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나무류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4초

코코넛 활성탄소 함유 PET 원사의 특성연구 (Characterization of PET fiber containing coconut activated carbon)

  • 고정안;임지혜;김영운;류중재;박용완;김의화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11년도 제44차 학술발표회
    • /
    • pp.82-82
    • /
    • 2011
  • 최근 국내외 섬유시장은 생활패턴의 변화로 레저 활동 인구가 급증하고, 스포츠 및 케쥬얼 의류의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다기능성을 발휘하는 소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기존의 기능성과 차별화된 신소재 및 기능성 소비자 needs가 증가되고 있다. 코코넛 활성탄소 함유 PET 원사는 최근 H사에서 코코넛 열매껍질을 원료로 탄화시켜 얻어진 활성탄소를 polyester에 혼입 방사하여 상용화 단계에 있는 원사로 우수한 흡한속건성, 항균, 소취성 그리고 UV 차단 기능성 등 최근 소비자의 needs에 맞는 고기능성 신섬유 소재로 기존의 유사 기능성 섬유(숯, 대나무, 기능성 무기물 혼입 원사 등)에 비해 물질의 표면적과 공극이 넓어 보다 탁월한 성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활성탄소를 함유한 원사로 짙은 원착색으로 인해 의복의 심미성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 이를 보완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용화 단계의 코코넛 활성탄소 함유 PET 원사의 심미성을 보완 할 수 있는 편직기술과 활성탄소 입자 소실을 방지하고 기능성 발현에 알맞은 염색 가공 공정을 확립하여 심미성과 기능성을 갖는 기능성 원단을 개발하였고 개발된 원단의 물성과 기능성을 평가하였다.

  • PDF

Sasa와 Bambusa속(屬)의 유관속초형(維管束鞘型)에 의(依)한 비교연구(比較硏究) (A Comparative Study on the Types of Vascular Bundle Sheath of Sasa with Those of Bambusa)

  • 김재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35-46
    • /
    • 1978
  • 필자(筆者)는 대나무류(類)를 내부(內部)의 조직(組織)에 의(依)한 새로운 유별법(類別法)을 시도(試圖)할 목적(目的)으로 Bambusa속(屬)과 Sasa층(層)의 죽간간벽(竹稈稈壁) 횡단면(橫斷面)에 보이는 유관속초(維管束鞘)의 형태(形態)를 조사관찰(調査觀察)하여 보았던 바 다음과 같은 특징(特徵)을 지닌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죽간(竹稈)의 간벽(稈壁) 두께는 Bambusa속(屬)은 상부(上部)에 가까울수록 비례적(比例的)으로 엷어지지만 Sasa속(屬)은 거의 큰 차이(差異)가 없는 것이 특징(特徵)이었다. 2. Bambusa속(屬)은 a형(型)과 b형(型)이 있었으나 Sasa속(屬)은 a'형(型)이 있었고 a형(型)과 b형(型)이 없는 것이 특징(特徵)이었다. 3. e'형(型)과 h, i형(型)은 Bambusa속(屬)에는 있으나 Sasa속(屬)에는 없었고 f형(型)은 Bambusa속(屬)과 Sasa속(屬)에는 공(共)히 없는 것이 특징(特徵)이었다. 4. c, d, e, g형(型)은 Bambusa속(屬)에는 있었으나 Sasa속(屬)에는 c, d, e형(型)이 있었고 g형(型)이 없는 것이 특징(特徵)이었다 5. 이상(以上)과 같은 결과(結果)를 보아 앞으로 Sasa속(屬)과 Bambusa속(屬)을 유별(類別)하는데 있어서는 외부(外部)의 형태(形態)에 의(依)한 유별방법(類別方法)이 아닌 내부(內部)의 생리조직적(生理組織的)인 면(面)에서 유별(類別)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効果的)인 방법(方法)이라고 생각(生覺)되며 금후(今後)에도 계속(繼續) 연구(硏究)할까 생각(生覺)한다.

