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담낭

검색결과 195건 처리시간 0.023초

개에서 담석제거를 위한 담낭절개술의 일례 (A Case of Cholecystotomy in a Dog with Cholelithiasis)

  • 구자민;황재민;김현희;이원익;손우진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55-458
    • /
    • 2001
  • A twelve-month old female, shih-tzu, was presented to diagnose a hind limb ataxia to the Animal Teaching Hospital,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Even though a variety of physical and neurological examination was performed, the cause of the ataxia was not understood. In serum analysis, an elevated levels of ALT, $\gamma$-GTP and LDH were found. A gallstone was subsequently observed at the right 9 and 10th intercostal region on ultrasonography and radiography. Cholelithiasis was diagnosed, and then cholecystotomy was undertaken. No complications were occurred after the operation. The gallstone removed by cholecystotomy was composed of calcium, carbonate and oxalate, identified by a black pigment gallstone.

  • PDF

도축돈의 담낭에 관한 병리학적 연구 (A Pathological Study on the Gallbladder of the Slaughter Pigs)

  • 김정환;임창형;박응복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65-276
    • /
    • 1986
  • Pathological study was made of 173 gallbladders among 652 slaughter pigs. The size and the pH of the bile juice were made of 50 among 173 gallbladders with lesions and 50 normal gallbladders as control. The results are summerized as follows : 1. The histological lesions were shown hyperemia and congestion(83.2%), Iymphocytic infiltration(37.5%), Iympoid hyperplasia(27%), epithelial downgrowth(27%), erosion and ulcer(22%), papillary hyperplasia (20.2%), pericholecystic edema(19.5%), hemorrhage(11%), and leukemic cell infiltration(0.6%). 2. In the gallbladders with lesions mean size was 4.26${\times}$7.88cm in diameter and mean pH is 7.2. In the control means size and mean pH were 4.57${\times}$8.13cm in diameter and 7.1. The difference of size between gallbladders with lesions and these as control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pH of bile juice between two showed also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 PDF

담낭절제술 환자에서 늑막강내에 투여된 Bupivacaine의 진통효과 (Analgesic Effects of Intrapleural Bupivacaine Administration in Cholecystectomy Patients)

  • 구길회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권2호
    • /
    • pp.167-173
    • /
    • 1989
  • Inadequate pain relief after upper abdominal surgery increases the incidence of pulmonary complications due to the difficulty in coughing and deep breathing. Kvalheim and Reiestad (1984) introduced intrapleural administration of local anesthetic solutions to produce analgesia following cholecystectomy performed through a subcostal incision, unilateral breast surgery and renal surgery. We studied continuous intrapleural administration of bupivacaine and epinephrine, and its effect in controlling pain after cholecystectomy. In 9 patients, an intermittent dosage technique was used. An intrapleural catheter was inserted and 20 ml of 0.5% bupivacaine and 1:100,000 epinephrine was administered. Results were as following: 1) Mean analgesic duration from the initial intrapleural injection to secondary administration of supplementary bupivacaine was 13.5 hours. 2) No specific changes were noted on vital signs and arterial blood gases. 3) Effective analgesia, produced by intrapleural bupivacaine resulted in significant improvement in tidal volume as measured by spirometry. 4) No signs of systemic toxicity and complications were encountered. 5) Intrapleural administration of a local anesthetics after cholecystectomy provides a satisfactory duration of analgesia.

  • PDF

중복담낭 1예 (A Case Report of Gallbladder Duplication)

  • 최병욱;조용필;유시준;김인구;민병철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2권1호
    • /
    • pp.53-58
    • /
    • 1996
  • Congenital duplication of the gallbladder, including true duplication and septated gallbladder, is an uncommon but potentially complicated malformation. It presents biliary colic associated with acute or chronic cholecystitis. It can be diagnosed preoperatively by various imaging tools such as real-time ultrasonography, biliary scintigraphy, oral cholecystography, or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graphy. It can be safely managed by either laparoscopic or open procedures. This report describes a 6-year-old girl with true duplication of gallbladder diagnosed preoperatively by real-time ultrasonography and treated by open cholecystectomy.

  • PDF

식도이물 1례 (A Case of Foreign Body in the Esophagus)

  • 김석도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1년도 제15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8.3-8
    • /
    • 1981
  • 식도이물은 이비인후과영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이며 많은 증례 및 통계학적고찰이 보고된 바 있다. 저자는 양잿물을 삼킨적이 있는 57세 여자에서 담낭관을 실로 묶어서 담즙을 함유하고 있는 개(狗)의 쓸개(膽囊)를 씹지 않고 삼키다가 식도의 제이생리협착부와 제삼생리협착부사이에 개재된 흥미있는 식도이물 1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급성 담낭염 환자의 가감생간탕 치험례 (Clinical Report of Acute Cholecystitis with Gagamsaenggan-tang)

  • 신용수;조소현;김남욱;한양희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1465-1469
    • /
    • 2009
  • Acute cholecystitis represents an acute inflammation of the gallbladder, caused in most instances by obstruction of the cystic duct, resulting in acute inflammation of the GB wall. Acute cholecystitis usually occurs with right upper quadrant pain and tendernes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d of oriental medicine on acute cholecystitis. The patient who were suffering from acute cholecystitis was treated with herbal medicine such as Gagamsaenggan-tang. After using Gagamsaenggan-tang, we could find remarkable effect on clinical symtoms and lap findings and Abdominipelvic Ultrasonography study. According to results we suggest oriental medical treatment was effective for this patient with acute cholecystitis, but more extensive research is needed.

