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단어 분리

Search Result 114,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Off-Line Recognition of Unconstrained Handwritten Korean Words using Over-Segementation and Lexicon Driven Post-Processing Techniques (과다 분리 및 사전 후처리 기법을 이용한 한글이 포함된 무제약 필기 문자열의 오프라인 인식)

  • Jeong, Seon-Hwa;Kim, Su-Hyeong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26 no.5
    • /
    • pp.647-656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오프라인 무제약 필기 한글 단어를 인식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단어 인식 시스템은 크게 다석가지 모듈-문자 분리,조합행렬생성, 특징 추출, 문자인식, 사전 후처리 -로 구성되어 있다. 문자 분리 모듈은 입력된 단어 영상을 하나의 문자보다 더 작은 이미지 조각으로 과다 분리하며 , 조합 행렬 생성모듈에서는 동적 프로그래밍 기법을 이용하여 분리된 이미지 조각들로부터 사전상의 모든 단어들과 대응되는 가능한 모든 조합을 생성한다. 문자인식모듈은 각 그룹에 대하여 일괄적으로 얻어진 특징과 유니그램을 이용하여 문자인식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사전 후처리 모듈에서는 각 그룹에 대한 문자인식 결과와 단어 사전을 사용하여 입력단어에 대한 최종 인식 결과를 도출한다. 본 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문자 분리, 문자 인식 및 후처리를 상호 보완적으로 결합함으로써 한글이 포함된 무제약 필기 문자열을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제안된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제 우편 봉투 상에 쓰여진 필기 한글 단어 200개를 대상으로 실험을 하였다. 실험 결과 200개의 단어중 172개의 단어를 정인식하여 86%의 정확도를 얻을 수 있었으며 나머지 28개의 오인식된 단어들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오류는 문자 인식기의 낮은 신뢰도 때문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하나의 단어를 인식하기 위하여 약 2초가 소요되었다.

A Study On the Automatic Generation Algorithm of Reference Pattern Using Levelbuilding Algorithm. (Levelbuilding 알고리즘을 이용한 참조패턴의 자동생성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 김윤중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c
    • /
    • pp.79-82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연결단어 음성인식 상에서 올바른 참조 패턴을 생성하기 위해 Levelbuilding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인식대상 단어의 표본 집합(훈련패턴 집합)으로부터 참조 패턴을 자동적으로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분한 K-Mans 훈련방법에 기초하고 있으며, Levelbuilding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훈련패턴으로부터 참조 패턴을 생성하는 것이다. 먼저 초기화 과정에서 훈련 패턴을 그에 포함된 단어 수만큼 등간격 분리하여 분리된 단어들을 소속 Cluster로 분류하고 각 Cluster의 Center들로 초기 참조패턴을 구성한다. 그리고 참조패턴, 제어정보 및 Levelbuilding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각 훈련패턴을 분리하고, 분리된 단어들을 소속 Cluster로 분류하여 단어 Cluster집합을 구성한 후 DTW 및 minimax알고리즘을 이용해 각 Cluster의 Center를 구하여 참조 패턴을 생성한다. 참조패턴 구성에 변화가 없을 때까지 전 단계의 참조패턴과 본 알고리즘을 반복 수행하여 최적의 참조패턴을 생성한다. 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3개 숫자의 연결단어 집합으로부터 영('0')에서 구('9')까지 숫자음에 대한 참조패턴을 자동 생성하였다. 참조패턴 생성과정에서 가정 중요한 처리인 훈련패턴 분리과정을 분석하기 위하여 각 반복과정에서 분리된 정보를 그래프로 도시화하여 확인하였다.

  • PDF

Extracting Collocations Using Entropy in Korean (엔트로피를 이용한 한국어 연어 추출)

  • 박경미;송만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451-453
    • /
    • 2002
  • 연어는 습관적으로 같이 자주 나타나는 단어열로 각 단어로 분리하기보다 통합해 처리하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에 기계 번역과 음성 인식등에서 유용만 정보로 사용된다. 이러한 연어를 추출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2가지 경우를 고려했는데, 첫 번째로 인어를 말뭉치에 자주 나타나는 단어열이라고 했을 때 단어열들의 엔트로피가 일정값 이상이면 연어로 추출했다 두 번째로 통사적 제약이 있는 연어를 주술하기 위해 앞 또는 뒤에 올 단어를 제약하는 단어의 엔트로피를 구해 일정값 미만이면 그 단어를 포함한 단어열을 연어로 추출했다. 실험은 품사 부착된 HANTCE 말뭉치를 가지고 수행했고, 젓 번째 방법으로 실험했을 때 엔드로피가 2이상인 단어열을 가지고 분리된 연어도 유도해냈다.

  • PDF

Segmenting and Classifying Korean Words based on Syllables Using Instance-Based Learning (사례기반 학습을 이용한 음절기반 한국어 단어 분리 및 범주 결정)

  • Kim, Jae-Hoon;Lee, Kong-Joo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0B no.1
    • /
    • pp.47-56
    • /
    • 2003
  • Korean delimits words by white-space like English, but words In Korean Is a little different in structure from those in English. Words in English generally consist of one word, but those in Korean are composed of one word and/or morpheme or more. Because of this difference, a word between white-spaces is called an Eojeol in Korean. We propose a method for segmenting and classifying Korean words and/or morphemes based on syllables using an instance-based learning. In this paper, elements of feature sets for the instance-based learning are one previous syllable, one current syllable, two next syllables, a final consonant of the current syllable, and two previous categories. Our method shows more than 97% of the F-measure of word segmentation using ETRI corpus and KAIST corpus.

