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기율

Search Result 852,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A Study on the Gap between Theoretical and Actual Ship Waiting Ratio of Container Terminals: The Case of a Terminal in Busan New Port (컨테이너 터미널의 이론적 대기율과 실제 대기율 비교에 관한 연구: 부산항 신항 A 터미널을 대상으로)

  • Lee, Jung-Hun;Park, Nam-Kyu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34 no.2
    • /
    • pp.69-82
    • /
    • 2018
  • The number of ships serviced at the container terminals in Busan is increasing by 2.9% per year. In spite of the increase in calling ships, there are no official records of waiting rate by the port authority. This study attempts to compare the theoretical ship waiting ratio and actual ship waiting ratio. The actual ship waiting ratio of container terminals is acquired from the 2014 to 2016 data of PORT-MIS and Terminal Operating System (TOS). Furthermore, methods and procedures to measure the actual ship's waiting rate of container terminal are proposed for ongoing measurement. In drawing the theoretical ship waiting ratio, the queuing theory is applied after deploying the ship arrival probability distribution and ship service probability distribution by the Chi Square method. As a result, the total number of ships waiting in a terminal for three years was 587, the average monthly service time and the average waiting time was 13.8 hours and 17.1 hours, respectively, and the monthly number of waiting ships was 16.3. Meanwhile, according to the queuing theory with multi servers, the ship waiting ratio is 31.1% on a 70% berth occupancy ratio. The reason behind the huge gap is the congested sailing in the peak days of the week, such as Sunday, Tuesday, and Wednesday. In addition, the number of waiting ships recorded on Sundays was twice as much as the average number of waiting ships.

An Analysis of Ship's Waiting Ratio in the Korean Seaports (국내 항만의 선박 대기율 실증 분석 연구)

  • Kim, Eun-Soo;Kim, Geun-Sub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40 no.1
    • /
    • pp.35-41
    • /
    • 2016
  • Port congestion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critical factors for port service competitiveness and port selection criteria. However, congestion ratio, the congestion index currently used by Korea, plays a very limited role in shipping companies' and shippers' selection of port and port authorities' decision making regarding port management and development. This is mainly due to the fact that this ratio is only calculated as the ratio of the number of vessels by each por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measure service level related to vessel entry and departure in Korea ports by evaluating waiting ratio(WR) according to terminals and vessel type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waiting ratio of containerships and non-containerships is less than 4% and 15% respectively, which satisfies the reasonable level suggested by the UNCTAD and OECD. Port of Pohang is revealed to have the highest WR of 57% and among the terminals, No. 1 Terminal of the Shinhang area has the highest WR. In terms of ship types, WR of Steel Product Carrier is highest, followed by General Cargo Ship and Bulk Carrier at the Pohang Shinhang area. In addition to WR, berth occupancy ratio as well as the number and time of waiting vessels can be utilized to evaluate service level by ports and terminals from port users' perspective, and furthermore, to improve the port management and development policy for port managers or authorities.

