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담도 감염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4초

전국 회충란 양성률 감소에 따른 담도 및 기타 외과적 회충증의 감소 양상 (Reduction in the incidence of biliary and other surgical complications of ascariasis according to the decrease of its national egg prevalence in Korea)

  • 채종일;조승열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9권2호
    • /
    • pp.101-112
    • /
    • 1991
  • 한 지역사회에서 최충 감염을 반드시 관리해야 하는 궁극적 이유 또는 그 당위성에 대하여 답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그것은 회충 관리 결과 충란 양성률이나 감염량의 감소 이외에 실제로 무엇이 호전되었는지를 알기가 그리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우리 나라에서 전국적으로 시행해 온 회을 집단관리 사업이 성공적 결실을 맺게 됨에 따라 국내 각 종합병원급 이상의 담도(또는 담석증), 충수, 췌장 등에 대한 수술 환자 중 회충미립중(迷入症)의 빈도가 크게 감소된 점을 중시하고 이들 외과적 회충중의 감소를 우리 나라 회충 관리의 실질적 효과 중 하나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리 나라 국민의 회충 감염률 감소 양상은 전국 학생 검변 자료(1969~1989) 및 전국민 장내 기생충 감염현황 자료(1971, '76, '81, '86)에서 파악하였다 외과적 회충증의 빈도는 주로 문헌 고찰에 의하되 1959~1990년 사이에 외과학회지 등에 발표된 담도 질환, 충수염, 췌장염, 장폐쇄 등에 관한 논문을 총 망라하여 참고로 하였다. 분석 결과 종합병원중 이상의 총 담도 수술례(또는 총 담석증례) 중 회충 미립이 차지하는 비율을 YA(또는 YB)라 할 때 YA(또는 YB)의 감소 양상은 전국 학생 회충란 양성률(X)의 감소와 매우 밀접한 순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수치로 표시하면 $Y_A=0.25X^2+0.013(r=0.96),{\;}Y_B=0.19X^2+0.016(r=0.94)$의 관계를 보였다. 다른 외과적 회충증의 경우에도 담도 회충증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결국 우리 나라의 회충 관리사업은 회충 감염률 및 감염량의 감소 뿐만 아니라 회충 감염시 심각한 합병증의 하나인 담도 회충증 또는 기타 외과적 회충증의 빈도를 격감시키는 데에도 크게 기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병원환자식의 감염예방관리

  • 이영남
    • 대한병원협회지
    • /
    • 제13권11호통권119호
    • /
    • pp.48-51
    • /
    • 1984
  • 심신이 허약한 환자의 위생적인 식사관리가 병원에서 주요한 관심사가 되고있다. 이는 음식물에 대한 병원균의 감염이 건장한 사람보다 환자에 대해 감염율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환자의 위생적인 문제에 보다 많은 배려와 함께 환자의 식이를 담당하는 책임자의 철저한 관리가 요망되고 있다.

  • PDF

간흡충증의 임상 양상 (Clinical Features of Clonorchiasis)

  • 김국현;장병익;김태년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3권2호
    • /
    • pp.171-181
    • /
    • 2006
  • 간흡충은 담도계를 침범하여 황달, 담도염 및 담도계암 등의 합병증을 유발하는 기생충으로 예방과 치료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감염의 빈도가 줄지 않고 있다. 한편 간흡충에 감염이 되더라도 증상이 없이 발견되기도 한다. 평균 3.3%의 감염률을 보였으며, 대상 환자 1,063명의 남녀 성비는 3.6:1로 남자가 높았으며, 남녀 모두 40~60대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였다. 내원 당시 환자들은 증상이 없는 경우가 76.5%로 가장 많았으며, 증상 중에는 우상복부 동통이 전체의 7.6%, 상복부 동통이 7.2%를 차지하였다. ALP는 85.2%에서, GGT는 56.0%에서 정상범위를 보였으며 그리고 호산구수의 증가는 전체의 66.1%를 차지하였다. 복부초음파 소견은 정상적인 경우가 전체의 46.5 %, 지방간은 22.9% 그리고 coarse parenchymal echogenicity는 7.0%를 차지하였으며 ERCP 검사에서는 전체의 32.5%에서 말단부의 담도 확장 소견을 보였다. 간흡충과 동반된 간담도계 질환으로는 지방간이 21.0%로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했고, 다음으로 담낭 결석이 4.7%로 빈도가 높았으며, 또한 담도계의 종양은 전체 환자의 3.5%를 차지하였다. 간흡충증은 여전히 우리나라에서 빈번히 발견되고 있으며 자각증상이 없이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증상이 없더라도 민물고기 생식을 한 적이 있거나, 간검사의 이상, 호산구수 상승 또는 영상학적 검사에서 기생충의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간흡충증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 PDF

신생아 담즙정체증의 원인질환 및 장기추적 예후인자에 관한 고찰 (Evaluation of the Underlying Etiology and Long-Term Prognostic Factors in Neonatal Cholestasis)

