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담수어

검색결과 177건 처리시간 0.021초

가열시간별 가물치육 엑스중의 아미노산 및 그 관련화합물의 변화 (Effect of Heating Time on Contents of Amino Acids and Related Compounds in the Muscle Extract of Snakehead)

  • 한영실;김경진;변재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41-146
    • /
    • 1986
  • 엑스성분에 대하여 비교적 알려진 것이 적은 담수어 중 가물치를 시료로 하여 가열 시간별로 육액스분중의 아미노산 및 그 관련화합물의 함량변화를 분석 검토하였다. 가물치의 생육중에는 glycine, taurine, glutamic acid, histidine이 특히 많은 함량을 보였고, 요소가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도 특기할 점이었다. 전술한 4 가지 성분이 전체아미노산 및 그 관련화합물중 약$53\%$를 차지하였다. 가열시간에 따른 전질소엑스분의 양적 변화를 측정한 결과, 대체로 가열 120분까지는 대폭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부터는 감소하는 관계를 보였다. 120분간의 가열에서 특히 현저한 증가를 보인 성분은 요소를 비롯하여 taurine, glycine, alanine, hydroxyproline, ${\beta}$-aminoisobutyric acid 등이었다. 엑스분을 가수분해한 결과, 일부의 성분은 증가하였으며, ethanolamine, lysine, 1-methylhistidine, phenylalanine, glutamic acid, taurine 등은 현저한 증가경향을 보였다.

  • PDF

섬진강 수계의 곡성군 어류상 (Freshwater Fish Fauna in the Seomjin River, Gokseong-gun, Korea)

  • 김성호;윤창호;주현수
    • 환경생물
    • /
    • 제20권2호
    • /
    • pp.152-157
    • /
    • 2002
  • 섬진강 중류의 전남 곡성군 수계의 담수어류상과 서식현황을 2001년 3월부터 10월까지 조사한 결과, 총 5과 22속 30종 1,786개체가 채집되었다. 출현한 어류는 26종이 잉어과 어류에 해당되었고, Rhinogobius brunneus의 1종만이 이차담수어에 해당되었다. 하천 전체에서 Zacco platypus (우점도 24.2%)가 우점종으로 확인되었고, 아우점종은 Pungtungia herzi (10.7%)로 나타났다. 한국 고유종은 Rhodeus uyekii등 11종으로 전체 어류에 대하여 36.7%를 차지하여 비교적 높은 고유도를 나타냈다. 다양도 지수에 의하여 곡성군 섬진강 수계의 하천 수질오염을 판정한 결과, 전체적으로 $\beta$-중부수성 수질상태 (다양도 2.70)를 나타냈으나, St.2와 St.3을 제외한 조사지역에서는 $\beta$-중부수성으로부터 중부수성까지의 하천수질상태를 나타냈다.

담수어(淡水魚)의 식품학적(食品學的) 연구(硏究)(II)-붕어, 메기, 가물치 및 미꾸리의 맛성분(成分)- (Studios on the Food from Fresh Water Fish(II)-The Taste Compounds in Meat of Crucian Carp, Skate$\cdot$Fish, Snake Head and Loaches-)

  • 성낙주;심기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4권2호
    • /
    • pp.80-86
    • /
    • 1981
  • Crucian carp Carassius carassius L., Skate-fish Parasilurus asolus, snake head Ophicephalus argus and loaches Misgrunus anguillicaudatus have been esteemed as the tasty fresh water fish in Korea. However, a little has been studied on their taste compounds. Amino acids,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as the taste giving substance in the dorsal muscle of crucian carp, skate-fish, snake head and loaches were analyzed. Hypoxanthine (4.6-30.3 ${\mu}mole/g$, on dry base) was dominant among the nucleotide materials in the dorsal muscle of crucian carp, skate-fish, and snake head while IMP (12.8 ${\mu}mole/g$) was detected with the highest amount in loaches meat. IMP was also high in the muscle of skate-fish (13.5 ${\mu}mole/g$) and snake head (5.6 ${\mu}mole/g$). The other nucleotide materials, CMP, UMP, GMP, AMP, and inosine were present less than 2.0 ${\mu}mole/g$ in all the fish meat. The amino acid composition showed that glutamic acid and aspartic acid were the most abundant in the dorsal muscle of crucian carp, skate-fish, snake head and loaches. The analysis of free amino acids showed that histidine, lysine, glycine, and serine were the leading amino acids in the dorsal muscle of crucian carp, alanine, serine, and lysine were of skatefish, glycine, lysine, alanine, and serine were of snake head, while alanine, serine, and glycine were of loaches. Isoleucine and leucine were detected in trace amount in the muscle of skate-fish, snake head, and loaches. It is believed that alanine, Iysine, serine, glycine and histidine along with IMP and hypoxanthine may play an important role as the taste compounds in fresh water fish.

