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기측정소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초

부산항 미세먼지 감축정책 추진현황

  • 권소현;문승효;고인구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6-58
    • /
    • 2019
  •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에 대한 국민적 관심 증가로 정부에서는 2022년까지 국내 배출량 30% 감축을 목표로 하는 '미세먼지 관리 종합대책'을 수립(2017년)하였으며, 국제해사기구(IMO)는 선박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감소를 위한 규정을 강화는 등 대기오염물질 감축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부산항을 포함한 부산지역의 미세먼지 농도는 선진국 및 WHO 기준에 비해 여전히 2~3배 높은 수준으로 부산의 주요산업인 부산항을 관리 운영하는 주체인 부산항만공사는 '부산항 미세먼지 종합대책'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부산항 내 운영 중인 항만 내 대기오염측정소 데이터를 포함한 항만 인근지역과 타항만의 미세먼지 농도를 분석하였으며, 부산항만공사에서 추진한 항만 하역장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조사결과와 '야드트랙터 LNG 연료전환사업', 'AMP설비 설치사업' 등 '부산항 미세먼지 종합대책'과 그 성과를 소개하고 있다.

  • PDF

서울지역 생활환경주변의 공기 중 석면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Airborne Asbestos Concentrations Using PCM and TEM in Life Environment Surroundings of Seoul)

  • 이진효;이수현;김지희;오석률;신진호;엄석원;채영주;이진숙;구자용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5권9호
    • /
    • pp.613-62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 생활환경주변의 공기 중 석면농도 실태를 조사하기 위해서 PCM과 TEM을 이용하여 분기별로 지하철역사 13개소, 서울지역 대기측정소 4개소 및 각각의 인근 도로변 지역 1개소, 하천 6개소의 석재 주변, 주요 서울시내 터널 4개소 등에서 공기 중 석면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일반대기 중 석면농도와 대표적 기후인자인 온도와의 상관성을 살펴보았으며, 기존 측정지점 중 비교적 많은 시민들이 이용하거나 환승이 되는 지하철역사 2개소와 대표적 대기측정소 2개소를 측정대상으로 시간대별 석면농도 변화추이를 파악하였다. PCM 분석결과, 전체 223개 시료 중 111개 시료에서(50%) 검출한계(7 fiber/$mm^2$) 이하로 나타났으며, 이 중 최대값은 0.0130 f/cc로 나타나는 등 일부시료에서 관리기준을 초과하였지만 TEM법을 이용한 추가분석 결과, 모두 불검출로 나타났다. 또한 TEM 분석결과, 124개 모든 시료에서 석면이 검출되지 않았다. 지하철역사, 서울지역 대기측정소 및 각각의 인근 도로변 지역, 하천 석재 주변, 터널에서의 평균농도는 각각 $0.0041{\pm}0.0027$ f/cc, $0.0015{\pm}0.0011$ f/cc, $0.0024{\pm}0.0012$ f/cc, $0.0016{\pm}0.0020$ f/cc로 모두 실내공기질 관리기준 0.01 f/cc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대기 중 석면농도와 온도와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석면농도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시기에 높게 나타나는 등 온도와의 상관성(r = 0.660)이 어느 정도 유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하철역사와 대기측정소를 대상으로 한 시간대별 공기 중 석면농도를 조사한 결과, 지하철역사의 경우,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고, 유동인구가 많은 시간대에 석면농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에 대기측정소의 경우, 실외지역에서의 시료채취라는 특성 때문에 일일 중 시간대별 농도변화에서 일정한 패턴을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공간 보간법을 이용한 도시지역 미세먼지 측정소의 배치 적절성 평가 (Assessment of PM-10 Monitoring Stations in Daegu using GIS Interpolation)

  • 김효정;조완근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1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대기분야에 GIS를 적용하여 대구지역 미세먼지(PM-10) 측정소의 위치가 적절한지 평가하고, 공중보건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PM-10을 관리하기 위한 적합한 장소를 모색하였다. 대구시에는 총 11개의 도시대기측정소가 있으며 측정된 자료는 전체적인 PM-10 오염현황파악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대기오염 자동측정소는 측정기기의 배치상의 문제점을 자주 노출해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GIS 보간법인 IDW와 Kriging 기법을 활용하여 대구지역 PM-10 농도지도를 작성하였다. 그 후, 대역분석을 통해 법정동별 평균 PM-10오염농도를 산출한 뒤, 기존 설치된 측정소가 저오염지역과 고오염지역 전반에 걸쳐 고르게 분포하고 있는지 평가하였다. 연도별, 계절별, 요일별 각 측정기간별로 살펴본 결과 대구광역시에 설치된 PM-10 대기측정소는 다양한 농도를 대표하기에는 부족한 부분이 있었다. 이러한 부족 부분을 보강하기 위하여, 각 평가단계마다 공통적으로 선정된 7개 지역(남산동, 남일동, 동일동, 북성로 1가, 종로 2가, 향촌동, 화전동)이 PM-10을 위한 추가설치지점으로 제안된다. 나아가, 대구지역 뿐만 아니라 타 도시에서도 공중의 보건을 위해 측정소의 구체적인 설치 장소 선정 및 추가설치가 필요할 것이라 제안된다.

