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기-해양 상호작용

Search Result 53,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nalysis of Atmosphere-Ocean Interactions over South China Sea and its Relationship with Northeast Asian Precipitation Variability during Summer (남중국해의 여름철 대기-해양 상호작용과 동아시아 강수량의 상관성 분석)

  • Jang, Hye-Yeong;Yeh, Sang-Wook
    • Atmosphere
    • /
    • v.23 no.3
    • /
    • pp.283-291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nges in the atmosphere-ocean interactions over the South China Sea (SCS) by analyzing their variables in the period of 1979~2011 during the boreal summer (June-July-August). It is found that a simultaneous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ea surface temperature (SST) and precipitation over SCS during summer is significantly changed before and after the late-1990s. That is, the variation of precipitation over SCS is negative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ST variations before (after) the late-1990s. Our further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s that the atmospheric forcing of the SST is dominant before the late-1990s accompanying with wind-evaporation feedback and cloud-radiation feedback. After the late-1990s, in contrast, the SST forcing of the atmosphere through the latent heat flux from the ocean to the atmosphere is dominant. It is found that the change in the relationship of atmosphere-ocean interactions over SCS are associated with the changes in the relationship with Northeast Asian summer precipitation. In particular, a simultaneous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precipitation over SCS and Northeast Asia becomes stronger during after the late-1990s than before the late-1990s. We argue that the increase of the SST forcing of the atmosphere over SCS may lead a direct relationship of precipitation variations between SCS and Northeast Asia after the late-1990s.

A Study of the Influence of Short-Term Air-Sea Interaction on Precipitation over the Korean Peninsula Using Atmosphere-Ocean Coupled Model (기상-해양 접합모델을 이용한 단기간 대기-해양 상호작용이 한반도 강수에 미치는 영향 연구)

  • Han, Yong-Jae;Lee, Ho-Jae;Kim, Jin-Woo;Koo, Ja-Yong;Lee, Youn-Gyou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40 no.6
    • /
    • pp.584-598
    • /
    • 2019
  •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air-sea interactions on precipitation over the Seoul-Gyeonggi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from 28 to 30 August 2018, were analyzed using a Regional atmosphere-ocean Coupled Model (RCM). In the RCM, a WRF (Weather Research Forecasts) was used as the atmosphere model whereas ROMS (Regional Oceanic Modeling System) was used as the ocean model. In a Regional Single atmosphere Model (RSM), only the WRF model was used. In addition, the sea surface temperature data of ECMWF Reanalysis Interim was used as low boundary data. Compared with the observational data, the RCM considering the effect of air-sea interaction represented that the spatial correlations were 0.6 and 0.84, respectively, for the precipitation and the Yellow Sea surface temperature in the Seoul-Gyeonggi area, which was higher than the RSM. whereas the mean bias error (MBE) was -2.32 and -0.62, respectively, which was lower than the RSM. The air-sea interaction effect, analyzed by equivalent potential temperature, SST, dynamic convergence fields, induced the change of SST in the Yellow Sea. In addition, the changed SST caused the difference in thermal instability and kinematic convergence in the lower atmosphere. The thermal instability and convergence over the Seoul-Gyeonggi region induced upward motion, and consequently, the precipitation in the RCM was similar to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observed data compared to the precipitation in the RSM. Although various case studies and climatic analyses are needed to clearly understand the effects of complex air-sea interaction, this study results provide evidence for the importance of the air-sea interaction in predicting precipitation in the Seoul-Gyeonggi region.

해양음향 토모그래피 기술

  • 나정열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31 no.6
    • /
    • pp.96-109
    • /
    • 2004
  • 해수의 물리적 성질은 수온, 염분 그리고 밀도 등으로 특성 지워지며 이러한 특성들의 시공간적인 분포 파악은 해수의 유동, 해양-대기 상호작용 및 해수자원 분포 파악 등에 필수적인 요소로 해양학 연구의 기본 관측 항목이 된다.(중략)

  • PDF

Deep Water Wave Model for the East Sea (東海에서의 파랑추산을 위한 심해파랑모형에 대한 연구)

  • Yoon, Jong-Tae
    •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3 no.2 s.32
    • /
    • pp.116-128
    • /
    • 1999
  • A deep water wave prediction model applicable to the East Sea is presnted. This model incorporates rediative transter of energy specrum, atmospheric input form the wind, nonlinear interaction, and energy dissipation by white capping. The propagation scheme by Gadd shows satisfactory resul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nlinear interaction is simulated well by discrete interaction approximatiion. The application of the model to the sea around the Korean Peninsula shows reasonable agreement with the observation.

