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기 불안정도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4초

대기중 휘발성 유기화합물 채취를 위한 흡착법의 적용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absorbent sampling method for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ambient air)

  • 김영두;김광래;이상칠;어수미;김민영;봉춘근;김동술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2-283
    • /
    • 2002
  • 대기 중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관리 및 규제하기 위해서는 해당 오염물질의 농도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기본적인 단계이며 반드시 정확성과 정밀성을 확보해야 한다. 농도의 정확성은 크게 분석 방법과 시료를 채취하는 과정 및 채칠 후 보관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대기 중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의 경우 존재하는 농도가 매우 낮아 채취 시 많은 주의를 요구할 뿐만 아니라 이들은 화학적으로 불안정하여 보관 시에도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중략)

  • PDF

한반도 중규모 대류복합체의 발달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s of Mesoscale Convective Complex Development in Korean Peninsula)

  • 이순환;원효성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7호
    • /
    • pp.698-705
    • /
    • 2005
  • 한반도 집중호우를 유발시키는 중규모대류복합체는 매우 복잡한 특성을 띠고 있다. 2004년 7월 14일 발생한 중 규모 대류복합체의 발달메커니즘을 분석한 결과, a) 대류복합체 생성 전에 강한 남서기류의 유입이 있었으며, b) 600hPa고도에서 강한 역전층이 나타났다. 역전층은 상층과 하층간의 상당온위의 차이를 유발하여 대기불안정을 더욱 강화시켰다. 그리고 c) 일반적인 중규모대류복합체 특징인 풍향의 쉬어보다는 풍속의 쉬어에 의해 대류계의 열역학 불안정이 강화되었다. 그리고 d) 흑산도 등 해안지방에 의해 유발되는 난류 및 대기불안정으로 인하여 중규모 대류복합체가 해안지방에서 발달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지형에 의한 중규모 대류 복합체의 발달메커니즘 규명이 필요하다.

Sampling bag에서 극미량 극성 VOCs의 안정성 비교 (Comparison of storage stability of polar VOCs in sampling bag)

  • 허귀석;김정우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31-232
    • /
    • 2002
  • 대기중에 존재하는 미량의 극성 유기화합물들은 비극성 유기화합물 보다는 반응성이 크고 불안정하므로 이를 채취하여 분석하는 과정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sampling에 자주 사용되는 stainless steel로 특수 내면처리 시킨 canister를 이용하였으나 이 방법에 의한 시료 채취방법은 고가의 비용이 소요되며, 반응성이 큰 VOC의 경우에는 성분에 따라 안정도가 낮은 경우도 많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대기 시료를 bag 이나 캐니스터와 같은 용기로서 채취하여 측정할 경우 극성 VOC 성분이 얼마나 안정하게 유지될수 있는지를 조사하고저 하였다. (중략)

  • PDF

EPGA를 이용한 전파망원경 필터뱅크의 고속 데이터 취득시스템 개발 (A High Speed Data Acquisition System using FPGA for Filter Bank System in Radio Telescope.)

  • 위석오;이창훈;김효령;김광동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
    • /
    • pp.2681-2684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전파천문학에 있어서 스펙트로그램을 얻기 위한 장치인 필터뱅크의 고속 데이터 취득에 관한것이다. 여기서는 FPGA를 기반으로 데이터 취득시스템을 설계하였는데, 기존의 모노리틱 IC 를 기반으로 설계된 데이터 I/O 를 FPGA 로 대체함으로써 부피를 적게하고 데이터의 고속처리를 가능하게 하였다. 우주현상을 관측함에 있어 고속으로 데이터를 처리함은 대기중의 불안정한 상태나 시스템의 불안정에 의한 좋지 않은 데이터를 정확히 선택하여 제거할 수 있는 데이터 시간 분활이 가능하게 한다. 본 논문에서 개발된 시스템을 적용하여 기존 시스템에 비하여 약 15 배 정도의 고속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게 되었다.

  • PDF

한반도 중규모 대류복합체의 발달특성에 관한 연구

  • 이순환;원효성;류찬수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과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76-181
    • /
    • 2005
  • 한반도에 집중호우를 유발시키는 중규모 대류복합체는 매우 복잡한 특성을 띠고 있다. 2004년 7월14일 발생한 중규모 대류복합체의 발달 메커니즘을 분석한 결과, 대류복합체 생성 전에 500 hPa 고도에서 강한 역전층이 나타났으며, 이 역전층은 상승과 하층간의 상당온위의 분리를 유발하여 대기불안정이 더욱 강화시켰다. 그리고 일반적인 중규모 대류복합체 특징인 풍향의 쉬어 보다는 풍속의 쉬어에 의해 대류계의 열역학 불안정이 강화 되었다.

  • PDF

한반도 산불 확장 잠재도와 관련된 Haines Index의 시.공간적 특징 (Spatial Patterns and Temporal Variability of the Haines Index related to the Wildland Fire Growth Potential over the Korean Peninsula)

