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가 산정기준

Search Result 270, Processing Time 0.03 seconds

Improvement in Calculating Engineer Standard Wage Rate and Its Appropriate Level Computation (엔지니어링 노임단가 산출기준 개선방안과 적정 노임단가 추정)

  • Lee, Jae Yul;Lee, Hae Kyu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2 no.6
    • /
    • pp.853-860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improvement plan for the calculation method of the engineer standard wage rate (ESWR) and to compute a reasonable ESWR. To this end, an adequacy review of theESWR calculation criteria was conducted along with an extensive engineering industry survey. The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using an effective response sample of 748 companies out of 1,000 survey samples extracted by stratifying the 5,879 survey population.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①When calculating the engineering service fee, the prime contractor's engineer wage is suitable for the ESWR. The ESWR can be estimated by the formula 'average wage÷[1-proportion of subcontract orders×(1-subcontract rate)].' ② The field survey showed that the number of monthly working days was 20.35-20.54 days at 99 % confidence interval, whic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urrent standard (22 days). In addition, as a result of a legal review of the ESWR criteria,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working days should be calculated in accordance with the Labor Standards Act after 2022. ③ Applying government guidelines,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wage survey and the ESWR application can be corrected by the past ESWR increase rate for a specific period. ④ Using modeling based on the analysis above, the current ESWR was 13.5-14.5 % lower than the appropriate level. A lower ESWR was driven by the non-reflection of subcontract structure (4.1 %), overestimation of monthly work days (6.8-7.8 %), and application of past wage (2.6 %). The proposed model is expected to be widely used in policy making, as it can provide a useful framework for calculating the standard wage rate in similar industries as well as calculating appropriate engineering fees.

PRT Benefit Estimation Study; Focused on Nan-Gok line (PRT시스템 도입시 편익산정 연구; 난곡노선을 중심으로)

  • Lee, Jin-S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4 no.4
    • /
    • pp.370-375
    • /
    • 2011
  • In this paper, as a follow-up PRT studies of "J. Lee & K. Kim[2]", in terms of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 economic feasibility of PRT systems was investigated. Based on previous studies, PRT demand was estimated and the required number of PRT vehicles has been calculated and the benefit was estimated. To ensure the economic feasibility, construction cost of a PRT system should be the level of 8 billion won per km, and the annual operating costs of the PRT system construction should be approximately 4.63% level. As a result, how much to reduce PRT construction costs, depending on whether decisions are considered to be economically feasible. Thus, PRT technology development will be conducted by targeting the most lightweight and by minimizing the infrastructure and vehicles of PRT.

An Awareness Analysis on the Design for Safety of Construction Project and Its Improvement Measures (건설프로젝트의 설계안전성 검토에 대한 인식 분석 및 개선방안)

  • Shin, Won-Sang;Son, Chang-Bae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19 no.4
    • /
    • pp.351-359
    • /
    • 2019
  • Recognizing that the fundamental cause of construction safety accidents was a lack of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the planning and design phases, the government made the Design for Safety (DFS) system mandatory in May 2016. However, awareness among ordering parties and designers regarding this system is significantly low, and the system has not been properly established due to reasons such as the need for additional work and a lack of professional manpower. In this study, the awareness of ordering parties and designers of the DFS system was analyzed through a survey, various problems in DFS work execution were identified and measures for improvement were presented. Measures to improve the efficiency in DFS work execution involve the discovery of risk factors and establishment of countermeasures, and here the establishment of a DFS work support system that enables the sharing of information between institutions is the most urgent priority. In addition, it is also urgently necessary to establish a dedicated organization in charge of DFS work, cultivate professional manpower, develop the relevant education programs and establish a proper cost calculation standard for DFS work execution by design offices.

