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단풍잎돼지풀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5초

위성영상과 Maxent를 활용한 생태계교란생물 분포지역 예측 : DMZ의 단풍잎돼지풀을 대상으로 (Predicting the Potential Distributions of Invasive Species Using the Landsat Imagery and Maxent : Focused on "Ambrosia trifida L. var. trifida" in Korean Demilitarized Zone)

  • 박현철;임정철;이정환;이관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2
    • /
    • 2017
  •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predicting the potential habitat sites of invasive alien plants in the DMZ and providing the basic data for decision-making in managing the future DMZ natural environment. From 2007 to 2015, this study collected the data for the advent of Ambrosia trifida var. trifida through fieldwork around the DMZ area, and simulated the potential distribution area of Ambrosia trifida var. trifida using Maxent model among the models of species distributions. As a result, it showed that the potential distribution area of the Ambrosia trifida var. trifida was concentrated in the western DMZ with relatively low altitude and scanty in the central east regions with relatively high elevation and forest cover rate. Because the invasive alien vegetation is a significant threatening factor in the agriculture and restoration of ecology and it costs a lot to restore the area already invaded by invasive alien vegetation, advance precautions are necessary to prevent biological invasions. It is expected that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disturbed ecosystems through this study for the efficient land use within DMZ in the future and to apply this study in setting up the areas for the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within the DMZ.

단풍잎돼지풀 기반 바이오차를 이용한 비소 및 중금속 오염 농경지의 안정화 (Stabilization of Agricultural Soil Contaminated by Arsenic and Heavy Metals using Biochar derived from Buffalo Weed)

  • 고일하;김정은;김지숙;박미선;강대문;지원현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1권6호
    • /
    • pp.87-100
    • /
    • 2016
  • Biochar, which has high alkalinity, has widely studied for amendment of soil that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The aim of this study is assessment of amendment for arsenic and heavy metals contaminated acidic agricultural soil using biochar that derived from buffalo weed (A. trifida L. var. trifida). Pot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cluding analysis of soil solution, contaminants fractionation,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plant (lettuce) uptake rate. Arsenic and heavy metals concentrations in soil solution showed relatively low in biochar added experiments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In the heavy metals fractionation in soil showed decrease of exchangeable fraction and increase of carbonates fraction; however, arsenic fractionations showed constant. Soil chemical properties indicated that biochar could induce recovery of soil quality for plant growth in terms of soil alkalinity. However, phosphate concentration in biochar added soil decreased due to Ca-P precipitation by exchangeable calcium from biochar. Arsenic and heavy metals uptake rate of plant in the amended experiment decreased to 50%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Therefore biochar derived from buffalo weed can be used as amendment material for agricultural soil contaminated with arsenic and heavy metals. Precipitation of As-Ca and metal-carbonates are major mechanisms for soil amendment using char.

서부 민간인 통제지역의 관속식물상 (Flora of Western Civilian Control Zone (CCZ) in Korea)

  • 김경훈;강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565-588
    • /
    • 2019
  • 서부 민간인 통제지역은 경기도 파주시 지역으로는 장단면, 군내면, 진동면을 포함한다. 연천군 지역은 장남면, 백학면, 미산면, 중면에 걸쳐있다. 본 조사에서는 파주시 장단면 일대와 군내면 정자리 덕진산성, 진동면 동파리 일월봉, 임진강변, 수내천, 초리천을 중심으로 세 개 면과 연천군 장남면 반정리의 식물상을 조사하여, 서부 민간인 통제지역의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자세히 파악하고자 하였다. 2012년 4월부터 2014년 9월까지 월 2회 조사를 통해 461점의 표본을 확보하였고, 96과 305속 413종 4아종 41변종 6품종의 464분류군을 확인하였다. 이후 2018년 10월까지 월 1회 조사하였다. 조사 시기 중 멸종위기종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우리나라 특산식물로는 고려엉겅퀴, 벌개미취, 키버들 등 6분류군이 확인 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으로는 IV급종은 5분류군, III급종은 7분류군, II급종은 14분류군, I급종은 18분류군의 4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서부 민간인 통제지역에서 확인된 귀화식물은 단풍잎돼지풀을 포함한 35분류군으로 전체 식물의 7.5%에 해당한다.