  • 김경모;서정기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권1호
    • /
    • pp.46-58
    • /
    • 1999
  • 목 적: 신생아 담즙정체증은 소아과 소화기 영역에서 중요한 질환의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원인 질환 및 장기추적 고찰에 대한 국내의 보고가 드문 실정이다. 따라서 저자들은 신생아 담즙정체증의 원인 및 추적조사시의 합병증 등의 임상적 고찰과 함께 예후인자를 분석하여 신생아 담즙정체증 환아의 진료에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1981년부터 1992년까지 12년간 신생아 혹은 초기 영아기에 발생한 담즙정체증으로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였던 19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담즙정체증의 원인질환, 추적조사시에 관찰된 합병증 및 사인, 특발성신생아간염과 담도폐쇄증의 초기의 임상적 차이점, 예후 및 예후 인자를 분석하였다. 결 과: 1) 담즙정체증의 원인질환은 190명에서 신생아 간염이 101례(53%), 간외담도계 질환이 84례(44%), 간내담도형성부전증이 5례(3%)이었다. 신생아간염은 특발성신생아간염이 77례(41%), 감염성 신생아 간염이 24례(12%)이었고, 간외담도질환은 담도폐쇄증이 79례(41%), 총수담관낭이 5례(3%)이었다. 2) 추적조사시에 관찰된 주요한 임상적 문제점은 지속적인 고열, 위장관출혈, 간성혼수, 복수 등이었다. 3) 담도폐쇄증 환아에서 지속적인 고열의 원인은 상행성담관염, 혹은 line-related sepsis가 58%이었고, 폐렴이 15%, 요로감염이 8%, 상기도 감염이 7%이었다. 4) 상행성담관염 혹은 line related sepsis의 원인균은 Escherichia coli가 28%로 가장 빈도가 많았고,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가 14%, Streptococcus pneumoniae, Klebsiela pneumoniae가 각각 10%, Enterococcus가 6%, Candida albicans가 4%이었다. 5) 주요한 사인은 간성혼수와 위장관출혈이었다. 6) 특발성신생아간염은 71%, 감염성 신생아간염은 75%의 환아에서 회복되었으며, 대부분 생후 12개월 이내, 주로 6개월 이내에 회복되었다. 미숙아, 초기의 간종대가 작은 경우, 초기 알부민치 높은 경우, 콜레스테롤치, ${\gamma}$-GT치, 빌리루빈치 및 AST치가 낮은 경우에서 예후가 양호하였다. 7) 담도폐쇄증 환아의 Kasai수술후의 5년 생존율은 40%이었고 사망의 대부분은 12개월 이내에 관찰되었다. 가장 중요한 예후인자는 수술시기이었고 수술시기가 12주 이전인 49%가 양호한 예후를 보인 반면에, 12주 이후인 경우는 12%이었다. 8) 담즙정체증의 초기 임상소견중 가장 중요한 예후인자는 원인질환이었다. 9) 특발성신생아간염과 담도폐쇄증 사이에서 차이를 보인 임상소견은 성별, 제태연령, 콜레스테롤 치 및 ${\gamma}$-GT치 이었다. 특발성신생아간염은 남아, 미숙아에서 호발하였고, 낮은 콜레스테롤치 및 ${\gamma}$-GT치를 보였다. 결 론: 우리나라에서 신생아 담즙정체증의 흔한 원인으로는 담도폐쇄증과 특발성신생아간염의 빈도가 가장 높았고, 이외에 감염성 신생아 간염, 총수담관낭, Alagille 증후군 등이었으며, 유전성, 대사성질환은 관찰되지 않았다. 신생아 담즙정체증에서 원인질환은 예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원인질환에 대한 적절한 진단이 요구되며, 또한 상행성 담관염, 폐렴, 패혈증 등의 감염문제, 간성혼수, 위장관 출혈 등은 장기 추적시의 자주 발생하는 심각한 임상적 문제점으로서 이에 대한 적절한 치료대책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 PDF

총담관 결석 환자에서 내시경적, 경피적 담관 시술 후 발생한 담관 원주 증후군 (A Case of Biliary Cast Syndrome After Endoscopic and Percutaneous Management of Common Bile Duct Stone)

  • 박재춘;박정구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1호
    • /
    • pp.224-229
    • /
    • 2022
  • 담관 원주 증후군은 간이식을 받은 환자들에게서 발생하는 흔치 않은 합병증이다. 간이식을 받은 환자의 약 5%-18%에서 발생한다. 간이식을 받지 않은 환자에게서 드물게 담관 원주 증후군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식 후 담관 손상, 허혈, 담도 감염, 수술 후 거치된 담도 배액관 등이 병리요인으로 제안되었으나 담도 원주의 병리현상은 아직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다. 이에 저자들은 간이식을 받지 않은 49세 남성에게서 총담관 결석에 대해 내시경과 경피적 담관 조영 시술 후에 발생된 담관 원주 증후군의 사례를 소개한다.