  • PDF

해양중층부이(ARGO)를 활용한 북동아시아 근해의 혼합층 깊이의 시공간 변동성 분석

  • Lee, Eun-Yeong;Park, Gyeong-Ae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137-137
    • /
    • 2010
  • 해양 혼합층은 해양-대기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기후 변화 뿐만 아니라, 식물성 플랑크톤 분포와 같은 생물학적 측면에도 큰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장단기 기후변동에 많은 영향을 주는 북동아시아 근해 내에서의 혼합층 깊이의 시공간 변동을 분석하였다. 기존에 해양 관측 자료가 절대적으로 부족했던 점을 극복하기 위해 2000년부터 전구 해양에서 실시간으로 수집되기 시작한 해양중층부이(ARGO) 자료를 활용하였다. 지금까지 제시되어 온 다양한 해양 혼합층 결정 기준 중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Levitus et al.(1997)의 기준을 적용하여 북동아시아 근해의 혼합층 깊이를 산출하였으며, 그 변화를 위도, 경도, 해안으로부터의 거리, 계절 등에 따라 분석하였다. 또한 계절적 변화에서 겨울철 해양 혼합층 변화의 역전이 나타나는 지역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추후 해양 혼합층 깊이 결정 방법에 대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n Advection-Diffusion Model for the Distribution of Surface Cold Water near UIgi(Ulsan), SE Korea (울기부근의 표층냉수 분포에 관한 운반 확산 모델)

  • Seung, Young-Ho
    • 한국해양학회지
    • /
    • v.23 no.1
    • /
    • pp.13-23
    • /
    • 1988
  • A simple model is presented which may explain the distributions of cold surface water near Ulsan. The model considers the problem as an advection-diffusion process with cold source confined within narrow coastal areas. The natural warming due to vertical process (interaction either with the atmosphere above or with the subsurface water below)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A simple numerical computation reproduces the observations quite well. The localization of cold surface water occurs at the point where the local warm current separates from the coast.

  • PDF

자율운항선박 입출항 스케쥴링을 위한 AIS 기반 해상 교통 혼잡도 예측 기법 개발

  • 김세원;이서호;손준배;엄정온;이주향;김혜진;김동함;윤상웅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295-296
    • /
    • 2022
  • 자율운항선박은 선원의 항해 조작 없이 선박 스스로 운항하는 선박을 의미한다. 자율운항선박의 운항 시 충돌 및 사고 위험도가 큰 지역은 운항 중 선박을 많이 조우하게 되는 항 내 및 연안 지역이다. 실제로 충돌사고의 85% 이상이 항 내 및 연안 지역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자율운항선의 운항 안전성 확보를 위해 항 내 및 연안 지역에서의 운항 안전성을 검토하는 것은 미래 자율운항선 항 내 운용 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대양에서는 선박 자체의 운항성능이 중요하지만, 항구 입출항 시에는 타선 및 터미널등과의 상호작용이 자율운항선의 입출항 안전성과 직결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율운항선이 항구 근처에 접근하여 입출항을 위해 대기하고 있는 경우에 입출항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결정 알고리즘을 위한 해상혼잡도를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과정을 소개한다. 혼잡 예측 알고리즘 개발을 위해 선박의 AIS통항 데이터를 분석하여 주요 항로를 구분하고 주요 항로의 이용 빈도 및 운항 시점의 선박 집중도 및 충돌위험 상황을 파라미터로 하여 특정 시간이 지난 후의 혼잡도를 예측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

자율운항선박 입출항 지원을 위한 혼잡도 예측 기법 개발

  • 손준배;김세원;이서호;김혜진;김동함;윤상웅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81-83
    • /
    • 2023
  • 자율운항선박은 선원의 항해 조작 없이 선박 스스로 운항하는 선박을 의미한다. 자율운항선박의 운항 시 충돌 및 사고 위험도가 큰 지역은 운항 중 선박을 많이 조우하게 되는 항 내 및 연안 지역이다. 실제로 충돌사고의 85% 이상이 항 내 및 연안 지역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자율운항선의 운항 안전성 확보를 위해 항 내 및 연안 지역에서의 운항 안전성을 검토하는 것은 미래 자율운항선 항 내 운용 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대양에서는 선박 자체의 운항성능이 중요하지만, 항구 입출항 시에는 타선 및 터미널등과의 상호작용이 자율운항선의 입출항 안전성과 직결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율운항선이 항구 근처에 접근하여 입출항을 위해 대기하고 있는 경우에 입출항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결정 알고리즘을 위한 해상혼잡도를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과정을 소개한다. 혼잡 예측 알고리즘 개발을 위해 선박의 AIS통항데이터를 분석하여 주요 항로를 구분하고 주요 항로의 이용 빈도 및 운항 시점의 선박 집중도 및 충돌위험 상황을 파라미터로 하여 현재 시점부터 2주후 미래까지의 항로 혼잡도를 예측하고, 정확도를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