  • PDF

조선시대 괘불탱 및 괘불궤 수종에 대한 연구 (Study Regarding Species Identification for Hanging Paintings and Hanging Painting Storage Boxes in Joseon Dynasty)

  • 김순관;최재완;정아름
    • 보존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35-548
    • /
    • 2016
  • 괘불탱은 불교에서 특별한 야외 법회 때 사용하는 대형 족자형 불화이다. 보관 시 괘불궤라는 보관상자에 보관한다. 괘불탱의 바탕재나 안료 등에 대한 연구 사례는 많으나 괘불탱의 괘불축과 괘불궤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에 제작된 괘불탱을 중심으로 수종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은 보은 법주사, 공주 마곡사, 예산 수덕사, 부안 개암사, 영천 수도사, 상주 북장사, 곡성 도림사, 양산 통도사, 예산 대련사 등 총 10건을 선정하였으며 시료 81점에 대해서 수종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괘불축 및 괘불궤에 사용된 수종은 소나무류 51점, 피나무속 8점, 노간주나무속 6점, 잣나무류 5점, 솔송나무속 4점, 미송속 3점, 망개나무속 2점, 문배나무속 1점, 대나무아과 1점으로 확인되었다. 솔송나무속과 미송속은 외래수종이며 보수 및 수리 과정에서 사용된 것으로 사료된다. 전체적으로 소나무류를 이용하여 괘불탱과 괘불궤를 제작하였고 잣나무류도 사용되었다. 불교문화에서 상징성을 갖는 피나무속도 괘불궤를 제작하는데 사용된 것으로 사료되며, 망개나무속과 노간주나무속과 같이 목조각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 수종도 식별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괘불탱 및 괘불궤에 진정성 있는 보존 연구에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담양군 죽초액의 휘발성성분 분석 (Volatile organic compounds of pyroligneous liquor of bamboo sprout produced in damyang-gun)

  • 이은실;장혜진;이송진;하재호
    • 분석과학
    • /
    • 제26권5호
    • /
    • pp.299-306
    • /
    • 2013
  • 죽초액은 대나무 숯 제조시 발생하는 강한 산성을 가진 부산물로 80-90%의 수분과 200 종 이상의 유기화합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토양 질 개선, 식물 생육 조절, 아토피 피부염 개선 및 항균효과 등 피부관련 질환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담양군에서 제조한 죽초액 휘발성성분을 direct analysis (DA)법, head space solid phase microextraction (HS-SPME)법, stir bar sorptive extraction (SBSE)법을 이용하여 GC/MS로 분리하고 동정하였다. 위 세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103 종의 화합물을 검출하였으며, HS-SPME와 SBSE방법에서 페놀류 화합물의 선택적 분석이 가능하였다. 죽초액의 주요한 화합물은 유효한 생리활성 물질로 알려진 cresol, guaiacol, p-ethyl guaiacol, syringol이 분석되었다.

Sasa류(類)의 유관속초관찰(維管束鞘觀察)에 의(依)한 형태학적(形態學的) 연구(硏究) (A Study on the Morphological Observation of the Vascular Bundle Sheath in Sasa)

  • 김재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27-36
    • /
    • 1980
  • 필자(筆者)는 대나무류중(類中) Sasa 류(類)의 내부조직(內部組織)에 의(依)한 보다 더 용이(容易)하고 확실(確實)한 유별체계(類別體系)를 정립(定立)할 목적(目的)으로 전보(前報)에 단속(繼續)하여 더 많은 종류(種類)를 재료(材料)로 하여 죽간(竹稈)의 간벽(稈壁) 횡단면(橫斷面)에 보이는 유관속초(維管束鞘)의 모양(模樣)을 조사(調査) 관찰(觀察)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평지(平地)에 있어서도 간벽(稈壁)의 두께는 상(上), 하부(下部) 간(間)에 차이(差異)가 없었다. 2. a와 a' 형(型)은 있었으나 e'-f-g-h-i형(型)은 없었다. 3. b, c, d, e, g형(型)과 d, e형(型)은 모두 다 있었고 b, c, g형(型)은 없는 것도 있었다. 4. 이상(以上)과 같은 결과(結果)는 앞으로 Sasa류(類)를 보다 더 능률적(能率的)으로 식별(識別)하는데에 기여(寄與)될 수 있는 좋은 추가(追加) 재료(材料)가 되리라고 생각한다.

