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단일유역

Search Result 170,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Study on The Estimation Method of storage constants based on basin shape factor at Design Flood Estimation (설계홍수량 산정시 유역형상계수에 따른 저류상수 산정방안에 관한 연구)

  • Park, Sang-Jin;Kang, Ho-Yeong;Hwang, Sung-Hwan;Moo, Young 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08-508
    • /
    • 2015
  • '설계홍수량 산정요령(2012, 국토교통부)'에서 홍수량 산정시 유역면적이 $250km^2$이하의 유역을 하나의 유역으로 처리하여 홍수량을 산정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이는 소유역을 많이 분할하고 하도 홍수추적 및 합성을 통하여 홍수량을 산정할 경우 단일유역에 비해 홍수량이 과대하게 산정됨으로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제시된 산정요령이다. 홍수량 산정 방법으로 실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고 '설계홍수량 산정요령'에서 채택한 모형인 Clark 단위도법에 의한 방법으로 산정된 홍수량의 크기에 미치는 민감도가 도달시간보다 저류상수가 훨씬 크므로 합리적인 저류상수 결정방법이 매우 중요하다. 저류상수를 결정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 경험공식이 적용되고 있으며 그 중 '설계홍수량 산정 요령(2012, 국토교통부)'에서는 유역면적이나 유역형상 등을 고려하고 있는 Sabol 공식을 적용하도록 하고 있다. Sabol 공식은 유역형상계수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으며, 유역형상계수는 형상이 흐름방향으로 길쭉한지 넓적한지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유역 평균폭을 본류 연장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되며, 통상 유역면적을 본류 유로연장의 제곱으로 나타낸다. 따라서 유역의 형상이 폭에 비해 길면 형상계수가 1보다 작아지며 반대로 길이에 비해 폭이 넓거나 형상이 둥글면 형상계수는 1에 근접하며,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하천의 형상계수는 대부분 약 0.5~0.1 정도의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Sabol공식을 적용하여 저류상수를 산정할 경우 유역형상계수가 극히 작을 경우 홍수량이 과소하게 산정되므로 적절한 유역분할을 통해 홍수량을 보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미호천 권역에서 유역형상계수가 0.1 이하인 유역을 대상으로 단일유역으로 산정한 홍수량과 적절한 유역 분할 후 홍수량을 산정하여 비교하고 비슷한 규모의 인근유역의 홍수량과 기산정된 홍수량을 비교하여 유역형상계수 0.1이하에서의 적절한 소유역 분할 기준을 제시하여 홍수량이 과대 및 과소하게 산정되지 않도록 조정하는데 있다.

  • PDF

Flash Flood Warning System for Mountainous Region Based on Hydrogeomorphological Approach (수문지형학적 접근에 기초한 산악지역의 돌발홍수예경보시스템 연구)

  • Kim, Hong-Tae;Shin, Hyun-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811-815
    • /
    • 2005
  • 산악지역의 유출은 지형적 특성 때문에 매우 빠른 반응시간을 가지고 첨두유량 또한 매우 크게 마련인데 이러한 특성 때문에 산악지역의 돌발홍수 발생 메카니즘과 이것의 정확한 규명은 지금까지 수많은 연구과제의 주제가 되어왔다. 본 연구는 산악지역의 유출 특성을 잘 반영한다고 알려진 수문지형학을 기초한 지형기후학적단위도(geomorphoclimatic unit hydrograph, GCUH) 이론을 토대로 단일유역 산악지역과 분할유역 규모의 유출 특성을 규명하고 각각의 유역특성에 맞는 돌발홍수예경보시스템을 제안 및 비교 검토하고자 한다.

  • PDF

The Developmet and Application of GIS-Based Geomorpho-Hydrological Watershed Model (G2WMS) (GIS기반 지형수문유역모의 모형의 개발 및 적용 연구)

  • Kim, Hong-Tae;Shin, Hyun-Su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9 no.1
    • /
    • pp.123-133
    • /
    • 2009
  •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GIS-based Geomorpho-hydrological Watershed Modeling System($G^{2}WMS$) which could consider both nonlilear rainfall-runoff relationship based on Geomorpho-Climatic Unit Hydrograph(GCUH) as well as watershed system inducing river routing. The developed new model was calibrated at the gaged rainfall events at natural watersheds and previewed to apply at the ungaged mountain basins, such as Sulma basin for small mountain basin and Andong-Dam basin for large scale basin, compared single with partitioned basin in the observed unit hydrographs and rainfall-discharge events. Finally, at the large scale Andong dam basin, we concluded that partitioned basin cases which including th nonlinear GCUH and river routing methods were superior to single basins which including the traditional methods in rainfall-discharge simulation at the mountain basins.

