발팀의 참여로 현재까지 운영되면서 계절적 예측성 연구에 큰 이바지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NMME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기후 예보 모델들의 북방 여름철 근지표면 온도과 강우량의 예측성을 진단하고 이들의 상관 관계의 강도를 관측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NMME 모델들에서는 관측데이터에서 보다 강한 음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이런 근지표면 온도와 강우량의 강한 상관 관계로 우수한 근지 표면 온도 예보는 각각의 해마다 그 역할이 다른 것을 발견되었다. 예를 들어 가문 여름에는 우수한 근지표면 온도 예보가 강우량 예보에 도움이 되고 강우량이 많은 여름에는 우수한 근지표면 온도 예보는 오히려 강우량 예측성을 제한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기후 예보 모델들에서 근지표면 온도와 강우량의 상관관계를 사실적으로 나타낼 수 있도록 모델 개선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관측데이터와 기후 모델데이터에서 태평양과 대서양의 해수면 온도와 미국의 북방 여름철 날씨의 관계를 비교하였다. 근지표면 온도과 강우량에 대한 제한적 예측성에 비해, 대부분의 NMME 기후 예보 모델들에서 해수면 온도의 예측기술은 우수함을 발견하였고 몇몇 모델들에서는 미국의 북방 여름철 기후에 영향력을 주는 대서양과 태평양의 지역까지 잘 모사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다 우수한 기후 예보 기술을 위해 앙상블 평균 예보값만이 아닌 NMME의 계절적 예보를 선택적인 사용이 필요함을 제안하였고 앞으로 북미 대륙 뿐만이 아니라 유럽-아시아의 계절적 이상 기후 예측성에 대한 연구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 PDF

Syntaxonomical and Synecological Description on the Forest Vegetation of Juwangsan National Park, South Korea (주왕산국립공원 삼림식생의 군락분류와 군락생태)

  • Oh, Hae-Sung;Lee, Gyeong-Yeon;Kim, Jong-W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2 no.1
    • /
    • pp.118-131
    • /
    • 2018
  • The forest vegetation of Juwangsan National Park, which is famous for its towering scenic valleys, was syntaxonomically described. The study adopted the $Z{\ddot{u}}rich$-Montpellier School's method emphasizing a matching between species composition and habitat conditions. A combined cover degree and the r-NCD (relative net contribution degree) were used to determine a performance of 265 plant species listed-up in a total of 52 phytosociological $relev{\acute{e}}s$. Nine plant communities were classified through a series of table manipulations, and their distribution and actual homotoneity($H_{act}$) were analyzed. Syntaxa described were Carex gifuensis-Quercus mongolica community, Athyrium yokoscense-Quercus mongolica communiy, Arisaema amurense-Quercus serrata community, Lespedeza maximowiczii var. tomentella-Quercus variabilis community, Tilia rufa-Quercus dentata community, Carex ciliatomarginata-Carpinus laxiflora community, Aristolochia manshuriensis-Zelkova serrata community, Onoclea orientalis-Fraxinus mandshurica community, and Carex humilis var. nana-Pinus densiflora community. A zonal distribution was reviewed and the altitude of about 700 m was the transition zone between the cool-temperate central montane zone (Lindero-Quercenion mongolicae region) and southern submontane zone (Callicarpo-Quercenion serratae region). Only 19 taxa were associated with r-NCD 10% or more, most of which were tree species occurring in the Lindero-Quercenion and some of which was a member of open forests. Species composition of forest vegetation was much less homogeneous, showing the lowest $H_{act}$. Nearly natural forests and/or secondary forests in the Juwangsan National Park were defined as a regional vegetation type, which reflects much stronger continental climate in the Daegu regional bioclimatic subdistrict, rhyolitic tuff predominant, and wildfire interference.