  • PDF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를 함유한 프로피온산의 혐기성 분해시 오염물질 및 미생물 거동 (Behaviors of Pollutants and Microorganisms in an Anaerobic Digestion of Propionate Containing High Ammonia Nitrogen Level)

  • 이채영;김대성;안원식;신항식
    • 유기물자원화
    • /
    • 제14권3호
    • /
    • pp.126-137
    • /
    • 2006
  •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를 함유한 프로피온산의 처리시 유기물과 입상슬러지의 거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12개월간 상향류 혐기성 슬러지 블랭킷 (UASB) 반응조를 운전하였다. UASB 반응조의 경우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 6000mg-N/L까지는 80%의 COD 제거가 가능하였다.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를 고농도로 유지하는 경우 유출수의 프로피온산의 농도는 증가하였으나 초산 농도는 상대적으로 매우 낮게 유지되었다.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 8000mg-N/L에서는 낮은 메탄 발생량에도 불구하고 유출수의 휘발성 현탁 고형물 농도가 증가하였으며, 이는 입상슬러지의 체외고분자 물질의 감소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개미산, 초산 및 프로피온산을 기질로 이용한 비메탄 활성도는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일반화된 비선형 모델을 이용하여 산정한 동력학적 상수값은 개미산, 초산 및 프로피온산을 기질로 사용한 경우 각각 3.279, 0.999 및 0.609로 나타났다. 비메탄 활성도에 50% 저해를 미치는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는 개미산, 초산 및 프로피온산을 기질로 이용한 경우 각각 2666, 4778 및 5572mg-N/L로 나타나 수소 이용 메탄균의 저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입상슬러지는 대나무 모양(bamboo-shape form)의 methanothrix 형태의 미생물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hydrogen-producing acetogens와 hydrogen-consuming methanogens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전남지역 숲길의 모노테르펜류 농도와 공기질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Monoterpene and Air Quality in Ambient Air at Forested Road in Jeollanam-do)

  • 오길영;서윤규;박귀환;김익산;배주순;박혜영;양수인;전준민;정만호;서윤섭;이완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2호
    • /
    • pp.195-202
    • /
    • 2012
  • 본 연구는 숲속 환경대기에서 모노테르펜류(${\alpha}$-Pinene, camphene, sabinene, ${\beta}$-pinene, myrcene, terpinolene, limonene, 1,8-cineol, linalool, camphor)의 농도분포, 숲속 대기의 청정도 및 공기음이온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전남도 내 5개 유명 숲을 대상으로 3 계절(봄, 여름, 가을) 동안 수행하였다. 4 시간 평균농도 기준으로 대나무가 우점하고 있는 죽녹원지점에서 ${\beta}$-pinene+myrcene이 958 pptv, 우드랜드와 순천만에서 ${\alpha}$-pinene(524 pptv)과, limonene(445 pptv)이 각각 높은 농도로 나타났다. 계절별로는 우드랜드와 선암사는 봄, 죽녹원과 순천만은 여름에 가장 최고치를 보였다. 대기환경기준물질 농도는 환경정책기본법의 환경기준보다 매우 낮은 농도로 나타났다. 공기음이온은 지점별로 공기 1 mL당 최고 400~3,000개로 조사되었다. 모노테르펜과 공기음이온사이에 유의한 상관은 나타나지 않았다.

명승 제60호 봉화 청암정과 석천계곡의 식재 원형 및 식생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riginal Planting Form and Management of Vegetation of the Scenic site Nr. 60 Chungam Pavilion and Seokchun Valley in Bonghwa)

  • 이선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73-84
    • /
    • 2014
  • 본 연구는 봉화 청암정과 석천계곡 주변을 대상으로 사료 분석과 현지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과거의 식재 원형과 식생 관리방안은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석천지(石泉誌)"에 의하면 청암정 주변에는 소나무, 잣나무, 느티나무, 단풍나무 등의 교목류와 모란, 작약, 철쭉, 장미, 국화, 연꼿 등의 화목류가 심겨져 있었으며, 석천정사 주변에는 회양목, 대나무, 단풍나무, 복숭아나무, 다래, 작약이 식재되어 있었다. 이를 통해 청암정과 석천정사 주변은 사시가경(四時佳景)을 즐기는 완상의 목적 뿐 아니라 다양한 상징성과 의미를 가지는 식재 경관을 연출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들 사료에 나타난 당시의 식재 현황은 차후 청암정과 석천정사와 주변 계곡의 식생 정비와 관리시 매우 유용한 준거(準據)가 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서 조선 후기의 식재 양상을 파악해 볼 수 있는 중요한 가치가 있다. 둘째, 청암정과 석천정사 주변은 "석천지"에 묘사된 대로 식재 경관을 유지해야 할 것이며, 석천계곡의 소나무 군락은 점차 축소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소나무군락을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외래수종과 낙엽활엽수를 제거하는 등 지속적인 관리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전라남도 내의 백로류 집단번식지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Mixed Heronries in Jeollanam-do)