DMZ 일원 자웅산(경기도 파주시) 일대의 관속식물상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of Mt. Ja-Ung (Gyeong-gi-do, Pa-ju-si) Adjacent to the DMZ)

  • 최영민;정재상;이종원;송진헌;변경열;길희영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3-33
    • /
    • 2021
  • 자웅산(264.3m)은 DMZ 접경지역인 경기도 파주시 법원읍에 위치하며, 백두대간 줄기 중 한북정맥을 따라 동쪽으로는 노고산(401m), 서쪽으로는 명학산(220m)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2020년 4월부터 10월까지 계절별로 1회씩 총 3회 식물상 조사를 진행하였고 화상자료와 증거표본을 확보하였다. 본 조사로부터 자웅산 일대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은 82과 208속 267종 9아종 22변종 4품종으로 총 30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양치식물은 10과 18분류군, 나자식물은 2과 6분류군, 쌍자엽식물이 62과 226분류군, 단자엽식물이 8과 53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개나리(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백운산원추리(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키버들(Salix koriyanagi Kimura ex Goerz) 등 3과 3분류군의 특산식물이 확인되었다. 침입외래식물로는 가시도꼬마리(Xanthium italicum Moretti), 단풍잎돼지풀(Ambrosia trifida L.), 미국개기장(Panicum dichotomiflorum Michx.), 서양민들레(Taraxacum officinale F.H.Wigg.), 애기망초(Conyza parva Cronquist) 등 7과 23분류군으로 조사되어 조사식물 303분류군의 7.6%를 차지하였다. 환경부 지정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V등급이 미나리냉이(Cardamine leucantha (Tausch) O.E.Schulz), IV등급이 당단풍나무(Acer pseudosieboldianum (Pax) Kom.), 산복사나무(Prunus davidiana (Carrière) Franch.) 등 2분류군, III등급이 금낭화(Dicentra spectabilis (L.) Lem.), 꽃쥐손이(Geranium platyanthum Duthie), 분비나무(Abies nephrolepis (Trautv. ex Maxim.) Maxim.) 등 7분류군이 확인되어 III등급 이상의 특정종은 10분류군으로 파악된다.

  • PDF

경기도 밭의 외래잡초 분포 (Distribution of Exotic Weeds on Upland Crop Field in Gyeonggi-do)

  • 김창석;이인용;이정란;홍선희;오영주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4호
    • /
    • pp.284-291
    • /
    • 2014
  • 경기도의 밭 주변을 대상으로 350지점을 선정하여 조사를 진행하였다. 경기도의 밭에 발생하는 외래잡초 조사결과 19과 52속 74종 4변종, 총 78종류의 외래잡초가 조사되었고 하계 일년생 식물은 48.7%, 동계 일년생은 28.2%, 다년생은 23.1%가 출현하였다. 과별로 보면 국화과가 32%를 차지하여 가장 많은 비율로 출현하였고 벼과 8%, 마디풀과 8%, 아욱과 7%로 구성되었다. 경기북부에서의 외래잡초 우점종은 개비름, 단풍잎돼지풀, 흰명아주, 미국가막사리, 망초이고 경기남부에서는 흰명아주, 망초, 개망초, 서양민들레, 털별꽃아재비가 조사되었다. 경기도 전체에서는 흰명아주, 개비름, 망초가 가장 우점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경기북부와 경기남부지역의 외래잡초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CCA 분석결과 경기북부가 경기남부지역보다 다양한 외래잡초가 넓게 확산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기도에 발생하는 외래잡초의 발생정보는 밭의 지속적인 관리방안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농촌지역 소택지의 토지이용별 식생특성 (The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Palustrine Wetland by Land-use in Rural Areas)