A Study on the Derivation and Sensitivity Analysis of the Adjustment Factor in the Software Cost Estimation Guidelines (소프트웨어 사업대가기준 보정계수의 유도 및 민감도 분석)

  • Byun, Boon-Hee;Kwon, Ki-Tae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5D no.1
    • /
    • pp.61-72
    • /
    • 2008
  • One of the most significant tasks of software development project is to know how much it will be the software development cost in the early stage of software development cycle. The software development environment and technology are changing very rapidly. For accuracy, we should apply those to the software cost estimation. And it is important that we select the suitable adjustment factor and the value of a suitable adjustment factor. For that, this paper have applied the method of AHP. And we have also analyzed the sensitivity of the adjustment factor which is influenced by decision metrics. In conclusion, the value of the application type adjustment factor is responded more sensitively to the data complexity and the control complexity than processing complexity. And the value of the language adjustment factor is responded more sensitively to the supplying manpower and the time of the coding than the time of the debugging. In the future, we will research the selection of an additional adjustment factor and a suitable value of the adjustment factor which are influenced by the environment and the technology of the domestic software development. And then, in the language adjustment factor, we will try to calculate the value about the individual programming language.

A Study on the Calculation Method of Load standard for ZEB activation (ZEB 활성화를 위한 부하기준 산정 방법 연구)

  • Lee, Hangju;Kim, Insoo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6 no.4
    • /
    • pp.92-99
    • /
    • 2017
  • In Korea, the zero energy building was designated as the 7 new industries in the Ministry of Land and the 8 new industries in the Ministry of Industry. In order to maximize the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building envelope, improve the efficiency of building equipment, We are aiming.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energy requirements of the buildings (cooling, heating, hot water supply, lighting, ventilation) of buildings with energy efficiency level of 1++ which is equivalent to the zero energy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in Korea, It is aim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advancement of energy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Zero Energy Building certification is estimated to be 61 buildings by 2017, and the approximate reference value and the first energy requirement for each of the five loads are calculated considering passive and active aspects. It is difficult to say that it is a clear standard because there is a small sample of data for calculating the load standard. However, it is necessary to interpret various methods in order to upgrade the Zero Energy Building certification standard in the future.

A Capacity of Refuge area in Multiple Occupancy Building with Underground Facility (지하연계복합건축물의 피난 안전구역 면적 산정)

  • Kim, Jong-Sung;Kim, Woon-Hyung;Lee, Yo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272-276
    • /
    • 2011
  • 최근 발생한 부산 해운대 화재 이후 피난 활동이 제한적인 고층 건축물의 화재 안전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현행 규정은 50층 이상의 초고층 건축물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준 초고층 건축물에 대한 제도적 기반과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하연계복합건축물에 관한 피난 안전구역면적 산정 기준에 대한 적용성을 분석하고자 국외의 관련 기준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용 인원에 관한 기준은 홍콩, 한국, 싱가포르, 중국 순으로 강화 적용하고 있으며 피난안전구역의 면적은 싱가포르의 경우 전체 수용 인원의 50% 이상과 1명당 $0.3m^2$을 전제로 하는 피난안전구역의 면적 기준이 국내의 각 층별 1/10의 면적의 합과 동일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Detailing of regional evapotranspiration using temperature data and energy balance method (기온 자료와 에너지수지 방법을 이용한 지역 기준 증발산량 상세화)