An Analysis of Runoff reduction Amounts for the Detention Pond in Trunk Sewer (간선저류지 설치위치에 따른 우수유출저감효과 분석)

  • Lee, Sung Ho;Lee, Jae Joon;Yoon, Sei E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56-556
    • /
    • 2016
  • 도시화 및 산업화에 따른 유출량의 증가 및 도달시간의 감소로 인해 도시지역의 침수피해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내수침수피해 방지를 위해 유역내 우수관거 용량향상 및 우수유 출저감시설의 설치 등과 같은 유역전반의 홍수방어 체계를 구축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국내 대도시의 경우 저류시설 설치를 위한 부지 확보 및 우수관거 교체를 위한 예산확보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도시화, 산업화, 인구집중으로 동일규모의 강우에서도 우수유출이 증대되고 있는 도시지역에서 원활한 내수배제를 위해 우수관거를 연계한 간선저류지 개념을 적용하여 우수유출저감효과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간선저류지를 유역내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하여 단일 저류지와 복수 저류지에 대해 각각 우수유출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간선저류지 설치로 인한 우수유출저감효과 분석을 위하여 단일 저류지의 면적은 $1,000m^3$, $2,000m^3$, $3,000m^3$ 등 3가지 크기로 설정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단일 저류지의 위치에 따른 유출저감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저류지의 위치는 전체 유역면적에 대한 저류지 상류부 면적의 비를 20%, 40%, 60%, 80%로 변화시키면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복수 저류지의 경우 전체 유역면적에 대한 저류지 상류부 면적의 비를 다양하게 적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여, 단일 저류지 및 복수 저류지 설치 위치에 따른 도시유역의 우수유출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 PDF

Analysis of Rainfall Runoff Reduction Effect Depending upon the Location of Detention Pond in Urban Area (도시유역 저류지 위치에 따른 우수유출저감효과 분석)

  • Lee, Jae Joon;Kim, Ho Ny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8 no.5B
    • /
    • pp.535-546
    • /
    • 2008
  • Urbanization results in increased runoff volume and flowrate and shortening in time of concentration, which may cause frequent flooding downstream. The retardation structures are used to eliminate adverse downstream effects of urban stormwater runoff. There are various types of flow retardation measures include detention basin, retention basin, and infiltration basin. In this study, to present a rough standard about location of detention pond for attenuating peak flow of urban area, the runoff reduction effect is analyzed at outlet point when detention pond is located to upstream drainage than outlet. The runoff reduction effects are analyzed under the three assumed basins. These basins have longitudinal shape (SF = 0. 204), concentration shape (SF = 0. 782), and middle shape (SF = 0.567). Numerous variables in connection with the storage effect of detention pond and the runoff reduction effects are analyzed by changing the location of detention pond. To analyze runoff reduction effect by location of single detention pond, Dimensionless Upstream Area Ratio (DUAR) is changed to 20%, 40%, 60%, and 80% according to the basin shape. In case of multiple detention pond, DUAR is changed to 60%, 80%, 100%, 120%, and 140% only under the middle shape basin (SF = 0.567). Related figures and regression equations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detention pond are obtained from above analysis of two cases in this study.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appropriate detention pond corresponding to the any runoff reduction such as storage ratio and peak flow ratio in urban watershed.

Appication of A Single Linear Reservoir Model for Flood Runoff Computation of Small Watersheds (소유역량의 홍수유출계산을 위한 단일선형 저수지 모형의 적용)

  • 김재형;윤용남
    • Water for future
    • /
    • v.19 no.1
    • /
    • pp.65-74
    • /
    • 198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Single Linear Reservoir (SLR) model for runoff computations of small river basins in Korea. In the existing watershed flood routing methods the storage coefficient(K), which is the dominant parameter in the model, has been proposed to be computed in terms of the wqtershed characteristics. However, in the prsent study, the rainfal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the watershed characteristics were taken into account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more accurate estimation of storage coefficient. The parameters finally adopted for the regressions were the drainge are, mean stream slope of the watershed, and the duration and total dffective amount of rainfalls. To verify the applicability of SLR model the computed results by SLR model with K determined by the regression equation were compared with the observed gydrographs, and also with those by other runoff computation methods; namely, the Clark method, nakayasu's synthetic unit hydrograph method and Nash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esent zSLR model gave the best results among these methods in the case of small river basins, but for the whatersheds with significant draingage area the Clark method gave the best results. However, it was speculated that the SLR model could also be accurately applied for flood compuatation in large wagersheds provided that the regression for storage coefficients were made with the actual data obtained in the large river basins.