대구지역 대기환경용량평가에 관한 연구

  • Choe, Geun-Sik;Kim, Hae-Dong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90-91
    • /
    • 2010
  • 우리나라는 산업화와 도시화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한 대기오염물질배출시설, 자동차 통행량, 에너지 사용량의 증가 등으로 대기오염물질배출원의 수와 규모가 증대되어 광역도시를 중심으로 대기질이 악화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수도권대기질은 선진국의 주요 도시에 비해 대기오염 상태가 좋지 않은 것으로 평가됨에 따라 정부는 대기질을 OECD선진국 수준으로 개선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으나, 지역의 대기상태 및 그 동안의 대기질 개선을 위해 이행된 정책의 효율성 측면에서 볼 때 사후적인 규제위주의 농도규제 방식으로는 급증하는 대기오염배출시설의 배출량총량 관리가 어렵고, 지자체별로 개별적인 분산관리로는 광역적으로 이동되는 대기오염물질의 관리가 불가능하다. 또한 대기오염과 상관성이 큰 에너지정책, 산업정책, 도시계획 등 관련 정책과의 통합적 접근이 어렵기 때문에 사전에 이를 예방하는 총량관리가 요구되어 진다. 총량규제란 특정지역의 기상, 지형조건 등을 이용하여 대기환경용량을 산출하고 이를 기초로 지역별 배출허용총량을 할당하여 궁극적으로는 오염원별로 대상오염물질의 삭감량을 정하는 제도로 선진국에서는 대기환경용량을 바탕으로 1970년대부터 사업장을 중심으로 배출농도 규제와 함께 총량규제를 병행 실시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자동차에도 실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대기환경보전법 제9조에서 환경기준을 초과하여 사람의 건강이나 재산, 동식물의 생육에 중대한 위해를 가져올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동 지역 또는 특별대책지역 중 사업장이 밀집되어 있는 구역에 대하여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총량으로 규제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한, 환경부는 2003년도에 서울, 인천, 경기도내 19개시 지역을 대상으로 대기오염물질의 배출총량을 관리하는 대기오염총량제 실시를 포함한 '수도권대기질개선에관한특별법'을 제정하였고, 현재는 사업장에게 연도별 배출허용총량을 할당하고, 할당량 이내로 오염물질을 배출하도록 관리하는 사업장 대기오염물질총량관리 제도로 시행 중에 있다. 그러나 수도권대기질개선특별대책을 수립하면서 총량관리의 본격 이행 및 배출권 거래제도 도입에 대한 특별법안이 제정되고 부분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 총량관리를 본격 이행하는데 있어서의 필요한 준비여건은 아직 초기 단계이고, 관련 연구의 수행실적 또한 수도권에 제한되어 적은 편이다. 따라서 현재는 총량관리가 수도권에 국한하여 실시되고 있으나, 점차 타 도시까지 광역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바 이에 필요한 제반 사항들에 대한 조사 분석을 통하여 정책방향을 설정하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대구지역을 대상으로 대기오염농도 및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에 대한 현황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고농도가 자주 발생되거나 그러할 가능성이 높은 $NO_X$을 대상으로 대기오염기여도를 평가하고 대기확산모델을 통한 대기환경용량을 산정하였다. 대기오염농도 현황을 살펴본 결과, 대구지역의 대기오염은 $NO_2$, $SO_2$, CO는 전형적인 1차오염물질의 변화경향을 보였으며, $PM_{10}$는 봄철에 황사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나 실제 대구지역에서 배출되는 양을 추정하기 힘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NO_2$는 공업, 상업지역에서 $SO_2$$PM_{10}$는 공업지역, CO는 상업지역, $O_3$은 교외지역에서 높은 농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대구지역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현황은 CO가 47%, NOX가 43%로 전체 배출량의 90%를 차지하였고, 2005년 이후 $NO_X$는 감소하고 $SO_X$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또한 배출원대분류 중도로 및 비도로이동오염원에서 발생되는 선 오염원이 75%로 대구지역에서 가장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SCST3 대기확산모델을 이용하여 대기환경용량을 산정하기위하여, 먼저 대구지역의 대기환경용량평가는 가시적인 위해성이 높고 개선정책이 용이한 $NO_X$을 대상물질로 선정하였고, 배출량과 오염농도간의 상관도가 0.659로 높은 것으로 판단되어, 배출량을 삭감하였을 때 대기오염농도의 개선이 명확히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단위격자 당 한계배출율을 알아내는 작업을 실시하여, 대구지역을 동일하게 장기환경기준 80%수준인 22.4ppb를 만족시키기 위한 한계배출율은 2.23g/s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고, 산출한 한계배출율을 이용하여 장기환경기준치 80%수준 달성을 목표로 하는 경우의 대기환경용량을 산정하고 실제 배출량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구지역 전체의 환경용량은 약 3만 톤으로 실제 배출량 2만2천 톤에 약 8천 톤 이상의 여유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구역별로 상이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에 따른 구역별 개선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대기환경용량을 파악한 후 단위격자 당 한계배출율을 초과하는 대상 지역을 추출하여 삭감한 결과 초과배출량의 80%를 삭감해야 대구지역 전체에서 50ppb이하 농도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실제로 초과배출량의 80%를 삭감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되어, 대구지역을 동일한 %율로 삭감한 결과 30% 삭감했을 때 50ppb수준을 달성하였고, 50%삭감했을때 2007년 환경기준인 30ppb수준을 달성하였다. 또한 배출원대분류 중 기여율이 높은 도로와 비도로오염원을 50%삭감한 결과 도로이동오염원의 삭감만으로도 상당한 고 배출지역의 농도저감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비도로오염원을 포함하여 삭감하였을 때는 대구지역 전체에서 50ppb이하로 내려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총량규제의 실시에 맞추어 대구지역의 실제적인 환경용량의 정확한 파악과 고배출지역에 대한 삭감방법에 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이 연구 결과는 앞으로 시행될 지역총량규제에 대한 기초적인 방법론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Optimal Service Level of Exclusive Container Terminals (컨테이너 전용부두의 최적 서비스 수준에 관한 연구)