대기환경측정차량을 이용한 마라톤코스의 대기오염물질 특성 (Characteristics of Air pollutants along marathon course by ambient air quality monitoring mobile)

  • 이승민;유은철;김영태;이상훈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67-368
    • /
    • 2000
  • 부산은 쾌적하고 깨끗한 도시환경조성으로 향후 2002년 아시안게임 및 월드컵 경기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기 위해 대기오염자동측정소(11개소) 및 대기환경측정차량을 이용하여 부산지역 및 주요 경기장, 마라톤코스 등에 대해 대기질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대기오염관리 대책을 수립하고 있다. 대도시 지역의 대기오염은 약 70% 가량이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에 의한 것으로 부산의 경우 우리나라 제1의 항구도시라는 특성상 콘테이너 차량의 95%가 부산에 집중해 있으며$^{1)}$ , 매년 자동차의 증가율이 약 10%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낮은 도로율로 인한 자동차의 정체가 가중되어 대기질이 악화되어 마라톤 등의 도로경기는 차량의 배출가스에 절대적으로 많은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중략)

  • PDF

통계적 기법을 적용한 서울의 오존 장기변동 대표측정소 선정 (Statistical Analysis for Ozone Long-term Trend Stations in Seoul, Korea)

  • 신혜정;박지훈;손정석;노순아;홍유덕
    • 환경영향평가
    • /
    • 제24권2호
    • /
    • pp.111-118
    • /
    • 2015
  • 본 연구는 서울의 오존 장기변동 특성을 대표하는 대표측정소를 선정하기 위한 통계적인 기법을 구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02년부터 2011년까지 10년간의 오존 시간 농도자료를 분석에 적용하였다. KZ 필터, 상관관계 매트릭스, 군집분석, 공간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대표측정소를 선정하였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서울 신정동, 사당동, 번동 측정소의 오존 장기간 변동 추세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군집분석에서도 세 측정소가 같은 군집으로 분석되었다. 공간분석 결과, 세 측정소가 다른 측정소와 공간적인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와 상관계수값을 고려하였을 때, 신정동 측정소가 서울의 오존 장기변동 추세를 대표하는 측정소로 적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오존 이외의 대기오염물질의 분석을 위한 대표측정소 선정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국가대기측정망의 공간적인 분포의 적절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LED 조형물을 활용한 대기오염 정보 제공 시스템 (Air Pollu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LED Sculpture)

  • 이현우;신동일;신동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15-417
    • /
    • 2017
  • 국내의 도시화와 중국에서 넘어오는 오염물질에 의하여 대기오염에 대한 피해가 갈수록 커져가고 있다. 하지만 대기오염 집중측정소 6곳에서만 초미세먼지의 구성 성분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있고 그에 대한 자료를 공개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 또한 정부는 서비스 개발 및 제공 과정에서 공공성에 대한 고려도 중요하지만, 그것이 얼마나 시민들의 수요나 관심과 결부되어 있는지에 대한 고민도 함께 요구된다. 특히 서울특별시와 같이 대도시에서 거주하는 시민들의 주된 관심사 중 대기오염과 관련한 관심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2]. 본 논문은 6가지의 센서가 내장된 LED 조형물을 실생활 공간에 배치하고 조형물, 모바일, 웹에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대기오염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안할 것이다. 일반 대기 측정소와 다른 LED 조형물을 통하여 시민들의 접근성과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대기오염 정보 제공 시스템을 기대해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 북동지역의 고농도 오존현상 집중관측 (Concentration Measurement of Ozone Episodes at Northeast Area in Seoul)