  • Shin Uk Kang;Wan Sik Yu;Kyoung Pil Kim;Yong Sin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18-118
    • /
    • 2023
  • 물순환 과정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증발산(증발과 증산)은 각종 수자원시설물의 운영관리, 수자원계획 수립, 농업용 시설의 개발 및 운영관리 등에 필요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한편, 기후변화 등으로 '14~'19년 장기간 가뭄, '17년 가뭄상황에서도 태풍 '차바'에 의한 국지적 홍수, '20년 역대 최장기간 장마에 의한 대규모 홍수, '22년 태풍 '힌남노' 이후 남부지역 극심한 가뭄 등 가뭄과 홍수가 반복되어 물관리 여건이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이러한 홍수/가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강우-유출 모형을 사용한다. 신뢰적인 예측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상세하고 정밀한 증발산량 추정이 필요하다. Penman-Monteith(PM) 기법으로 기준 증발산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최고·최저기온, 이슬점온도, 풍속, 일조시간 등의 기상자료가 필요하다. 이러한 자료는 전국 95개 ASOS 지점에만 얻을 수 있다. 계산된 95개 지점의 기준 증발산량은 티센망 등 방법으로 공간평균하여 활용한다. 95개 지점 자료만으로는 지역적 기상 특성을 반영하여 기준 증발산량을 산정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결국 강우-유출분석의 신뢰도 저하로 귀결된다. 본 연구는 기상청 ASOS 지점 외 AWS 590개 지점을 추가하여 기준 증발산량을 산정하여 공간적으로 상세화하였다. ASOS 지점들에 대해 PM 기법과 Hargreaves(HS) 기법으로 22년간의 일단위 기준 증발산량을 각각 계산하였다. 이들의 상관계수는 평균 0.85로 매우 높아, HS 기법으로 산정된 AWS 지점 결과의 추가사용이 적정하였다. 기온만을 사용하는 HS 기법, PM과 HS의 상관성 및 풍속을 반영한 2가지 보정 HS 기법으로 기준 증발산량을 계산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보정된 HS의 결과가 기존 HS 기법에 비해 오차가 적고, 자료의 편향성이 줄어드는 등 더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각종 수문분석에 보정 HS 기법을 AWS 지점에 확대·적용하고, ASOS 관측소의 PM 기법과 병행해 상세화하여 활용하면 수문분석의 신뢰성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River Zone Determination Method by River Type Based on 3D DSM Data (3차원 DSM 자료 기반 하천유형별 정밀 하천구역 결정기법 개발)

  • Lim, Dong Hwa;Lee, Choon Ho;Lee, Tae Geun;Sim, Gyoo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72-472
    • /
    • 2021
  • 우리나라는 하천법 제10조, 소하천정비법 제3조에 하천기본계획 수립 또는 하천의 지정 및 변경고시 시 하천구역을 결정하도록 정의되어 있다. 하천구역 설정 시 일반적으로 하천의 제방이 위치하는 부지 및 제방하심측 토지경계를 하천구역으로 지정하고 있으나, 제방계획이 없거나 무제부 구간으로 활용되고 있는 구간의 경우 하천법 제10조 3항에서 5항까지 3가지 항목을 기준으로 계획하폭에 해당하는 토지, 댐·하구둑·홍수조절지·저류지의 계획홍수위 아래에 해당하는 토지경계, 철도·도로 등 제방의 역할을 하는 선형공작물 하심측 토지경계로 구분하고 있다. 하천구역의 경계설정의 경우 불연속적인 특징을 갖는 하천의 횡단측점 자료의 특성상 정확한 평면상의 경계를 파악하기 어렵고, 철도·도로 등 선형공작물 경계를 하천구역으로 설정 시 편입용지의 보상이 상이하고 모호한 기준으로 인해 다량의 민원이 발생하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에 위치한 지방하천 대천천을 대상지로 설정하였으며, 계획홍수위를 기반으로 홍수범람예상도를 작성하여 정밀계획홍수위선을 산출하고 이를 지형자료와 중첩하여 계획홍수위 경계를 추출하였다. 또한 무제부 구간 내 드론촬영을 실시하여 대상지 드론영상 기반 3차원 정밀 지형자료를 구축하고 이를 앞서 산정한 계획홍수위 경계자료와 중첩하여 정밀 하천구역을 설정하였다. 대상지 정밀 하천구역 산정 결과를 기반으로 도심지내 하천과 도시외곽 하천으로 구분하고 다시 도심지내하천은 암거(복개)구간과 개거구간, 도시외곽하천은 유제부와 무제부 구간으로 구분하여 정밀 하천구역 결정기준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대천천유역을 대상으로 실시한 무제부 구간 하천구역 결정과정을 기반으로 하천유형별 3차원 하천구역 산정기법을 정립하였다. 향후 해당기법을 실무에 적용하여 하천구역 산정 시 모호한 하천경계부분 또는 토지소유주와 담당부처 간 하천구역 논의 시 기반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기본계획 수립 시 해당 기법 적용을 통해 보다 정확한 하천구역 경계 수립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development of design-width prediction equation by using 12 local governments data collected from small stream of Korea (국내 12개 시·도 자료를 이용한 소하천 계획하폭 산정식 개발)