  • 최광용;김준수;원명수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68-187
    • /
    • 2006
  • 대류권 하부의 높은 대기 불안정도와 건조도에 의해 바람이 강한 조건하에 화재 연료도 건조해지면 산불 통제가 어렵고 대형산불에 의한 더 많은 산림자원과 계산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장기간(1979-2005)의 Haines Index는 한반도 상의 대기 불안정도와 건조도의 시공간적 패턴이 우리나라 산불 발생빈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다. 산불 발생빈도와 Haines Index 사이의 지수회귀모델은 주요 산불 발생기간동안(12월-4월)의 Haines Index 일평균 값 혹은 월별 발생빈도가 우리나라 산불 발생빈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상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지리정보시스템(GIS)에서 수치표고모델(DEM)을 고려하여 작성한 Haines Index 기후도에 따르면, 5 이상의 높은 Haines Index는 주로 해발고도 500m 이하의 한반도 북서 저지대를 중심으로 4-5월에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Haines Index의 발생빈도는 1990년대 중반 이후 한반도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특히 경상북도와 동해안 지역을 따라 산불기간 동안 가장 뚜렷하게 증가하는 패턴을 보였다. 연구기간 동안 높은 Haines Index가 2-3일 연속적으로 발생한 극사상(extreme events)이 나타나는 시기의 500hPa 종관 평균도에 따르면, 오흐츠크해에 발달한 한랭저기압이 한반도 중층대기의 기압경도력을 높여 동서의 강한 바람장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현재 우리나라 산불 예보 시스템에 대기 불안정도나 건조도와 같은 대기의 수직적 요소들의 시 공간적 특성도 고려되어야 하는 필요성을 잘 보여준다.

Luminol-Capillary GC System을 이용한 광주 지역의 PANs농도 측정 (Automated Measruement of Peroxyacetyl Nitrates(PANs) by Using Capillary GC System with Luminol)

  • 한경만;이재훈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3-174
    • /
    • 2003
  • PAN은 1950년 중반 스모그 챔버연구원에서 'Compound X'라고 규정된 광화학 2차 오염물질로 강한 햇빛, NMHCs과 NOx의 존재하에서 이들 반응에 의해 형성된 물질이다 (Stephen, 1969) PAN은 눈을 자극하고, 식물에 대해 독성을 나타내며, 변이성과 발암을 유발할 가능성도 가지고 있다. 또한 PAN은 열적으로 불안정하여 상온에서 쉽게 NO2와 Peroxyaceyl radical로 분해 되며, 저온에서는 안정되게 존재하여 특히 상층 대류권을 통한NO2의 장거리 수송과 NO2의 reservoir역할을 한다. (중략)

  • PDF

광로 길이의 세부적인 결정에 의한 일차 오존 표준분광기 (O$_3$-SRP)의 측정 불확도 평가 (Evaluation of Uncertainty in the Primary $O_3$-SRP by the Precise Determination of Light Path Length)

  • 우진춘;배현길;김용두;김영진;문광융;조성일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3-244
    • /
    • 2003
  • 오존은 매우 불안정한 물질로서, 기타의 환경 대기 가스 분석법에서와 같이 해당 성분의 측정기를 표준 가스로 교정한 후 분석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환경 대기 중의 오존을 분석하는 일반 분석기의 교정을 목적으로, 본 연구실에서는, 국가 일차 오존 표준분광기(O$_3$-SRP)를 제작하여 운영하고 있다. 운영되고 있는 $O_3$-SRP의 측정 원리는 자외선 흡광 광도법이며, 농도값의 결정은 순수하게 Beer-Lambert 법칙에 따른다. Beer-Lambert 법칙에 따라서 오존 농도를 절대적으로 측정하기 위해서는 몰 흡광계수, 광로의 길이, 투과도, 온도 및 압력을 정확히 측정하여야 한다. (중략)

  • PDF

Butanone oxime으로 봉지된 m-isopropenyl-$\alpha$, $\alpha$-dimethylbenzyl isocyanate계 공중합체 합성 및 자체 가교현상

  • 안종수;최동훈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1998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0-53
    • /
    • 1998
  • 코팅이나 접착제 분야에서 대기 중에서 불안정한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보호하기 위해 phenol, oxime, caprolactam계 화합물을 사용하는 봉지 방법을 본 연구에서 이용하고자 하였다. 선천적으로 위의 화합물들로 봉지된 이소시아네이트기는 결합쇄로 carbamate를 형성하나 이들은 열에 의해 특정 온도 영역에서 해리 되면서 다시 이소시아네이트기가 재 생성되는 과정을 거친다.(중략)

  • PDF

2012년 특별관측 자료를 이용한 동해안 겨울철 강수 특성 분석 (Characteristics of Precipitation over the East Coast of Korea Based on the Special Observation during the Winter Season of 2012)

  • 정승필;임윤규;김기훈;한상옥;권태영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41-53
    • /
    • 2014
  • 겨울철 동해안 강수 현상에 대한 규명을 위하여 라디오존데를 활용한 특별관측을 2012년 1월 5일부터 2월 29일까지 실시하였고, 이 연구는 대기의 불안정을 나타내는 다양한 변수를 활용하여 강수 사례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강수가 발생할 때 지표면(1000 hPa)에서 중층(약 750 hPa)까지의 상당온위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고, 이러한 대기층(1000~750 hPa)은 불안정을 일으키기에 충분한 수준의 수증기를 함유하고 있었다. 대류가용잠재에너지의 시간적인 변화를 살펴본 결과 강수가 발생하였을 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고, 연직바람쉬어의 경우에서도 대류가용잠재에너지와 마찬가지로 강수 기간 동안 상승하여 일정수준 이상의 값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강수에 따른 대기 구조의 상세한 분석을 위하여 지상 원격 탐사 자료와 지상 관측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가강수량과 바람벡터를 이용하여 가강수량플럭스를 계산하였다. 가강수량플럭스와 강수량은 북동풍 계열의 바람이 발생하였을 때 높은 관계성을 보였다. 그 결과 동해안영역에서 발생하는 강수 현상에서는 풍계와 같은 역학적인 작용의 이해가 중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