  • PDF

Estimation of Sediment Yield to Sangju-Dam of Nakdong-River Using the RUSLE Model (RUSLE모형을 이용한 낙동강 상주보까지의 토사유출량 산정)

  • Kim, J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95-499
    • /
    • 2012
  • 토사유출량이란 강우가 발생한 지점에서 토양침식에 의해 생산된 토사가 퇴적 및 이송 등의 과정을 거쳐 유역의 특정 지점까지 도달한 토사량을 의미한다. 토사유출량을 정확하게 산정하는 방법은 현재까지 없다. 그러나 유역단위의 대략적인 토사유출량 산정을 위해서는 경험적 모형인 USLE 모형과 수정된 형태의 RUSLE 모형 또는 MUSLE 모형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지형정보시스템(GIS)의 발달로 RUSLE 모형과 MUSLE 모형이 주로 사용되는데 연평균 토사량 산정에는 RUSLE 모형이 사용되며 단일호우에 대한 토사량은 MUSLE 모형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 모형들은 구곡 및 하천에서의 수리학적 특성 반영하기 힘든 단점이 있어서 유출지점에 따라 유사전달률(SDR)의 개념이 요구된다. RUSLE 모형과 MUSLE 모형에 사용되는 유사전달률은 외국에서의 경험적 공식으로서 우리나라 유역 실정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추후 연구에는 8~10년 이상의 토사유출량 자료를 바탕으로 그 유역의 유사전달률을 결정하고, 그 결과 값을 이용하여 단일호우 사상의 유출량과 모의유출량을 비교하여 MUSLE 모형의 강우인자인 R값을 산정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 선행 작업으로, 본 연구에서는 RUSLE 모형과 기존의 유사전달률을 사용하여 낙동강 상주보까지의 토사유출량을 산정하였다. 상주보유역은 안동댐유역, 임하댐유역, 안동댐하류유역, 내성천유역, 영강유역으로 구성되며 안동댐유역과 임하댐유역은 댐의 차단으로 본 연구의 토사유출량 산정에서 제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Change of Runoff due to Dividing Watershed. (유역 분할에 따른 유출변화 연구)

  • Yoo, Seung-Hyuk;Lee, Jae-Geun;Ahn, Jae-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976-980
    • /
    • 2009
  • 수자원분야에서 강우-유출의 해석은 홍수의 분석 및 수자원 이용의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이다. 유역의 물리적 특성이 반영된 정확한 홍수량의 산정을 위해 유역의 지형인자 및 수문모형의 매개변수 추출에 대한 연구가 폭넓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러한 방법들에 대한 명확한 기준은 정립되지 못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유역 분할에 따른 영향분석을 위해 단일유역과 다수유역으로 구분하였고, 대상유역의 소유역분할에 따른 유역면적, 유로연장, 경사 등의 매개변수를 산정하여 도달시간, 저류상수, CN 등을 결정하고, 홍수량 산정결과의 민감도 분석 및 검토를 수행하였다. 또한 유역별 하도에서의 직접도달시간과 최원점에서의 도달시간을 산정하는 경우로 구분하여 유로연장의 조건별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일정 유역분할 이후에는 유역분할이 유출모의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고, 소유역 분할에 따른 홍수량 증가 영향과 유로연장의 조건별 영향이 크지 않음을 판단할 수 있었다.

  • PDF

Runoff Analysis by Using GRM with Multi-point Calibration Tool (GRM 모형의 다지점 보정기술을 이용한 유출해석)

  • Choi, Yun-Seok;Choi, Cheon-Kyu;Kim, Kyung-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231-231
    • /
    • 2012
  • 격자 기반의 분포형 모형은 격자로 분할된 유역의 임의 지점에 대해서 유출량을 계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분포형 모형을 이용한 기존의 유출해석에서는 유역의 최하류 지점을 대상으로 모형을 보정하는 단일지점 모형보정 기술이 적용되어 왔다. 단일지점을 대상으로 모형을 보정할 경우, 보정 대상 지점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격자 일수록 유출해석 결과와 관측 유량의 오차가 커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유역으로 분할된 유역에 대해서 소유역별로 모형을 보정할 수 있는 다지점 보정기술을 이용해서 유출해석을 수행하였다. 유역내 여러 지점에 대해서 모형을 보정할 경우, 소유역 및 최하류 지점에 대한 유출해석 결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다지점 보정기술은 유역내 여러 지점에 대한 유출량을 계산할 때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분포형 모형을 이용한 홍수예보시스템 구축시, 대상 유역내 다수의 지점에 대해 실시간 유출해석을 손쉽게 수행하는 데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patial-Temporal Characteristics of Rainfall in the Han River Basin (한강유역 강우의 시. 공간적 특성)

  • 이동률;정상만
    • Water for future
    • /
    • v.25 no.4
    • /
    • pp.75-85
    • /
    • 1992
  • Continuous recorded hourly rainfalls during the wet season in the Han River basin are separated into single storm events between storms. For the storm events, storm numbers, total rainfall, duration, and intensity are analyzed, and the basin is divided into three areas, which have a similar rainfall characteristics. The criterion of separation of independent storms, which is proposed by Restrepo and Eagleson, is examined and its criterion is compared with temporal characteristics of single storm events separated with wime between storm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