지표환경변화 추적을 위한 훕스굴 시추사업 현황

  • 김정찬;김주용;양동윤;남욱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Quaternary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6a
    • /
    • pp.49-50
    • /
    • 2004
  • 푸른 진주라 불리는 훕스굴호는 러시아 국경에 인접한 몽고 북부의 청정호수로 해발 약 1,645m 지점에 위치한다. 훕스굴호의 길이는 약 136km이고, 폭은 20-40km이며, 최대수심은 약 262m 이다. 이 호수의 물은 세계에서 가장 깨끗한 담수 중 하나로 몽고 지표수원의 약 70%를 공급하고 있다. 훕스굴호는 바이칼 열곡대내에 형성된 일종의 구조호로 약 240만년 내지 400만년전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훕스굴호는 자연공원으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으며, 따라서 호수의 유역은 다행스럽게도 인간활동에 오염되거나 교란되지 않아 다양하고 흥미로운 육상/수성 생물상을 보유하고 있으며, 퇴적물 기록 역시 후기 신생대 동안의 중앙아시아의 지구환경 및 기후변화 연구에 매우 적합하다. 바이칼 시추사업 (Baikal Drilling Project)은 신생대 후기 동안의 중앙아시아의 지구조진화 및 전지구적 기후변화를 규명하기 위해 미국, 러시아, 일본, 독일 등이 참여한 다국가 공동사업이다. 바이칼 시추사업 연구팀은 지난 15년간 많은 노력과 예산을 투자하여 바이칼 호로부터 총 1,600m에 이르는 방대한 양의 퇴적물 코아를 성공적으로 회수하였고, 이 시료를 이용하여 후기 신생대 동안의 중부 유라시아 대륙의 고기후/고환경 진화과정을 성공적으로 규명하였다. 바이칼 시추사업이 성공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이 사업에 참여했던 러시아와 일본의 과학자들은 바이칼호의 서쪽에 위치한 몽고 북부의 훕스굴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동시에 바이칼 시추사업의 후속사업으로 훕스굴 시추사업을 새롭게 추진하게 되었다. 한편, 대륙내부에서의 제4기 지구환경 및 기후 변화 과정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해 오던 한국지질자원연구원도 2003년에 정식 회원으로 훕스굴 시추사업에 합류하였다. 훕스굴 시추사업 연구팀은 몽고의 지질광물자원연구소 (대표연구기관), 러시아의 지구화학연구소, 일본의 나고야대학교 그리고 한국의 지질자원연구원 등 4개국의 연구기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4개 연구기관은 시추획득 및 기초연구 수행에 필요한 연구비를 현금 혹은 현물 (장비 포함)의 형태로 공동부담하고 있으며, 따라서 획득한 시추코아에 대해서도 각 연구기관이 전 구간에 대해 동일하게 25%의 소유권을 가지고 있다. 훕스굴 시추사업은 2008년까지 수행될 계획이며, 시추작업은 2005년까지 완료될 계획이다. 연구 진행과 관련하여, 공동연구의 명분을 높이고 분석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시료채취 및 기초자료 획득은 4개국의 연구원이 모여 공동으로 수행한 후의 결과물을 서로 공유하고, 자세한 전문분야 연구는 각 국의 대표기관이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훕스굴에 대한 제1차 시추작업은 2004년 3월 말에 실시하였다. 시추작업 결과, 약 80m의 시추 코아가 성공적으로 회수되어 현재 러시아 이르쿠츠크 지구화학연구소에 보관중이다. 이 시추코아는 2004년 8월 중순경에 4개국 연구팀원들에 의해 공동으로 기재된 후에 분할될 계획이다. 분할된 시료는 국내로 운반되어 다양한 전문분야별 연구에 이용될 것이다. 한편, 제2차 시추작업은 2004년 12월에서 2005년 2월 사이에 실시될 계획이다. 수백만년에 이르는 장기간에 걸쳐 지구환경변화 기록이 보존되어 있는 훕스굴호에 대한 시추사업은 후기 신생대 동안 유라시아 대륙 중부에서 일어난 지구환경 및 기후변화를 이해함과 동시에 이러한 변화가 육상생태계 및 지표지질환경에 미친 영향을 이해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PDF

Study on Plans to Establish Disaster Safety Villages in Rural Areas by Focusing on Facilities and Spatial Projects (시설과 공간계획을 중심으로 한 농촌지역 재난안전마을 구축방안 연구)

  • O, Hyeji;Lee, Taegoo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2 no.3
    • /
    • pp.261-272
    • /
    • 2016
  • The whole world has been damaged by dramatic increase of natural disasters such as localized torrential downpour, earthquake and drought, while suffering from climate changes caused by global warming. In Korea where the continental climate and oceanic one are crossed, the frequency and the size of damages are increased by stronger typhoons and localized torrential downpours and landslides, storms and flood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damage cases and their causes and examined foreign plans to prevent natural disasters, by limiting to rural villages where serious damages occur due to typhoons and localized torrential downpours and measures and infra-structures against such disasters are poorly prepared. From the findings, it attempts to suggest some plans to establish disaster safety villages by abstracting plan factors applicable to rural areas in Korea, on the basis of facilities and spatial pro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