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담(痰)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3초

주진형(朱震亨)의 중풍론(中風論)에 관한 고찰(考察) (A study on a terms of "The Jung pung(中風) therories of JuJinHyoung(朱震亨)")

  • 고경덕;이동원;정승현;신길조;이원철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129-136
    • /
    • 1997
  • 주진형(朱震亨)은 금원사대가(金元四大家)중 가장 후대의 인물로서 주자학(朱子學)의 철학적 배경에 근거하여 유하간(劉河間), 장자화(張子和), 이고의 장점을 흡수하여 의론(醫論)을 펼쳤으므로, 금원사대가(金元四大家)의 중풍(中風) 내인론(內因論)을 인식하는데 있어 그 의미가 크다. 주진형(朱震亨) 중풍론(中風論)의 특징은 그가 거처한 지역적(地域的) 특성(特性)에 근거하여 비수인(肥瘦人)과 반신부수(半身不遂)의 좌우(左右)에 따라 각각 치법(治法)을 달리하였으나, 중풍(中風) 병인병리(病因病理)를 습담생열(濕痰生熱)로 보고 내인(內因)의 주요소로 담(痰)을 중시하여 중풍입방약물(中風入方藥物)은 치담(治痰)한다는 원칙에 기준하여 약물(藥物)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독특한 중풍론(中風論)은 후대 중풍(中風) 내인론(內因論)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으므로, 이에 관한 연구는 중풍(中風) 내인론(內因論) 측면에서 한의학발전(韓醫學發展)에 기여(寄與)할 것으로 사려(思慮)된다.

  • PDF

논중의학지(论中医学之) "담(痰)" 적치병특점(的致病特点) (Discuss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legm"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 반계연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29-132
    • /
    • 2010
  • This article aims at clarifying the formation and accumulation of the "phlegm" in the body. If the phlegm can't be dispelled, it would do great harm to the body health in many aspects, even leading to various diseases which are complex and hard to cure. "phlegm blocking the orifices of the heart", "Gi(氣) activities blocking", "the blood vessels choking", "muscular striae[肌腠] overflowing", " tumor accumulated", "inveterate phlegm loss the path", are the outstanding pathogenic characteristics of the "phlegm". Ancient and modern physicians accumulated rich experiences on preventing and treating the phlegm diseases. Those are worth excavating, organizing and clarifying deeply for the prevention,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 phlegm diseases efficiently.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복부 담(痰)의 탄성도 측정 및 분석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the elastic measurement and analysis system for diagnosis of the abdominal region dam using ultrasonic sensor)

  • 이균정;김은근;이용흠;신태민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6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 /
    • pp.867-868
    • /
    • 2006
  • We have developed the elastic measurement system that diagnose the abdominal region, DAM. It cause the Chronic gastro-intestinal disease. For the purpose of detecting the disease, we use the ultrasonic sensor for the collecting response signal and CPLD for the minimum rining. This system has a digital TGC(time gain compensator). We were display the elastic signal to a graph on the LABVIEW.

  • PDF

설문지 분석법에 의한 담 혈어 한 열 습 조 병기의 표준 증상 및 남녀차이 연구 (Study on Standard Symptoms and Gender Differences of Phlegm, Blood Stasis, Cold, Heat, Dryness Pathogenesis on Questionnaire Analysis)

  • 오명택;엄현섭;김종원;이인선;지규용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532-538
    • /
    • 2007
  • In order to establish the standard symptoms in men and women and highly frequent symptoms(HFS) of Phlegm(痰) Blood Stasis(血於) Cold(寒) Heat(熱) Dryness(濕) pathogenesis(病機), 969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rough Cronbach alpha value and Pearson's correlative efficient. The Cronbach ${\alpha}$ value of each pathogensesis was Phlegm(0.83500)${\cdot}$Cold(0.823272)${\cdot}$Heat(0.816344)${\cdot}$Dampness(0.760292)${\cdot}$Blood Stasis(0.692551)${\cdot}$Dryness(0.672783) respectively. Through this study of frequency number of symptoms, followings were found that the physiological differences of men and women made some differences of main symptoms in each pathogenesis, and the differences of several clinical symptoms in a pathogenesis were resulted from the difference of specimens between textbook and this study.