  • Choi, Changwon;Cheong, Tae Su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6 no.3
    • /
    • pp.185-194
    • /
    • 2023
  • There are more than 22,300 small streams distributed nationwide in Korea, and they have various runoff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basin area, topography and land use. For small stream disaster management, establishing detailed design standards suitable for the small streams is important, but most of the formulas currently proposed in the small stream design standard are based on the river design standard aimed at national and local rivers or foreign river design standards. The design-width i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size of the stream. It is determined by using design-flood discharges or more variables such as design-flood discharges, basin area, slop, etc in the small stream design standard. This study collected various characteristics information such as the design-flood discharges, basin area, river length and river slop, and design-width values from 4,073 small streams distributed in 12 cities and provinces in Korea to suggest the appropriated design-width formula. This study developed two design-width formulas by using the regression analysis which one is using the design-flood discharges and the other is using various variables such as the design-flood discharges, basin area, river length and river slope collected from the small steams. It is expected that both equations developed in here can be used for small stream disaster management, such as improving small stream design standard or establishing a comprehensive small stream maintenance plan.

Prioritization of locations for permeable pavement considering future climate scenarios (미래 기후시나리오에 따른 투수성포장 시설 우선순위 선정)

  • Chae, Seung Taek;Choi, Hyuk Su;Chung, Eun-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64-364
    • /
    • 2021
  •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른 홍수 및 가뭄 재해의 피해는 심각해졌다. 그러므로 미래 재해로 인한 피해를 완화시키기 위한 수자원 계획 수립 및 관리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전지구모형(General Circulation Model, GCM)은 기후 변화 연구에서 기후 요인의 변동을 조사하는데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 변화 시나리오를 고려하여 도시유역의 소유역 별 투수성포장 시설의 우선순위를 산정했다. 기후 변화 시나리오에는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RCP)와 Shared Socioeconomic Pathway(SSP) 시나리오가 사용되었으며 CMIP5와 CMIP6의 GCM을 고려하였다. GCM을 이용하여 산정된 미래 월 강수량은 분위사상(Quantile Mapping)법의 비모수변환(Non-Parametirc Transformation)법 중 하나인 스플라인 평활(Smoothing Spline) 방법을 사용하여 편이보정 되었다. 연구대상지는 목감천 유역이 선정되었으며, 27개의 소유역에 대해 투수성포장 시설의 우선순위를 산정되었다. 우선순위 산정을 위한 평가 기준들은 Driving force-Pressure-State-Impact-Response(DPSIR) 모형을 기반으로 산정 되었다. 평가기준에 따른 27개의 소유역에 대한 값들은 통계청 및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WAMIS), 편이보정 된 미래 강수량과 Storm Water Management Model(SWMM)을 이용한 유출분석 결과를 통해 도출했다. 평가기준들의 객관적 가중치 산정을 위해 엔트로피 방법을 이용했다. 최종적으로 목감천 소유역 별 투수성포장 시설의 우선순위 산정에는 다기준의사결정기법 중 하나인 TOPSIS방법을 사용했다. 산정 결과 DPSIR 모형을 기반으로 수문학적 요소에 큰 가중치를 부여한 경우 하류보다는 상류 유역에서 높은 우선순위를 확인했으며, 각 요소별 동일한 가중치를 주었을 때 하류 유역에 높은 우선순위가 집중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