  • 손진관;김미희;강방훈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699-713
    • /
    • 2012
  • 소택지는 개발공사 및 녹지조성 시 자주 이용되는 유형으로 나타나고 있지만 식물의 생태적 특성을 배려하지 못하는 설계가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므로 소택지의 토지이용에 따른 식생특성을 알아보고 소택지의 평가, 습지의 복원 및 창출에 있어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지는 논, 밭, 산으로 구분하여 2개소씩 총 6개소의 연구대상지를 선정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한 결과 식물상은 61종~92종의 분포범위로 총 71과 168속 187종 2변종 1품종 1아종으로 총 216종류가 확인되어 규모에 비해 높은 식생출현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의 평가점수 분포는 산지형으로 대표되는 연구대상지가 밭이나 논으로 대표되는 곳보다 높은 점수로 평가되었다. 귀화식물은 10과 28종으로 분석되었으며 산으로 대표되는 연구대상지가 낮은 출현을 보였으며, 이에 비해 논과 밭으로 대표되는 연구대상지는 비교적 높은 출현을 나타냈다. 식생피도가 다소 높게 나타난 귀화식물은 개망초, 족제비싸리, 오리새, 큰김의털, 능수참새그령, 토끼풀, 망초, 단풍잎돼지풀, 달맞이꽃, 미국가막사리 등이다. 이러한 귀화식물은 습지에서 자생식물을 도태시키고 물 흐름을 막아 습지를 육상화 시키는 습지훼손의 주요한 요인으로 우선적으로 제거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향후 귀화식물에 대한 적절한 관리와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소택지를 농촌지역의 우수한 비오톱으로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매봉 지역(강원도 인제군)의 관속식물상 (Flora of Vascular Plants in Mt. Maebong (Inje, Gangwon-do))

  • 박기쁨;김상준;황희숙;박진선;안종빈;신현탁;정수영;김희채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28-28
    • /
    • 2018
  • 본 연구는 강원도 인제군 매봉 지역 일대를 중심으로 식물상 조사를 수행하였다. 관속식물은 73과 173속 228종 3아종 28변종 6품종으로 총 265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분류군별로는 양치식물이 5과 14분류군, 나자식물 1과 3분류군, 쌍자엽식물 60과 182분류군, 단자엽식물 7과 29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주요 식물로는 특산식물 고려엉겅퀴(Cirsium setidens), 무늬족도리풀(Asarum versicolor), 병꽃나무(Weigela subsessilis) 등 8과 9분류군, 희귀식물은 멸종위기종(CR) 긴개별꽃(Pseudostellaria japonica), 애기가물고사리(Woodsia glabella) 2분류군, 위기종(EN) 댕강나무(Abelia mosanensis) 1분류군, 취약종(VU) 멱쇠채(Scorzonera austriaca subsp. glabra) 1분류군, 약관심종(LC)인 과남풀(Gentiana triflora var. japonica), 금강제비꽃(Viola diamantiaca), 너도바람꽃(Eranthis stellata) 등 9분류군으로 총 1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환경부지정 특정식물종은 V등급 1분류군, IV등급 2분류군, III등급 1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단풍잎돼지풀(Ambrosia trifida),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닭의덩굴(Fallopia dumetorum) 등 6과 1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산림청에서 지정한 특별산림보호대상종은 댕강나무(Abelia mosanensis), 참배암차즈기(Salvia chanryoenica)가 확인되었다. 유용식물로는 용도를 모르는 96분류군(36.2%)를 제외하면 169분류군(63.8%)이 자원식물로 이용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을 용도에 따라 구분해보면 식용 114분류군(33.2%), 섬유용 5분류군(1.5%), 약용 82분류군(23.9%), 관상용 33분류군(9.6%), 사료용 94분류군(27.4%), 산업용 1분류군(0.3%), 염료용 3분류군(0.9%), 목재용 11분류군(3.2%)으로 확인되었다.