척담(滌痰).축어(逐瘀).고본치료효천적경험(固本治療哮喘的經驗) -척담(滌痰).축어(逐瘀).고본(固本)의 방법에 따른 천식에 관한 치험-

  • 황금성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9-45
    • /
    • 2001
  • 본 논문은 척담(滌痰) 축어(逐瘀) 고본(固本)의 방법으로 천식을 완화시킨 치험에 관한 내용이다. 천식의 병인병기는 폐(肺) 비(脾) 신(腎) 삼장(三臟)의 본허(本虛)로 인한 알레르기성 체질이 내적인 근본요인으로 간주된다. 담어복폐(談瘀伏肺)는 천식의 병리적인 결과로서 증상유발의 요인이기도 하다. 즉 담어(痰瘀)는 천식의 병리적인 부산물이며, 동시에 천식을 일으키는 치병요인이 된다. 담어(痰瘀)가 내복(內伏)하여 철저히 제거되지 않으면 천식은 결코 완치될 수 없다. 이와 같은 한의학적인 관점은 현대의학에서 천식을 기도의 만성 염증에 의하여 유발된 증상으로 파악하고 있는 기전과 일맥상통하다. 또한 담(痰) 어(瘀) 허(虛)는 천식의 병리변화 과정에서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인식이 지배적이며, 이는 천식치료를 위한 처방구성에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치료: 천식은 발작기와 완화기로 분류하여 치료하며, 발작기는 냉효(冷哮)와 열효(熱哮)로 구분된다. 냉효(冷哮)의 경우 치료원칙은 온폐산한(溫肺散寒), 척담평천(滌痰平喘), 화어행체(化瘀行滯)를 기본으로 한다. 처방은 구마황(灸麻黃) 행인(杏仁) 황금(黃芩) 세신(細辛) 계지(桂枝) 오미자(五味子) 당귀(當歸) 울김(鬱金) 목단피(牧丹皮) 지룡(地龍) 정력자(?歷子) 담남성(膽南星) 황기(黃?) 감초(甘草) 등을 기본적으로 사용한다. 열효(熱哮)의 경우 치료원칙은 청열사폐(淸熱瀉肺) 척담평천(滌痰平喘), 화어행체(化瘀行滯)를 근본으로 삼고, 처방으로는 구마황(灸麻黃) 행인(杏仁) 황금(黃芩) 목단피(牧丹皮) 적작약(赤芍藥) 당귀(當歸) 정력자(?歷子) 담남성(膽南星) 지룡(地龍) 어성초(魚腥草) 포공영(蒲公英) 황기(黃?) 감초(甘草) 등을 기본적으로 사용한다. 완화단계도 역시 두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지는데, 폐신음허형(肺腎陰虛型)은 익기양음(益氣養陰) 척담행어(滌痰行瘀)를 치료원칙으로 하고, 처방에는 남북사삼(南北沙蔘) 구자울(灸紫?) 및 관동화(款冬花) 당귀(當歸) 목단피(牧丹皮) 울김(鬱金) 정력자(?歷子) 세신(細辛) 오미자(五味子) 구기자(枸杞子) 산수황육(山茱黃肉) 황기(黃?) 감초(甘草) 등을 기본적으로 사용한다. 비신양허형(脾腎陽虛型)은 온보비신(溫補脾腎) 화어척담(化瘀滌痰)을 원칙으로 하며, 처방에는 구마황( 灸麻黃) 세신(細辛) 오미자(五味子) 당귀(當歸) 단삼(丹蔘) 울김(鬱金) 정력자(?歷子) 반하(半夏) 보골지(補骨脂) 선령비(仙靈脾) 태자삼(太子蔘) 황기(黃?) 감초(甘草) 등을 기본적으로 사용한다. 치험(治驗): (1) 천식의 실증(實證)은 치료를 한 뒤 완화단계에 접어들면서 허증(虛證)으로 전화되는데, 허천(虛喘)도 역시 천식이니 만큼 단순히 보법(補法)만 사용하여서는 안된다. 시종일관 천식치료에는 척담화어(滌痰化瘀)의 원칙을 지켜야 한다. 폐내(肺內)의 담어(痰瘀)가 철저하게 제거되어야 폐(肺)의 순환기능을 개선시켜 기도(氣道)의 염증을 신속히 흡수하고 치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치료과정은 약 3-6개월이 필요하다. 완화단계의 기간이 길어질수록 완치될 확률도 높아진다. (2) 급성기 천식은 폐(肺)를 다스려야 한다. 폐(肺)를 다스리는 방법에는 선폐(宣肺), 청폐(淸肺), 온폐(溫肺), 윤폐(潤肺) 및 척담거어(滌痰祛瘀) 등이 있다. (3) 증상이 완화되면 신(腎)을 다스린다. 천식은 신허(腎虛)가 근본적인 원인이므로 완화단계에서 심지어 발작기에도 보신제(補腎劑)를 추가하여 사용하면 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4) 비(脾)의 기능을 강화하여 근본을 채우는 부비배본(扶脾培本)도 중요하다. 후천의 수곡정미(水穀精微)로 선천을 충족시키고 자양하는 것은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키우고 재발을 경감시키거나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역시 천식치료의 중요한 방법 중 하나이다.

  • PDF

"비위생담지원(脾爲生痰之源), 폐위저담지기(肺爲貯痰之器)."의 의미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Meaning of "Pi(脾) is the source of the phlegm and lung is the container of the phlegm.")

