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당뇨발궤양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2초

당뇨병성 족부질환 - 당뇨발의 치료: 처치와 수술 및 관리

  • 배서영
    • 월간당뇨
    • /
    • 통권289호
    • /
    • pp.26-36
    • /
    • 2013
  • '당뇨발'은 '당뇨환자에서 신경학적 이상이나 말초혈관 이상 때문에 발생하는 발의 궤양으로 감염이나 심부 조직의 파괴를 동반하기도 하는 발의 질병'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발에 궤양이 발생한 상태가 아니더라도 매우 포괄적인 용어(umbrella term)로서 당뇨병환자에게서 발생하는 발의 만성 합병증을 총칭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왜냐하면 발의 궤양을 동반하지 않는 괴저(괴사), 심부 감염, 신경병증성 관절증(Charcot arthropathy) 등도 당뇨발의 범주에 포함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보면 '당뇨발'이란 의학적 진단명으로는 적절하지 않은 용어라 할 수도 있다. 다만 이미 일반화된 용어로서 환자의 교육과 설명에는 더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 PDF

특집 : 미세혈관 합병증 - 말초혈관에 의한 족부병변 - 당뇨발 괴사의 진단과 치료

  • 한승환
    • 월간당뇨
    • /
    • 통권259호
    • /
    • pp.22-25
    • /
    • 2011
  • 당뇨발의 발생원인으로 신경병증 및 혈관병증이 있다. 신경병증의 경우 발의 자기 방어기전의 소실로 족부에 궤양이 유발되나, 혈관병증에 의한 혈액순환 장애는 궤양의 발생뿐 아니라, 산소 및 영양공급을 차단 시켜 궤양의 치료까지 어렵게 만들어 발이 까맣게 썩어가는 괴사까지 초래하게 된다.

  • PDF

당뇨병성 족부질환 - 당뇨환자의 건강한 발 관리

  • 한은진
    • 월간당뇨
    • /
    • 통권289호
    • /
    • pp.42-47
    • /
    • 2013
  • 당뇨병이 증가함에 따라 당뇨환자의 발에 궤양(당뇨발)이 생겨 발을 절단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당뇨환자에게 심리적 문제나 경제적 비용뿐만 아니라 육체적 장애 및 사망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그러나 당뇨환자의 건강한 발관리가 중요하다는 인식은 아직 미미한 상태이다. 당뇨발이 발생하는 원인을 잘 알고 미리 발 관리를 시행하는 것은 중요하다. 또한 당뇨발 증상을 조기 인식하는 것만이 발을 절단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이 쳅터에서는 당뇨발 발생 위험요인에 대해 알아보고 당뇨발을 예방하기 위한 발 관리법은 무엇인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 PDF

제2형 당뇨병 환자의 발궤양 위험, 발관리 지식 및 발관리 수행 (Foot Ulcer Risk, Foot Care Knowledge, and Foot Care Practic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ics)

  • 고남경;송미순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81-91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oot ulcer risk factors, foot care knowledge, and foot care practic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thod: One hundred fifty type 2 diabetic patients were in and out-patients in a large urban hospital.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chart review and foot examination. The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through the experts consultation and literature review. High risk for foot ulcer was evaluated by peripheral neuropathy(PN), peripheral vascular disease(PVD), and prior foot ulcer. Foot risk scores(FRS) means numbers of present risk factors. Results: 31.3% of subjects show 1 FRS, and 13.3% showed 2 FRS. Mean foot care frequency was 3.5 times per week.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oot care knowledge according to DM education (t=2.96, p=.004) and foot care education (t=3.65, p=.00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oot care practice activities according to duration of DM (t=3.48, p=.010) and educational levels. Conclusion: There were high proportion of foot ulcer risk among the patients. It is necessary to screen high risk foot ulcer patients and provide practical education for foot care practice of diabetic patients.

  • PDF

족부질환과 운동

  • 조윤우
    • 월간당뇨
    • /
    • 통권213호
    • /
    • pp.21-23
    • /
    • 2007
  • 당뇨병성 족부질환은 크게 당뇨병성 족부 혈관병증, 당뇨병성 족부 신경병증, 당뇨병성 족부궤양 등으로 나누어지며, 당뇨병환자에서 하지에 궤양 및 괴사가 발생 위험도는 정상인에 비하여 15~17배나 높다. 이러한 당뇨병성 족부질환을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발의 일부나 전부를 절단하게 되며, 외상에 의한 절단을 제외하면 하지 절단의 가장 주요한 원인이 된다. 당뇨병성 족부질환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절단이 되었다 하더라도 수술 직후부터 적극적인 약물치료 및 재활치료는 정상인과 거의 동일하게 일상생활 수행 및 독립보행이 가능하며, 스포츠를 포함한 여가활동까지 가능하다.