Soybean yellow mottle mosaic virus의 자연기주와 병환 (Natural Hosts and Disease Cycle of Soybean yellow mottle mosaic virus)

  • 이수헌;김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19권4호
    • /
    • pp.281-287
    • /
    • 2013
  • 2006년에서 2007년까지 콩연구센터 육종포장 주변에서 잡초 서식상황을 조사한 결과 31과 74속 96종의 식물이 확인되었다. SYMMV의 자연기주 또는 중간기주를 동정하기 위하여 26과 84종의 식물체가 포함되는 495점의 시료를 RT-PC R로 분석한 결과, 단지 콩과 식물에서(돌콩, 새팥, 토끼풀, 비수리)만 SYMMV가 검출되었다. SYMMV를 가지고 있는 콩과 식물 중에서 분석한 돌콩의 3분의 1이상이 SYMMV를 보독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돌콩은 SYMMV의 감염원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돌콩은 SYMMV에 7월 중순경에 감염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돌콩에서 SYMMV의 빠른 감염시기, 높은 종자감염율 그리고 종자전염과 같은 결과로 볼 때, 돌콩은 SYMMV의 생활사 완성에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감염병 상황에서의 도서관 서비스 지속가능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ustainability of Library Service in the Situation of Infectious Diseases)

  • 김성원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247-267
    • /
    • 2020
  • 도서관은 정보유통을 담당하는 사회적 공기이다. 도서관은 재난상황에서도 사회 통합에 기여할 수 있도록 서비스 제공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최근 발생한 코로나 19 바이러스의 확산에 따라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도서관을 폐쇄하고 이용자의 방문을 중단시킨 바 있다. 본고는 예상치 못한 재난 상황에서의 국내외 도서관계의 대응을 살펴보고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는 서비스 방안과 방안 수립시의 고려해야할 기본원칙을 제시하였다.

제주특별자치도 종합병원의 감염관리 현황 (Status of Infection Control in Jeju-area General Hospitals)

  • 정무상;이규택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30-136
    • /
    • 2016
  • 제주지역 종합병원 감염관리 현황을 조사하여, 병원감염관리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감염관리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감염관리 실무자로서 임상병리사의 역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와 서귀포시에 위치한 종합병원 7개 기관을 대상으로 감염관리 현황을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제주지역 의료기관의 감염관리는 모든 기관이 감염관리실을 운영하고 전담인력을 구성하고 병원감염관리지침을 보유하고 수행하는 우수한 점을 보였지만, 대부분의 기관이 간호사 1인 구성의 감염관리실을 운영하여 전담인력 확보 및 미생물 관련 배양 판독, 다제내성균의 출현빈도, 감염통계 등 미생물 검사에 대한 내용을 보고 받는데 많은 부분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이에 감염관리의 실질적인 업무를 담당할 수 있는 임상병리사가 의료법 시행규칙에 있는 감염관리에 경험과 지식이 있는 사람으로 충분한 자질과 경험이 있다고 생각되며 감염관리실을 운영함에 있어 감염관리간호사와 미생물에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임상병리사(감염관리임상병리사)가 전담자로서 업무를 수행한다면 지금보다 더욱 발전된 감염관리실 운영이 될 것으로 보이며, 향후 감염관리를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전국적으로 종합병원을 비롯한 취약한 중소병원의 감염관리에 대한 전폭적 지원과 감염관리 전문 의료시스템 도입이 중요한 과제라 사료된다.

토끼의 간흡충성 간병변의 프라지관텔 치료 후 변화 양상 (Histopathological Changes of the Liver after Praziquantel Treatment kin Clonorchis sinensis Infected Rabbits)

  • 이순형;홍성태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5권2호
    • /
    • pp.110-122
    • /
    • 1987
  • 간흡충(Clonorchis sinensis)에 감염된 토끼에 프라지관텔을 $50{\;}mg/kg{\times}2회{\times}2일의$ 용법으로 투여하여 12주 후까지 간의 조직병리학적인 소견을 관찰한 바 아래의 결론을 얻었다. 감염 2주까지 관찰된 간내 담관 상피층의 미약한 증식, 담도주위 염증과 부종 등은 치료 4주 후에 모두 소실되어 이 때 까지의 변화는 가역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감염 4주 이후에는 치료 후 1주에 이미 상당히 정도가 약해 졌으나 12주까지도 담관과 담관상피층의 증식이 많이 완화된 수준으로 계속 관찰되었고 담관주위 섬유화도 지속되었다. 이러한 잔존 병변은 감염 후 경과한 기간이 길수록 정도가 심하였다. 간흡충증이 감염 초기가 아니면 치료 후에도 간에 형성된 병변이 잔존하는 것으로 미루어, 감염자의 감염 후 2~4주 이내의 조기치료가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