  • PDF

담수어를 이용한 금호강수계의 수질판정 (Evaluation of Water Quality in the Keumho River System According to the Freshwater Fishes)

  • 강영훈;채병수;양홍준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25-231
    • /
    • 2001
  • The fish species collected in the Keumho River basin are 42 species 31 genera belonging to 15 Families. This report was investigated for the evaluation of water quality in the Keumho River system which is a tributary of Nakdong River in Korea on september in 1999. The fishes collected were 42 species, 31 genera belonging to 15 Families. The dominant species were 5 species; Zacco platypus, Zacco temmincki,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Moroco oxycephalus, Squalidus gracilis majimae, and 8 species; Hemibarbus longirostris, Pseudogobio esocinus, Culter brevicauda, Cobitis rotundicaudata, Pseudobagrus fulvidraco, Pungitius sinensis kaibarae, Monopterus albus, Channa argus were rare species. The relationship among the GPI, EC and BOD by the organic pollutants were over 0.9. The group pollution index(GPI) was lowest at St. 1(0.85) and highest at St. 1(0.85) and highest at St. 5(2.33). The water quality of the Keumho river divided into 3 parts; the water of upper reaches in river(St. 1) was 1st class(oligotrophic condition), middle parts(St. 2, 3, 4) were 3rd class($\alpha$-mesosaprobic condition) and lower part(St. 5) was 4th class(Polysaprobic condition) as the source of tap water, respectively. And the tributary which are the Sinryeong Stream(St. 6), the Sincheon(St. 7) and the Donghwa Stream(St. 9) in Keumho river were 2nd class as the source of tap water. The results in this study was represented same patterns as the result by the use of indicator species like as algae and invertebrates for the discrimination of water quality. So, some freshwater fish species can be use applicant for the discrimination of water quality.

  • PDF

넙치 (Paralichtys olivaceus) 유래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 (VHSV, genotype IVa)의 무지개송어 (Oncorhynchus mykiss) 감염 실험 (Experimental Infection of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with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 (VHSV, Genotype IVa) from Olive Flounder (Paralichtys olivaceus))

  • 김위식;정하나;공경희;김아라;전영호;오명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41-14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넙치 유래 VHSV (genotype IVa)에 의한 무지개송어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다양한 조건에서 감염 실험을 실시하였다. 3개의 다른 로트의 담수 무지개송어 치어에 VHSV ($10^{6.3-7.3}TCID_{50}$/fish)를 복강 주사한 결과, 15% 이하의 누적 폐사율이 관찰되었다. 무지개송어 (in vivo)를 사용하여 VHSV를 계대 배양한 후 감염 실험을 실시한 결과, VHSV를 5회 계대 배양하여도 독력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해수에 사육 중인 송어 (성어)에 넙치 유래 VHSV ($10^{5.3}TCID_{50}$/fish와 $10^{6.3}TCID_{50}$/fish)를 복강 주사한 결과, 폐사어는 관찰되지 않았고, 어체 내에서도 VHSV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해수 송어 (성어)에서는 넙치 유래 VHSV의 병원성이 확인되지 않았으나 담수 무지개송어 치어에서는 낮은 독력을 나타내었다.

담수어의 정미성분에 관한 연구 5. 천연산 잉어 및 가물치 합성 엑스분의 관능검사 (Taste Compounds of Fresh Water Fishes 3. Sensory Evaluation of Taste Components in the Extract of Wild Common Carp and Korean Snakehead Meat)

  • 양승택;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03-311
    • /
    • 1982
  • 잉어 및 가물치의 정미성분을 밝힐 목적으로 전보(양과 이 : 1979, 1980-a, 1980-b, 1982)에서 보고한 천연산 잉어 및 가물치의 분석치를 기초로 하여 표준시약을 가지고 합성 엑스분을 조제하여 천연, 엑스분과 맛을 비교하였으며, omission test를 실시하여 각 성분들이 맛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잉어는 glycine, glutamic acid, IMP, 숙신산 및 $Na^{+}$이 맛의 핵심을 이루고 있었고 arginine, lysine, threonine, alanine, inosine, hypoxanthine, 포도당, $Cl^{-}$$PO_{4}^{3-}$에 의해서 더욱 맛이 조화를 이루고 있었다. 가물치는 glycine, alanine, glutamic acid, IMP, $Na^{+}$$PO_{4}^{3-}$등 6종 성분이 주된 정미성분이었다.