MDCT 영상에서 간 체적 계산을 위한 4 점 이용 간 분할 방법 (Liver Cut Method Using 4 Points for Hepatic Volumerty at MDCT Image)

  • 서정주;조백환;박종원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7권1호
    • /
    • pp.17-24
    • /
    • 2010
  • 본 논문은 생체간이식 전에 복부 MDCT(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영상에서 이식편의 체적(the volume of right and left liver lobe)을 정확하게 계산하기 위하여 좌간과 우간을 나누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간이 추출된 영상에 해부학적인 좌간과 우간을 나누는 4점(하대정맥(Inferior Vena Cava)를 반으로 나눌 수 있는 중심점, 담낭와와 가까운 중간정맥(Middle Hepatic Vein)의 끝부분 한 점, 좌우문맥(Portal Vein) 분지부에서 한 점, 담낭와(gallbladder fossa)를 좌우로 나눌 수 있는 중심점)을 선택한다. 선택된 4점을 기준으로 좌간과 우간을 나누고 체적과 간 전체에 대한 좌우간의 비율을 계산한다. 계산된 체적의 정확성을 입증하기 위해 방사선과 의사가 수동으로 처리하여 계산한 체적과 함께 수술 중 획득한 실측무게와 비교하였다. 그리고 4점을 선택한 후 좌우간을 분할하여 체적을 계산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수술실에서 실시간으로 처리 가능한 지의 여부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간이식에 참여하는 기증자와 수혜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Tissue microarray를 이용한 여러 암에서의 thymosin β4,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및 hypoxia-inducible factor-1α 발현양상 연구 (Analysis of the Expression Patterns of Thymosin β4,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d Hypoxia-Inducible Factor-1α in Various Tumors Using Tissue Microarray)

  • 이보영;이승현;안병권;옥미선;차희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17-423
    • /
    • 2011
  • 사이모신 베타 4와 관련 단백질인 HIF-$1{\alpha}$ 및 VEGF의 발현을 여러 인간 암 조직에서 tissue microarray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사이모신 베타 4는 골육중, 대장 선암, 식도 편평세포암, 신장 및 방광의 이행세포암, 폐암 및 간암에서 많이 발현되었으며 HIF-$1{\alpha}$은 비강 역위성 유두종, 폐암 및 식도 편평세포암에서 강한 발현을 보였으며 대체로 발현되는 양상이나 위치가 사이모신 베타 4와 일치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VEGF는 암 조직에서보다 암조직에 분포된 혈관내피에서 강하게 발현되는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암세포에서는 사이모신 베타 4나 HIF-$1{\alpha}$에 비해 강하게 발현되지 않았다. 위암, 간 혈관육종, 담낭 선암과 자궁 내막 선암에서 적당 수준의 VEGF 발현이 관찰되었으며 VEGF의 발현 양상 및 위치는 위암, 골육종, 지방종, 폐암, 간암, 담낭 선암, 식도 편평세포암, 대장 및 직장암, 신세포암을 포함하는 특정 암에서 사이모신 베타 4 및 HIF-$1{\alpha}$와 일치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수술 예방항생제 적정성 평가의 주기별 융합 변화 연구 (Convergence Research on Periodic Changes in the Quality Assessment of Surgical Prophylactic Antibiotics)

  • 양세이;김광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6호
    • /
    • pp.325-333
    • /
    • 2016
  • 본 연구는 일개 대학병원의 수술 예방항생제 사용의 실태 및 적정성 평가 주기별 변화를 분석, 향후 수술 예방항생제 사용 및 평가 지침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가 시행된 첫해인 2007년 1차 평가부터 2008년, 2009년, 2010년, 2012년, 2014년을 조사기간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위수술, 대장수술, 담낭절제술의 평가지표 중 최초 투여시기 1항목, 항생제 선택 3항목, 투여 기간 2항목의 연도별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항생제 투여일수는 위수술의 경우, 2007년 13.5일에서 2014년 1.5일로 감소하였고, 대장수술은 2007년 12.8일에서 2014년 1.5일로 감소하였다. 담낭절제술 또한 2007년 6.9일에서 2014년 0.6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수술 예방항생제 사용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의료진들이 충분히 받아들일 수 있을 만한 권고사항(또는 지표) 의 마련 및 그러한 권고사항의 효율적인 배포와 전달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더불어 병원이 스스로 장애 요인을 파악하여 개선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 제도 실시를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