  • Park, Sang-Kook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32 no.2
    • /
    • pp.137-156
    • /
    • 2016
  • This study analyzes the optimal service levels of exclusive container terminals in terms of the optimal berth occupancy rate and the ships' waiting ratios, based on the number of berths. We develop a simulation model using berth throughput data from pier P, Busan New Port, a representative port in Korea, and apply the simulation results to different numbers of berths. In addition to the above results, we analyze the financial data and costs of delayed ships and delayed cargoes for the past three years from the viewpoints of the terminal operation company (TOC), shipping companies, and shippers to identify the optimal service level for berth occupancy rates that generate the highest net profit. The results show that the optimal levels in the container terminal are a 63.4% berth occupancy rate and 10.6% ship waiting ratio in berth 4,66.0% and 9.6% in berth 5, and 69.0% and 8.5% in berth 6. However, the results of the 2013 study by th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optimal service levels: a 57.1% berth occupancy rate and 7.4% ship waiting ratio in berth 4; 63.4% and 6.6% in berth 5; and 66.6% and 5.6% in berth 6. This suggests that optimal service level could change depending on when the analysis is performed. In other words, factors affecting the optimal service levels include exchange rates, revenue, cost per TEU, inventory cost per TEU, and the oil price. Thus, optimal service levels can never be fixed. Therefore, the optimal service levels for container terminals need to be able to change relatively quickly, depending on factors such as fluctuations in the economy, the oil price, and exchange rates.

The Impact of Interaction between Cloud and Longwave Radiation In Asia Monsoon Circulation (구름-장파복사 상호작용이 아시아 몬순 순환에 미치는 영향)

  • Yu, Geun-Hyeok;Son, Byeong-Ju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09a
    • /
    • pp.112-125
    • /
    • 2003
  • 구름의 몬순의 활동에 있어서 직접적으로나 간접적으로 영향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구름이 몬순의 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ISCCP 구름자료와 GAME 재분석 자료를 입력자료로한 장파 복사 모델을 수행하였다. 모델 수행의 결과로 얻어진 대기 상부에서의 플럭스는 CERES 관측치와 비교하였으며, 구름에 의한 가열율은 몬순활동을 해석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구름이 몬순에 끼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맑은 대기의 가열율과 구름을 포함한 평균 대기의 가열율의 차이를 구하였으며, 이를 수평과 연직분포의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가열율의 지리적 분포는 수평적으로는 인도양에서 장파 복사 가열율의 최대가 나타났으며, 가열의 최저 (냉각)은 티벳고원에 나타났다. 이러한 공간적 분포는 구름이 남북방향으로 차등가열을 유발시키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어 구름의 분포가 열적인 몬순순환을 강화시켜주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러한 차등가열의 강화는 동서방향으로도 나타나 구름이 동서방향 순환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구름에 의한 복사 가열의 연직구조는 운정에 의한 냉각과 운저에 의한 가열이 일어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로 인해 대기의 불안정성이 높아져 연직 운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즉 몬순순환에 의해 생성된 구름은 구름 생성의 원인이 되었던 순환을 더욱 강화시키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

  • PDF

The Daytime PBL Heating Process and Heating Rate by Meso-Scale Circulation (중규모 순환에 의한 대기경계층 가열과정과 주간 가열율 산정에 관한 연구)

  • 이화운;정우식;김동혁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441-442
    • /
    • 2003
  • 복잡한 지형에서 국지적인 순환에 의한 에너지 교환은 기상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종관장이 영향이 약하고 양호한 기상조건 하에서 대기 경계층내에서의 온도와 바람장은 국지적인 순환에 영향을 받는다(Kawamura,1979; Kuwagata et al.,1990; Winston et al.,1992). 즉 이러한 기상 조건 하에서는 중규모 순환에 의해 에너지의 수송효과가 크고 각기 수송된 에너지에 의해서 지역별로 대기 경계층내의 가열율에도 차이가 나타난다. (중략)