  • 이두표;김상진;황인천;임동옥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86-191
    • /
    • 2007
  • 본 연구는 백로류 집단번식지의 보호 및 관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2005년도 번식기에 전라남도 전역을 대상으로 번식지의 분포, 번식조류 종류 및 개체수에 대한 센서스를 실시하고 백희류 생태에 중요한 번식지 특성을 파악하였다. 센서스 결과 집단번식지는 총 17개소, 번식종류는 6종이 확인되었으며 왜가리와 중대백로가 가장 많은 지 역(각각 92%)에서, 가장 많은 수(36.3%, 31.0%)가 번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식지 식생은 대나무 군락이 53.3%로 가장 많았다. 번식지 면적은 평균 $2,346m^2(500{\sim}7,000m^2)$, 가까운 두 번식지간 거리는 평균 $18.1km(5.6{\sim}40.4km)$, 번식지와 마을간 거 리는 평균 $297m(10{\sim}2,000m)$, 번식지 경사도는 평균 $18^{\circ}(2^{\circ}{\sim}40^{\circ})$이었으며 번식지 사면방향은 동쪽이 40.0%로 가장 많았다.

한국 연안의 하계 대형저서동물의 공간분포 (Spatial Distribution of Macrozoobenthic Organisms along the Korean Coasts in Summer Season)

  • 이정호;임현식;신현출;류종성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7권2호
    • /
    • pp.87-102
    • /
    • 2022
  • 우리나라 연안해역의 하계 대형저서동물의 공간분포를 파악하고 군집구조와 저서환경요인간의 연관성을 밝히기 위하여, 2017년 8월 총 117개 정점에서 대형저서동물 군집과 저서환경요인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대형저서동물의 총 출현종수는 613종이었으며, 평균 서식밀도는 1,228 개체/m2, 평균 생물량(습중량)은 110.9 g WW/m2으로 나타났다. 남해의 완도해역과 동해 해역에서 많은 출현종수를 보였으며, 출현종수가 많은 정점에서 동시에 높은 밀도를 보였다. 우리나라 전해역에서 최우점종으로 출현한 종은 고리버들갯지렁이인 Heteromastus filiformis 이며, 이종은 대부분의 정점에서 출현하였다. 상위 우점종 중 동해해역의 비교적 수심이 깊은 정점들에서 높은 밀도로 출현한 종은 양손갯지렁이류인 Magelona johnstoni 및 대나무갯지렁이류인 Maldane cristata 이며, 각각 3위 및 9위의 우점순위를 차지하였다. 특징적으로 얼굴갯지렁이류인 Pseudopolydora kempi와 Rhynchospio sp.는 낙동강 하구에 위치한 정점에서만 높은 밀도로 출현하는 양상을 보였다. 집괴분석 결과 지리적으로 3개의 정점군으로 구분되었으며, 수심이 깊고 니질함량이 많은 정점군인 동해해역(정점군 A), 니질함량과 유기물함량이 많지만 비교적 수심이 얕은 정점군인 남해해역(정점군 B), 니질함량과 유기물함량이 적은 정점군인 서해해역(정점군 C)으로 구분되었다.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는 분급도, 실트함량, 니질함량, 유기물함량과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Sand 함량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남해해역에서 비교적 높은 밀도로 출현하는 Theora lata와 Eriopisella sechellensis는 유기물함량과 비교적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Sand 함량과 비교적 높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연안의 하계 대형저서동물의 공간분포는 수심, 퇴적상, 퇴적물의 유기물 함량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