  • 김신도;박은영;전의찬;정일래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1-372
    • /
    • 2000
  • 1990년대 중반이후 서울을 중심으로 대도시의 오존농토 증가현상이 뚜렷히 나타나고 있다. 서울지역의 경우 1995년부터 1999년까지 온존농도가 1시간 환경기준인 100ppb를 초과한 횟수를 살펴보면 '95년에 21회, 96년 174회, 97년 196회, 98년 262회 99년에 291회로 오존오염 현상이 계속해서 악화되고 있다. 특히 서울의 북동지역에 위치한 방학동 측정소의 오염도는 1995년부터 1997년까지 3년간 1시간 환경기준치를 초과한 횟수는 99회로 최고빈도를 나타냈으며, 그 다음이 구의동 측정소로 57회, 성수동 측정소가 51회, 방이동 측정소 45회가 다른 지역과 비교하여 심각한 수준의 오존오염현상을 나타내고 있어, 서울지역 27개 대기오염 자동측정소 중 특히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중략)

  • PDF

GIS를 이용한 대기오염측정망의 적정성 분석 (The Allocation Analysis of Air Pollution Monitoring Stations Using GIS)

  • 최병길;김중식;라영우;이철준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13-119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GIS를 이용하여 대기오염측정망의 적정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측정소 이력, 분포의 적정성, 주위의 토지이용상태의 분포현황 분석을 통하여 인접지역이거나 주변 토지이용상태가 유사할 경우 측정값의 변화추이가 유사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재 대부분의 측정소가 주거지역에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기오염측정소 배치방법에 의한 측정소의 개수를 산정한 결과가 현재 설치되어 있는 측정소의 이전과 추가적인 설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토지이용상태와의 상관분석을 통해 오염원에 대한 정확한 파악과 오염물질의 이동경로에 대한 추적을 통하여 도시계획사업수립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수도권 지역 도시대기측정소 PM2.5, PM10, O3 농도의 지리적 분포 특성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PM2.5, PM10 and O3 Concentrations Measured at the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강정은;문다솜;김재진;최진영;이재범;이대균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657-66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지역의 대기오염물질(PM2.5, PM10, O3) 농도와 지형 고도, 건물 면적비, 인구 밀도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지형 고도와 건물 면적비를 분석하기 위해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였고, 건물 면적비를 계산하기 위해 수도권 지역을 TM 중부원점을 기준으로 수평 9 km × 9 km 격자로 구분하였다. 인구 밀도는 국가통계포털의 행정구역별 면적과 인구수 자료를 이용하였다. 대기오염물질 농도 자료는 수도권에 위치한 도시대기측정소 146개 지점의 PM2.5, PM10, O3 농도 측정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 기간은 2010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이고, 1시간 평균 농도 자료를 이용하여 월평균 농도를 계산하였다. 지형 고도는 경기도 북부와 동부 지역에서 높았고 서해안에 근접할수록 낮았다. 건물 면적비와 인구밀도 분포는 서로 유사하였고, 서울특별시에서 가장 높았으며, 산악과 해안지역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월평균 PM2.5과 PM10 농도는 봄철과 겨울철(1월~3월)에 높았고 O3 농도는 늦봄부터 초여름(4~6월)까지 높았다. 농도가 높은 3개월에 대해서 AMQS 지점별 평균 농도를 비교·분석하였다. 건물면적비나 인구밀도와 대기오염물질 농도 사이에는 음의 상관 관계가 분석되었다(인구밀도와 PM2.5, PM10 농도 사이는 약한 음의 상관관계가, O3 농도와는 비교적 강한 음의 상관관계). 반면, 대기오염물질 농도와 도시대기측정소 측정 고도 사이의 뚜렷한 상관성을 나타나지 않았는데, 향후, 이에 대한 연구 수행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996/1997년 겨울 우리나라 배경측정소에서의 대기오염 물질 특성 (Characteristics of Air Pollutants at Three Background Sites in Korea in the Winter of 1996/1997)

  • 김용표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15-420
    • /
    • 2000
  • The daily mean concentrations of PM2.5 mass ionic species carbonaceous species and HNO3, HCl, and NH3 were analyzed at three background sites in Korea : Kangwha, Kosan, and Dongbaik during two intensive field studies between December 1996 and January 1997, Four-day backward trajectory analysis was also carried out. The mean concentrations of anthropogenic species were higher at Kangwha and Dongbaik than Kosan. At these two sites themean concentrations of nitrate and ammonium/ammonia were higher than those of Kosan. It was suggested that these two sites be considered as the background sites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Pusan respectively. Major chemical components in fine particles were sulfate organic carbon nitrate and ammonium for all the sites. More than 90% of sulfate were non-sea-salt(nss) sulfates and most of the nss sulfate in PM2.5 might be present as ammonium sulfates at all sites. Most of air parcels arriving a Kangwha and Dongbaik were from the northern China. At Kosan during the measurement period half of air parcels were from the northern China and the other half from the southern China. At Kosan the concentrations of anthropogenic air pollutants originated from the southern China were higher than those typically observed from the northern Chin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