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기 전류

Search Result 174,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수소처리와 후성장층의 특성이 다이아몬드 박막의 전계방출 특성에 미치는 영향

  • 심재엽;송기문;이세종;백홍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00.02a
    • /
    • pp.96-96
    • /
    • 2000
  • 화학증착법으로 증착된 다이아몬드 박막은 우수한 전기적 특성과 뛰어난 화학적, 열적 안정성 때문에 전계방출소재로 많은 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다이아몬드 박막의 전계방출은 저전계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저전계방출의 원인을 규명하려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한편, 다이아몬드 박막의 전계방출전류는 금속기판의 사용에 의한 기판/다이아몬드 접촉의 개선, 다이아몬드 박막내의 흑연성분의 조절에 의한 구조변화, 보론이나 인 (P), 질소의 도핑, 수소 플라즈마나 cesium 등의 금속을 이용한 표면처리 등의 여러 방법에 의하여 향상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그 외에 메탄과 대기 분위기 처리, 암모니아 분위기에서의 레이저 조사도 전계방출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다이아몬드 박막의 성장후 구조적 특성이 다른 박막의 후성장이나 열분해된 운자수소 처리가 다이아몬드 박막의 전계방출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지금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소처리와 후성장이 다이아몬드 박막의 전계방출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 이로부터 그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다이아몬드 박막은 hot-filament 화학증착법을 이용하여 증착하였다. 후성장한 다잉아몬드 박막내의 흑연성분과 박막의 두께를 체계적으로 조절하여 후성장 박막의 구조적 특성과 그 두께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후성장층내의 흑연성분과 두께가 증가할수록 전계방출특성은 향상되다가 저하되었다. 한편, 다이아몬드 박막을 성장시킨 후 수소분위기 처리를 함에 따라 전계방출특성은 향상되었지만 수소처리시간이 5분 이상으로 증가함에 따라 그 특성은 저하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소처리와 후성장시 나타나는 전계방출특성의 변화 원인을 규명하고자 한다.기판위에서 polymer-like Carbon 구조는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다.0 mm인 백금 망을 마스크로 사용하여 실제 3차원 미세구조를 제작하여 보았다. 그림 1에서 제작된 구조물의 SEM 사진을 보여주었으며, 식각된 면의 조도가 매우 뛰어나며 모서리의 직각성도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출된 시험 조건을 기초로 하여 리소그래피 후에 전기 도금을 이용한 금속 몰드 제작 및 이온빔 리소그래피 장점을 최대한 살릴수 있는 미세구조 제작에 대한 연구를 계속 추진할 계획이다. 비정질 Si1-xCx 박막을 증착하여 특성을 분석한 결과 성장된 박막의 성장률은 Carbonfid의 증가에 따라 다른 성장특성을 보였고, Silcne(SiH4) 가스량의 감소와 함께 박막의 성장률이 둔화됨을 볼 수 있다. 또한 Silane 가스량이 적어지는 영역에서는 가스량의 감소에 의해 성장속도가 둔화됨을 볼 수 있다. 또한 Silane 가스량이 적어지는 영역에서는 가스량의 감소에 의해 성장속도가 줄어들어 성장률이 Silane가스량에 의해 지배됨을 볼 수 있다. UV-VIS spectrophotometer에 의한 비정질 SiC 박막의 투과도와 파장과의 관계에 있어 유리를 기판으로 사용했으므로 유리의투과도를 감안했으며, 유리에 대한 상대적인 비율 관계로 투과도를 나타냈었다. 또한 비저질 SiC 박막의 흡수계수는 Ellipsometry에 의해 측정된 Δ과 Ψ값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한 결과로 비정질 SiC 박막의 두께를 이용하여 구하였다. 또한 Tauc Plot을 통해 박막의 optical band gap을 2.6~3.7eV로 조절할 수 있었다. 20$0^{\circ}C$이상으로 증가시켜도 광투과율은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부터

  • PDF

Forced Flow Dryout Heat Flux in Heat Generating Debris Bed (열을 발생하는 Debris층에서의 강제대류 Dryout 열유속)

