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닿소리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초

한글 부호의 최적화 전송을 위한 한국어 낱자 분석 (An Analysis on the Korean Language for Optimum Transmission of Hangul Code)

  • 홍완표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33-38
    • /
    • 2015
  • 본 논문은 한글부호의 전송을 최적화하는데 요구되는 한글낱자를 연구하였다. 한글낱자는 한국어를 구성하고 있는 한글을 토대로 하여 분석하였다. 한글낱자의 분석은 세가지 유형을 대상으로 하여 수행하였다. 첫번째 대상은 한글맞춤법 통일안의 24개 낱자이었다. 두번째 대상은 표준 두벌식 글자판의 낱자 28개이었다. 세 번째 대상은 한글맞춤법 통일안에 겹낱자를 포함한 총 54개 낱자이었다. 이 세가지 분석대상별로 각 낱자에 대한 사용빈도를 분석하였다. 국립국어원의 한국어자료에 수록된 총 한국어 단어는 총58,437개인데, 단어들은 총 1,540자의 글자로 구성되어 있다. 이 한글들을 분석한 결과, 사용빈도수를 보면, 첫 번째 대상의 경우, 닿소리는 "ㅇ"이 가장 많고 "ㅋ"이 가장 적었으며 홑소리는 "ㅏ"가 가장 많고 "ㅑ"가 가장 적었다. 두 번째 대상의 경우, 닿소리는 첫 번째 대상과 같고 홑소리는 "ㅏ"가 가장 많고 "ㅒ"가 가장 적었다. 세 번째 대상의 경우, 닿소리는 "ㄱ"이 가장 많고 "ㄽ"이 가장 적었으며 홑소리는 "ㅏ"가 가장 많고 "ㅞ"가 가장 적었다.

훈민정음 음성학(II): 초성, 종성(닿소리) 제자해에 대한 음성언어의학적 고찰 (Hunminjeongeum Phonetics (II): Phonetic and Phoniatric Consideration for Explanation of Designs of Initial and Final Consonant Letters)

  • 최홍식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83-88
    • /
    • 2022
  • Hunminjeongeum had 17 initial consonant letters. Among them, five consonant letters, those are ㄱ (牙音, molar sound letter), ㄴ (舌音, lingual sound letter), ㅁ(脣音, labial sound letter), ㅅ (齒音, dental sound letter), ㅇ (喉音, guttural sound letter), were served as chief consonants. There was no argument that consonant letters were made by symbolizing the shape of vocal organs during phonation of them. It could be phoniatrically explained that all of five chief consonants were morphologically symbolized from left lateral view of vocal tract during articulation. Although 'ㄱ' was known as molar sound, it was not modeled the shape of molar tooth but modeled the shape of tongue at molar teeth bearing area. The same principle applies to 'ㅅ', and it was represented the shape of upper surface of anterior tongue instead of incisor teeth. 'ㄴ' was a lingual sound and directly shaped the shape of tongue. 'ㄷ' was made by addition of a stroke 'ㅡ' meaning hard palate above 'ㄴ'. 'ㅁ' was represented the shape of lateral view of anterior mouth. 'ㅇ' was looked like shaping left lateral view of laryngopharyngeal space.

음소의 가로선형 배열을 통한 밀도 분산형 한글꼴연구 ( 새로운 음소형 코드체계를 위한 한글꼴 ) (Study on the Hangul typeface of the decentralized density through the horizontal disposition of phoneme. (Hangul typeface for New Hangul Code))

  • 문석배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1994년도 제6회 한글 및 한국어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223-230
    • /
    • 1994
  • 본 한글꼴은 음절 및 음소의 가시성을 높이고자 한글 음소의 이중 가로선형 배열을 통한 밀도 분산형 한글꼴과 음소 나열형 한글꼴 등의 새로운 한글꼴의 다양한 표현의 실험 연구이다. 일도 분산형 한글꼴은 새로운 음소형 한글코드(닿소리, 홑소리, 받침 조합형)와 서로 대응하드록 일원화 한글꼴로 한글 및 옛 한글의 음소 조합형의 입.출력이 가능하다. 이러한 시도는 1바이트 이내에서 현대한글 및 옛한글을 구현하며, 이는 한글의 구현원리에 따른 음소형 코드체계의 실현 가능성으로 한글 코드체계의 최적화에 대한 새로운 가설을 제시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