  • PDF

The Shortening Alternatives of Waiting Time in Operation Place Area of Operating Patients (수술환자의 수술장 내 대기시간 단축방안)

  • Park, Mal-Young;Yim, Eun-Seong;Park, Ji-Young;Noh, Ji-Hyeon;Choo, Eun-Young;Yoo, Jae-Yeon
    • Quality Improvement in Health Care
    • /
    • v.15 no.2
    • /
    • pp.65-71
    • /
    • 2009
  • 문제: 환자가 수술장 내에서 수술을 기다리면서 느끼는 불안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하지만 수술실의 효율성 및 의료진 편의성 위주로 운영되고 있어 수술실 내 대기시간이 연장되고 있다. 목적: 수술장 내 대기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수술환자의 이동경로에 따른 지연요인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하여 환자가 수술을 기다리면서 느끼는 불안감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의료기관: 부산시에 소재한 481병상의 종합병원 수술실 질 향상 활동: 수술환자의 대기시간 지연요인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을 통해 질 향상을 도모하였다. 개선효과: 대기시간 수행율에서 수술장 도착까지의 수행율이 개선전 95%에서 개선후98%로, 수술방 입실까지의 수행율이 개선전 88%에서 개선후 94%로, 마취시작까지의 수행율이 개선전 93%에서 개선후 96%로 수행율이 높아졌다.

  • PDF

A study on the rain attenuation prediction model using effective permittivity (실효유전율을 이용한 강우감쇠 예측 모델에 관한 연구)

  • 김혁제;조삼모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9 no.1
    • /
    • pp.52-59
    • /
    • 1998
  • We calculated the wave attenuation due to rain using the effective permittivity of the air with raindrops. The effective permittivity depends on the complex permittivity of rain drop and the fractional volume occupied by the raindrops. We calculate the complex permittivity of rain drop and the raindrops' volume using Marshall-Palmer Rain drop size distribution. The rain attenuation calculated by effective permittivity is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ITU rain attenuation model, and the two rain attenuation models have a very close agreement. The effetive permittivity model underestimates the rain attenuation under 50 GHz, and overestimate at the frequencies under 50 GHz copmpared with the ITU model.

  • PDF

Relation of the Pollutant Standards Index (PSI) to Total Mortality (PSI(Pollutant Standards Index)와 사망률과의 관련성)

  • Kim, Yoon-Shin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 /
    • v.13 no.2
    • /
    • pp.1-7
    • /
    • 1987
  • 대기오염과 사망율과의 관련성을 평가하고자 미국내 23개 SMSA(Standard Metropolitan Statistical Areas) 지역에서 대기오염의 程度를 나타내는 指數인 PSI(Pollutant Standards Index), 氣象學的 變數 및 사회 경제적 변수를 이용하여 多變量 分析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총사망율과의 관련성은 사회경제적변수가 영향이 큰 반면 PSI는 작은 것으로 示俊되었다. 대기오염과 사망율과의 연관성에 관한 평가는 많은 변수의 復雜性이 내포하고 있어 좀더 具體的이고 세밀한 분석이 기대된다.

  • PDF

Acid Rain Model Development Considering Altitudinal Precipitation Rate (고도별 강우율 변화를 고려한 산성비 모델의 개발)

  • 구자공;고석오;김민영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v.5 no.1
    • /
    • pp.43-51
    • /
    • 1989
  • 개발된 산성비 모델에서는 다종의 대기오염물 제거로 인한 강우내의 화학성분과 산성도의 고도별 및 시간별 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 강우시 구름내와 밑에서 일어나는 대기 오염물의 강우내로의 물질전달 현상과 화학반응 현상을 동시에 고려하였다. 또한, 강우 산성도의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구름내에서의 복잡한 동력학적 특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강우율의 높이별 변화를 단순화하여 해석하였다. 개발모델을 이용하여 1985년과 1987년 가을의 서울시 산성비에 대하여, 산성비 모델을 이용하여 추정한 pH값과 실측 pH값 사이의 상관관계는 0.57을 나타내었고, 효과적이고 정량적인 관리를 위하여 대기중의 이산화황 농도, 구름층의 두께, 지상에서의 강우율 및 황산이온의 형성에 중요한 역활을 하는 산화제들의 강우 산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민감도 분석을 통해서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