Word Segmentation in Handwritten Korean Text Lines based on GAP Clustering (GAP 군집화에 기반한 필기 한글 단어 분리)

  • Jeong, Seon-Hwa;Kim, Soo-Hyung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27 no.6
    • /
    • pp.660-667
    • /
    • 2000
  • In this paper, a word segmentation method for handwritten Korean text line images is proposed. The method uses gap information to segment words in line images, where the gap is defined as a white run obtained after vertical projection of line images. Each gap is assigned to one of inter-word gap and inter-character gap based on gap distance. We take up three distance measures which have been proposed for the word segmentation of handwritten English text line images. Then we test three clustering techniques to detect the best combination of gap metrics and classification techniques for Korean text line images. The experiment has been done with 305 text line images extracted manually from live mail pieces. The experimental result demonstrates the superiority of BB(Bounding Box) distance measure and sequential clustering approach, in which the cumulative word segmentation accuracy up to the third hypothesis is 88.52%. Given a line image, the processing time is about 0.05 second.

  • PDF

The Unsupervised Learning-based Language Modeling of Word Comprehension in Korean

  • Kim, Euhee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4 no.11
    • /
    • pp.41-49
    • /
    • 2019
  • We are to build an unsupervised machine learning-based language model which can estimate the amount of information that are in need to process words consisting of subword-level morphemes and syllables. We are then to investigate whether the reading times of words reflecting their morphemic and syllabic structures are predicted by an information-theoretic measure such as surprisal. Specifically, the proposed Morfessor-based unsupervised machine learning model is first to be trained on the large dataset of sentences on Sejong Corpus and is then to be applied to estimate the information-theoretic measure on each word in the test data of Korean words. The reading times of the words in the test data are to be recruited from Korean Lexicon Project (KLP) Database. A comparison between the information-theoretic measures of the words in point and the corresponding reading times by using a linear mixed effect model reveals a reliable correlation between surprisal and reading time. We conclude that surprisal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processing effort (i.e. reading time), confirming the surprisal hypothesis.

A Study on Automatic Indexing of Korean Texts based on Statistical Criteria (통계적기법에 의한 한글자동색인의 연구)

  • Woo, Dong-Ch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4 no.1
    • /
    • pp.47-86
    • /
    • 198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effective automatic indexing method of Korean texts based on statistical criteria. Titles and abstracts of the 299 documents randomly selected from ETRI's DOCUMENT data base are used as the experimental data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data is divided into 4 word groups and these 4 word groups are respectively analyzed and evaluated by applying 3 automatic indexing methods including Transition Phenomena of Word Occurrence, Inverse Document Frequency Weighting Technique, and Term Discrimination Weighting Technique.

  • PDF

Word Extraction from Table Regions in Document Images (문서 영상 내 테이블 영역에서의 단어 추출)

  • Jeong, Chang-Bu;Kim, Soo-Hyung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2B no.4 s.100
    • /
    • pp.369-378
    • /
    • 2005
  • Document image is segmented and classified into text, picture, or table by a document layout analysis, and the words in table regions are significant for keyword spotting because they are more meaningful than the words in other regions.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extract words from table regions in document images. As word extraction from table regions is practically regarded extracting words from cell regions composing the table, it is necessary to extract the cell correctly. In the cell extraction module, table frame is extracted first by analyzing connected components, and then the intersection points are extracted from the table frame. We modify the false intersections us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eighboring intersections, and extract the cells using the information of intersections. Text regions in the individual cells are located by using the connected components information that was obtained during the cell extraction module, and they are segmented into text lines by using projection profiles. Finally we divide the segmented lines into words using gap clustering and special symbol detection. The experiment performed on In table images that are extracted from Korean documents, and shows $99.16\%$ accuracy of word extraction.

Spatial Gap Estimation for Word Separation in Handwritten Legal Amounts on BAnk Check (필기체 수표 금액 문장에서의 단어 분리를 위한 공간적 간격 추정)

  • Kim In-cheol;Kim Kyoung-mi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9 no.5
    • /
    • pp.1096-1101
    • /
    • 2005
  • An efficient method of estimating the spatial gaps between the connected components has been prposed to separatethe individual words from a handwritten legal amount on bank check. Owing to the inherent problem of underestimation or overestimation, the previous gap measures have much difficulty in being applied to the legal amounts that usually include the great shape variability by writer's unconstrained writing style and touching or irregular gaps between words by space limitation. In order to alleviate such burden and improve word separation performance, we have developed a modified version of each distance measure. Through a series of word separation experiments, we found that the modified distance measures show a better performance with over $2-3\%$ of the word separation rate than their corresponding original distance measures.

Word Segmentation Algorithm for Handwritten Documents based on k-means Clustering (k-평균 클러스터링을 이용한 필기 문서 영상의 단어 분리법)

  • Ryu, Jewoong;Cho, Nam 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4.06a
    • /
    • pp.38-41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필기 문서 영상을 분석하여 단어 단위로 요소들을 분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인쇄 문서에 비하여 필기 문서에서는 글자 간 간격이 일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필기자 또는 작성된 언어에 따라 특성이 매우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단어를 분리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로 간주되었고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제안하는 방법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글자 획의 두께를 고려하여 정규화시킨 각 연결 요소간 간격과 간격 안에 존재하는 글자 픽셀의 수로 구성된 2 차원의 특징값을 추출하였다. 이 특징값을 바탕으로, 제안하는 방법은 k-평균 클러스터링을 이용하여 각 텍스트라인을 구성하는 연결 요소간 간격을 단어 사이의 간격과 단어 내부 글자간의 간격으로 분류하였다. ICDAR 2013 Handwriting Segmentation Contest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실험 결과 제안하는 방법은 가장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