  • PDF

IoT 환경에서 AI 기반의 당뇨발 진단을 위한 깔창 개발 (Development of Insole for AI-Based Diagnosis of Diabetic Foot Ulcers in IoT Environment)

  • 최원후;정태명;박지웅;이서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1권3호
    • /
    • pp.83-90
    • /
    • 2022
  • 당뇨병은 오늘날 주변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질병이며, 당뇨병성 족부 궤양(당뇨발)이라는 심각한 합병증으로 발전하는 사례 또한 많이 나타난다. 따라서 이를 사전에 진단하고 예방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이며 본 논문에서 그 방안을 제시한다. 본문에서 소개하는 기존의 연구들을 바탕으로 발의 압력과 온도 정보는 당뇨발과 깊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해당 지표들을 측정하는 IoT 기기인 스마틴솔을 개발과정 및 아키텍쳐를 소개한다. 또한, 더 나아가 스마틴솔로 측정한 데이터들의 실제 당뇨발 진단을 위한 AI 분석 전처리 과정을 기술하며, 측정된 압력 그래프와 실제 사람의 발걸음 분포의 비교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다중 정보들이 기존의 IoT 기기들보다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다는 결과를 제시한다.

특집 - 발까지 위협하는 혈관합병증

  • 홍지영
    • 월간당뇨
    • /
    • 통권210호
    • /
    • pp.17-18
    • /
    • 2007
  • 당뇨병성 족부병변은 당뇨병성 신경증, 허혈증, 그리고 골관절병 등에 의해서 감염, 궤양 등 하지의 조직이 파괴된 상태로 당뇨병환자의 하지절단, 사망률 등을 높이는 중요한 원인이다. 전세계적으로 하지절단의 가장 많은 원인이 당뇨병성 족부병변이며, 당뇨병환자는 정상인에 비해 하지절단의 위험이 약 15배 가량 높다. 또한 5$\sim$15% 정도의 당뇨병환자가 일생 동안 하지절단에 직면하게 된다고 하고, 한쪽 다리를 절단하면 다른 한쪽도 절단할 확률이 1$\sim$3년 이내에 40%, 3$\sim$5년 사이에 58% 정도이며, 일단 하지절단 후에는 3년 생존률이 50%에 이른다는 보고도 있다.

  • PDF

한국인 제2형 당뇨 환자의 당뇨발 궤양 예방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Effectiveness of Korean Patient Education in Preventing Diabetic Foot Ulcer: A Systematic Review)

  • 주명진;김선녀;손수경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23-233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contents and effectiveness of education programs for preventing diabetic foot ulcer among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in Korea. Methods: Six electronic databases were searched using search terms, and 748 articles were identified. Ten articles were eligible based on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Article quality was evaluated using a critical evaluation checklist for manuscripts before performing the systematic review. Results: Although education programs for preventing diabetic foot ulcers have been continuously studied for 20 years, the number of studies is small, and to our knowledge, there have been no studies reporting on the subsequent prevalence of foot ulcers or amputations. While the effect of these education programs on knowledge (ES=1.23) and self-management behavior (ES=.96) was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was not shown to be significant in preventing diabetic foot ulcers (ES=.03). Conclusion: The actual preventive effect on the prevalence of foot ulcers, through education programs for preventing diabetic foot ulcer could not be determined. Our findings highlight a potential need for studies aimed at developing effective programs to improve education on preventing diabetic foot ulcers.

건강정보 이해능력이 낮은 당뇨병 노인을 위한 발 관리 교육의 효과 (Effects of Diabetic Foot Care Education for the Aged with Low Health Literacy)

  • 김혜민;서지민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60-570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diabetic foot care education for the older adults with low health literacy. Methods: A quasi-experimental design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was used. The participants who were diagnosed with diabetes, were adults over 65 years old at the welfare center of Y and B city. They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n=32) and the control group (n=31). Inclusion criteria were a score of 5 or under on the Short form of Korean Functional Health Literacy Test and 24 or more on the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ot care education was conducted in a small group for 40 minutes, once a week, for three weeks. The education materials are composed of an easy term, picture and photographs to understand easily. Results: The scores of diabetic foot care knowledge (t=4.57, p<.001), foot care self-efficacy (t=6.07, p<.001), and foot self-care behavior (t=4.18, p<.001)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oot health status was not significantly improved.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is education program can be used as a nursing intervention improving foot care knowledge, foot care self-efficacy, and foot self-care behavior in order to prevent the diabetic foot problems of elderly diabetic persons with low health liter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