  • PDF

서운산 일대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Mt. Seounsan in Korea)

  • 장현도;오아미;심선희;임효선;한세희;양선규;오병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35-449
    • /
    • 2017
  • 행정구역상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와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에 걸쳐있는 서운산 일대의 관속식물상을 2014년도 4월부터 2015년 10월까지 총 9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증거표본을 바탕으로 작성한 소산 관속식물은 97과 306속 439종 5아종 51변종 6품종의 총 501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 기존의 조사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본 조사에서 최초로 밝혀진 분류군은 185분류군이었다. 한반도 특산식물은 광릉골무꽃, 금오족도리풀, 병꽃나무 등 8분류군이 조사되었고, 산림청지정 희귀식물은 솔붓꽃, 들떡쑥, 뻐꾹나리 등 5분류군이 관찰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III~V등급에 해당하는 1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총 68분류군으로 조사되었고, 생태계교란종은 단풍잎돼지풀, 미국쑥부쟁이 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우리나라 밭 경작지에 출현하는 식물상 특성 (Floristic features of upland fields in South Korea)

  • 김명현;어진우;김민경;오영주
    • 환경생물
    • /
    • 제38권4호
    • /
    • pp.528-553
    • /
    • 2020
  • 밭 경작지는 다른 유형의 경작지보다 다양한 작물이 재배되고 있으며, 이모작 등 영농활동에 의한 교란 정도가 상대적으로 크며 건조한 환경조건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밭 경작지에 출현하는 식물종의 종조성 및 생활형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식물상 조사는 전국을 대상으로 36개 지역에서 2015년 6월과 8월 두 시기에 수행되었다. 그 결과, 우리나라 밭 경작지에 출현하는 관속식물은 100과 322속 483종 9아종 37변종 1품종 2잡종으로 총 532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과별 분포현황은 국화과가 가장 많은 75분류군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벼과 68분류군, 콩과 34분류군, 마디풀과 21분류군, 장미과 19분류군, 백합과 17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종별 출현빈도는 깨풀과 쑥이 100%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환삼덩굴, 속속이풀, 망초, 개망초, 왕고들빼기, 닭의장풀, 바랭이, 돌피, 금방동사니, 괭이밥, 쇠비름, 명아주, 개비름, 콩, 주름잎, 왕바랭이 등이 높게 나타났다. 우리나라 논 경작지에 출현한 식물의 생활형 조성은 일년생식물-단립식물-중력산포형-직립형(Th-R5-D4-e)으로 나타났다. 희귀식물로는 주목, 목련, 할미밀망, 쥐방울덩굴, 벼룩아재비, 개지치, 애기담배풀, 두메부추, 물잔디 등 1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생태계교란 식물은 환삼덩굴, 애기수영, 가시박,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서양금혼초, 가시상추, 양미역취, 미국쑥부쟁이 등 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24과 68속 97종 1변종으로 총 98분류군이 확인되었고, 도시화지수는 30.5%, 귀화율은 18.4%를 나타냈다.

인천시 징매이고개의 도로에 설치한 생태통로의 생태 현황과 개선 방안 (Ecological Status and Improvement Suggestion of a Wildlife Road-Crossing Structure at the Jingmaei-Pass in Incheon, Korea)

  • 김진경;조형진;조강현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3권3호
    • /
    • pp.169-176
    • /
    • 2016
  • 도로가 서식지 파편화를 초래하는 주요인이라고 널리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도로에서 야생동물 이동통로는 격리된 서식지 사이의 연결성을 제공하는 가장 일반적인 해결방안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시 징매이고개의 도로에 설치된 야생동물 생태통로에서 보전 가치와 생태적 효율성을 평가하고 적응관리를 위한 대책을 제안하기 위하여, 생태통로에서 소음 교란도, 식생 구조 및 야생동물의 이동과 서식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지인 징매이고개 생태통로에서는 도로 차량으로부터의 소음 교란이 적절하게 차단되지 않고 있었다. 생태통로 식생에서는 단풍잎돼지풀, 개망초, 칡, 찔레꽃 등과 같은 천이초기종이 번성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식생 천이를 촉진하고 동물 서식지 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효과적인 식생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생태통로에서 족적과 폐쇄회로 티비로 야생동물을 조사한 결과, 등줄쥐, 너구리, 두더지, 청솔모 등의 제한된 포유류가 이동통로로 이용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징매이고개 생태통로는 현재 소음 간섭과 교란 식생의 번성으로 생물 이동통로로서의 적적한 기능을 할 수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야생동물 이동통로로서 기능을 향상하기 위하여 동물 서식과 이동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적절한 대책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