  • Cha, Jong-Hee;Chung, Moon-Ki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8 no.4
    • /
    • pp.273-280
    • /
    • 198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the experimental data of the forced flow dryout heat flux in a heat generating debris bed which simulates the degraded nuclear reactor core after severe accident.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has been conducted of dryout heat flux in an inductively heated bed of steel particles with upward forced flow rising coolant circulation system under atmospheric pressure. The present observations were mainly focused on the effects of coolant mass flux, particle size, bed height, and coolant subcooling on the dryout heat flux The data were obtained when carbon steel particles in the size distribution 1.5, 2.5, 3.0 and 4.0 mm were placed in a 55 mm ID Pyrex glass column and inductively heated by passing radio frequency current through a multiturn work coil encircling the column. Distilled water was supplied with variation of mass flux from 0 to 3.5 kg/$\textrm{cm}^2$ s as a coolant in the tests, while the bed height was selected as 55 mm and 110 mm. Inlet temperature of coolant varied by 2$0^{\circ}C$ and 8$0^{\circ}C$. The principal results of the tests are: (1) Dryout heat flux increases with increase of upward forcing mass flux and particle size; (2) The dryout heat flux at the zero mass flux obviously depends on the Particle size as Previous studies; (3) The forced flow dryout heat flux in the shallow bed is somewhat higher than that in the deep bed,

  • PDF

Impact of Climate Change on Yield and Canopy Photosynthesis of Soybean (RCP 8.5 기후변화 조건에서 콩의 군락 광합성 및 수량 반응 평가)

  • Wan-Gyu, Sang;Jae-Kyeong, Baek;Dongwon, Kwon;Jung-Il, Cho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24 no.4
    • /
    • pp.275-284
    • /
    • 2022
  • Changes in air temperature, CO2 concentration and precipitation due to climate change are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oybean productiv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limate change impact on growth and development of determinate soybean cultivar in the southern parts of Korea. The high temperature during vegetative period, which does not accompany the increase of CO2 concentration, increased the canopy photosynthetic rate in soybean, but after flowering, the high temperature above the optimal ranges interrupts the photosynthetic metabolism. In yield and yield components, high temperature reduced both the pod and seed number and single seed weight, resulting in a reduction of total seed yield. On the other hand, the increase in CO2 concentration dramatically increased the canopy photosynthetic rate over the whole growth period. In addition, high CO2 concentration increased the number of pods and seeds, which had a positive effect on total seed yield. Under concurrent elevation of air temperature and CO2 concentration, canopy photosynthesis increased significantly, but enhanced canopy photosynthesis did not lead to an increase in soybean seed yield. The increase in biomass and branch by enhanced canopy photosynthesis seems to be attributed to an increase in the total number of pods and seeds per plant, which compensates for the negative effects of high temperature on pod development. However, Single seed weight tended to decrease rapidly by high temperature, regardless of CO2 concentration level. Elevated CO2 concentration did not compensate for the poor distribution of assimilations from source to sink caused by high temperature. These results show that the damage of future soybean yield and quality is closely related to high temperature stress during seed filling period.

Effect of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Temperature, and Relative Drought on Growth Responses and Yield in Spring Potato (Solanum tuberosum L.) (이산화탄소와 온도 그리고 한발 영향에 따른 감자의 생육과 수량반응)

  • Lee, Yun-Ho;Cho, Hyeoun-Suk;Kim, Jun-Hwan;Sang, Wan-Gyu;Shin, Pyong;Baek, Jae-Kyeong;Seo, Myung-Chul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20 no.2
    • /
    • pp.149-158
    • /
    • 2018
  • Agriculture is strongly influenced by climate change such as increased temperature and carbon dioxide ($CO_2$). This study describes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elevated $CO_2$, temperature, and relative drought on growth responses and yield in potato (Solanum tuberosum L.). The assessment was conducted for spring seasons in Soil-Plant-Atmosphere Research (SPAR) chamber at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Potatoes exhibit a positive response to $CO_2$ enrichment but water stress primarily reduces potato canopy and tuber yield. Elevated $CO_2$ and temperature increased both dry weight and tuber yield. Elevated $CO_2$ and temperature influenced SPAR 2 plants to a larger, and tuber increased yield up to 28% of than in SPAR 1(30-year average temperature at 450 ppm of $CO_2$). Our study findings indicate that tuber yield increase in potato under high $CO_2$ concentration was due to an increase in the size of individual tubers rather than in the number of the tubers per plant. On other hand, SPAR 3(30-year average temperature $+2.8^{\circ}C$ at 700 ppm of $CO_2$ under water stress) was lower than SPAR 2(30-year average temperature $+2.8^{\circ}C$ at 700 ppm of $CO_2$) nearly 56% of tuber yield due to drought. The results confirm potato drought sensitivity in terms of yield response. The experiment also showed that, in the conditions of climate change, climate change scenarios that improve cropping systems with pota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