  • 윤기령;백유상;장우창;정창현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09-122
    • /
    • 2018
  • Objectives : The teaching which states, "Pi is the source of the phlegm and lung is the container of the phlegm" is a sentence that is regarded to have bee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production and container of phlegm based on physiology and pathology of viscera and bowels. However, the author's suspicion that this sentence has not received enough research as to truly understand its meaning has led to further study into this sentence. Methods : Medical book database was searched and historic medical books were reviewed in order to understanding the true meaning of this sentence. First, the meaning of the sentence was pondered upon based on how it was introduced in the original text, and each of the two parts of the sentence were closely analyzed for its relations in order to get a clear meaning of the sentence. Results : The source of this sentence is Bencaogangmu, and it describes the phenomenon of cough in the phlegm appearing more than that from pi and lungs. Later, some disagreements on this sentence developed, claiming that kidney is the source of phlegm whereas stomach is the container. Pi deficiency derives from abnormality in the transportation and transformation of pi, and it originates from kidney deficiency. Thus, kidney can be understood as the origin of phlegm. When phlegm is dispersed all around the body, it's difficult to see the stomach as a container of the phlegm. Conclusions : The pathology of the production and container of phlegm is that deficiency in kidney qi leads to the malfunction of transportation and transformation of pi, and this creates the bodily fluid to become stagnant, making pathological products such as dampness, phlegm, and retained fluid. This can be expressed as "Kidney is the origin of the phlegm, and pi is the source of the phlegm." Here, phlegm is created and stored either when phlegm enters the lungs in the process of pi dissipating into the lungs, or when pi affects the lungs which inhibits the pi movement in the lungs. This is the true meaning of "lung is the container of the phelgm."

심병변증(心病辨證)의 형성과정(形成過程)에 대한 문헌적(文獻的) 고찰(考察) (Bibliographical study on formation process of the differentiation of syndrome of heart-disease)

  • 김용주;최달영;김준기;박원환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67-89
    • /
    • 1997
  • 오장육부중(五臟六腑中)에서 심(心)은 인체(人體) 생리활동(生理活動)의 주재(主宰)으로서 장부(臟腑) 가운데에서도 수위(首位)를 차지하여 인체(人體)의 사추활동(思推活動)이나 장부기능(臟腑機能)의 협조(協調) 및 기혈(氣血)의 통창(通暢)등도 모두 심(心)의 기능(機能)에 의존(依存)하는 바이므로 심(心)을 생명활동(生命活動)의 중심(中心)이라고 한다. 본(本) 논문(論文)은 변증체계(辨證體系)의 형성과정(形成過程)을 심병변증(心病辨證)에 한(限)하여 문헌적(文獻的)으로 고찰(考察)한 것으로써, 첫째 심병(心病)의 허증분류(虛症分類)에 있어 심허증(心虛症)이라고 포괄적(包括的)으로 언급(言及)되어지던 것이 심음허증(心陰虛症)과 심양허증(心陽虛症)으로 분류(分類)되었으며, 다시 심기허증(心氣虛症) 심양허증(心陽虛症) 심혈허증(心血虛症) 심음허증(心陰虛症)으로 분류(分類)되었다가, 최근(最近)에 변증분류(辨證分類)에서는 이를 더욱 세분화(細分化)시켜 심기허증(心氣虛症) 심양허증(心陽虛症) 심혈허증(心血虛症) 심음허증(心陰虛症) 심기음양허증(心氣陰兩虛症) 심기혈양허증(心氣血兩虛症) 심음양양허증(心陰陽兩虛症) 심양포탈증(心陽暴脫證)으로 분류(分類) 발전(發展)시키고 있다. 둘째 심병(心病)의 실증분류(實證分類)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담(痰)과 화(火) 열(熱)의 문제(問題)였으며 이것들을 가지고 다양한 변증분류(辨證分類)를 하였는데, 초기(初期)에는 담증(痰證)과 열증(熱證)을 단지 분리(分離)하여 변증(辨證)하였던 것을, 최근(最近)에는 담증(痰證)과 화증(火證)뿐만 아니라 담화(痰火)를 같이 묶어 변증(辨證) 하였으며, 심기허심양허(心氣虛心陽虛)에서 기인(起因)된 심어증(心瘀證)을 점차 중요(重要)하게 여기는 방향(方向)으로 변증분류(辨證分類)를 하였다. 이러한 변증분류(辨證分類)의 다양화(多樣化) 세분화(細分化)는 점점(漸漸) 다양(多樣)해지는 질병양상(疾病樣相)에 보다 잘 대처하려는 연구결과(硏究結果)로 보여지며 이후로도 보다 실증적(實證的)인 연구(硏究)가 더욱 더 요망(要望)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