  • PDF

급격한 염분변화에 따른 담수어 3종의 프로락틴 및 성장호르몬 유전자 발현변화 (Changes in Prolactin and Growth Hormone Gene Expression in Three Freshwater Teleosts with Rapid Changes in Salinity)

  • 박우동;이철호;김대중;손영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6
    • /
    • 2008
  • The changes in osmolality and the gene expression profiles of prolactin (PRL) and growth hormone (GH) with rapid changes in salinity were compared in the eel (Anguilla japonica), crucian carp (Carassius carassius), and masu salmon (Oncorhynchus masou). Fish stocked in freshwater (FW) were abruptly transferred to experimental tanks containing FW, 50% seawater (50% SW), or 100% SW (SW). Blood samples and pituitary glands were collected 2 and 24 hrs after the exposure. No mortality was observed in SW eel (n=6), whereas all of the crucian carp (n=6) and two masu salmon (n=6) exposed to SW died after land 24 hrs, respectively. The PRL mRNA levels of the eel and masu salmon decreased in 50% SW and SW compared to those of the fish kept in FW after 24 hrs, whereas the PRL levels of crucian carp were higher in 50% SW than in FW. Unlike the PRL mRNA levels, the GH mRNA levels of the eel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three different salinities, while the GH mRNA levels of crucian carp and masu salmon increased significantly in 50% SW and SW after 24 hrs. The serum osmolalities increased marginally in the eel and masu salmon in 50% SW at 24 hrs (19% and 9%, respectively), whereas those of crucian carp increased abruptly in 50% SW (50% increa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ynthesis of PRL and GH is important in relation to the osmoregulatory system with environmental changes in salinity.

꼬치동자개(Pseudobagrus brevicorpus)의 생태와 초기 생활사 (Ecology and Early Life History of Endangered Freshwater Fish, Pseudobagrus brevicorpus (Pisces: Bagridae))

  • 강언종;양현;이흥헌;조용철;김응오;임상구;방인철
    • 환경생물
    • /
    • 제25권4호
    • /
    • pp.378-384
    • /
    • 2007
  • 멸종위기에 처한 우리나라 고유 담수어인 꼬치동자개 Pseudobagrus brevicorpus의 증식 복원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생태와 초기생활사에 대해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꼬치동자개는 특정 조건에 밀집되어 개체군을 형성하며 서식밀도는 1.25개체 $m^{-2}$이었고, 생산력은 200$\sim$250개 마리$^{-1}$ 낮아 멸종위기 상황을 시사하였다. 산란은 자연산란 유도 결과 수초에 산란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부화한 치어는 군집생활을 한다. 수정난은 약 50시간만에 부화하였으며, 부화 3일 후 난황이 거의 흡수되었고, 부화 8일 후에는 올챙이형으로 군집하며, 30일경에 어미와 같은 형태를 보이는 치어기로 성장하였다. 이러한 산란 생태와 관련하여 멸종위기에 처한 꼬치동자개의 증식 복원과 보존을 위한 방안들을 고찰하였다.

경북 청송군 일부 기역의 호르틴스극구흡충 유행양상 (An Epidemilolgical Survey of Echinostoma hortense Infection in Chongsong-gun, Kyongbuk Province)

  • 이상금;정락승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6권3호
    • /
    • pp.199-206
    • /
    • 1988
  • 경북 청송군 일부 하천 유역에서 호르텐스극구흡충의 유행양상을 조사하는 한편 이 흡충 의 인체감염시 나타나는 임상적 및 기생충학적 특성을 관찰하였다. 주민 26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검편에서 호르텐스극구흡충란 양성자는 59명 (22.4%)이었으며, 제2중간숙주인 담수어 조사에서는 미꾸리, 얼룩동사리 및 몰개로부터 호르텐스극구흡충의 피낭유충이 검출되었다. Pragiquantel 투여 후 시행한 충체 수집검사에서 감염자 1인당 1∼649(평균 51)마리의 충체가 검출되었고, 혈액학적 검사에서 호산구가 l∼24%(평균 6%)로 나타났다. 개인별 충란 및 충체검출 성적을 토대로 할 때, 충체 마리당 1일 평균 산란수는 1,478개로 계산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 결과, 경북 청송군 일부 하천 유역이 호르텐스극구흡충의 고도 유행지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영암호 갑문식어도를 통한 어류의 회유 (The Fish Migration through Fishlock at Youngam Lake)

  • 황종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3권5호
    • /
    • pp.561-568
    • /
    • 2000
  • 1999년 4월부터 11월까지 전남 영암의 영암호 갑문식어도에서 매주 1회씩 어도로 들어오는어류를 채집한 결과 25종 116,014개체를 채집하였으며, 이중 웅어, 줄공치, 숭어 등 10종이 하천과 바다를 오가며 서식하는 회유성어류로 전채개체수의 99.5%를 차지하였다. 회유성어류중 개체수로는 줄공치, 빙어, 웅어 숭어의 순으로 많이 채집되고 이들 4종이 전 채집 개체수의 99%에 해당하고 나머지 6종은 매우 드물게 채집되었다. 빙어는 63%가 7월 20일, 숭어는 43%가 7월 15일, 웅어는 42%가 5월 10일, 줄공치는 35%가 5월1일에 채집되어 어종별로 뚜렷한 회유시기가 있었다. 회유성 어류중 담수호에서는 웅어, 빙어, 숭어, 문절망둑 등 7종이 채집되고 유입하천에서는 은어, 빙어, 뱀장어 등 10종이 채집되어 어도를 통하여 소상한 회유성 어류가 담수호를 통하여 하천으로 올라가는 것이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