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단백질 제거

검색결과 548건 처리시간 0.026초

C 형 간염 바이러스의 외피당단백질 E1 및 E2의 융합단백질 $GST-E1_{192-283}$$-E2_{384-649}$의 대장균에서의 과량발현 및 면역원성 연구 (Overexpression of the $E1_{192-283}$ and $E2_{384-649}$ Proteins of Hepatitis C Virus in GST Fusion Forms in E. coli and Their Immunogenicity)

  • 성영림;최시영;임동수
    • 대한바이러스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05-113
    • /
    • 1997
  • C 형 간염 바이러스 (Hepatitis C Virus, HCV)는 두종류의 외피당단백질 $E1_{192-383}$$E2_{384-746}$를 갖고 있다. $E1_{192-383}$$E2_{384-740}$ 단백질은 glutathione S-transferae (GST) 융합단백질의 형태로 대장균에서 발현되지 않았으나, 이 단백질들의 C말단에 존재하는 소수성영역을 제거하였을 때 $GST-E1_{192-283}$ 융합단백질은 과량으로 가용성 형태로 발현되었고, $GST-E2_{384-649}$ 융합단백질은 비 가용성 형태로 발현되었다. 이 융합단백질들 각각은 HCV 양성환자의 혈청과 특이적으로 반응하였다. Thrombin으로 처리하여 얻은 정제된 $E1_{192-283}$ 단백질 및 융합형태의 $GST-E2_{384-649}$ 단백질 각각을 생쥐에 접종하였을 때 E1 및 E2 특이적인 항체가 생성되었다. 이 결과들은 $E1_{192-383}$$E2_{384-649}$ 융합단백질 C 말단에 존재하는 소수성영역이 이 단백질들의 발현량 및 가용성에 영향을 주며 $E1_{192-283}$ 단백질 영역내에 HCV 양성환자의 혈청과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epitope (s)이 존재한다는 것을 제시해 주고 있다.

  • PDF

Paenibacillus polymyxa Cycloinulooligosaccharide Fructanotransferase의 효소 활성에 미치는 각 Domain의 역할 (Domain Function and Relevant Enzyme Activity of Cycloinulooligosaccharide Fructanotransferase from Paenibacillus polymyxa)

  • 유동주;박정하;유경옥;남수완;김광현;김병우;권현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78-287
    • /
    • 2006
  •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P. polymyxa 균주가 생산하는 CFTase의 각 repeat region의 결손 변이체를 제작하였으며 그에 따른 야생형 효소와 변이 효소의 활성변화 및 효소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야생형 CFTase를 CFT148로, N-말단의 R1과 R3를 제거한 결손변이체 CFTase를 CFT108로, C-말단의 R4를 제거한 결손변이체는 CFT130, 모든 R 영역을 제거한 것은 CFT88로 명명하였다. 각각 정제된 재조합 단백질은 148 kDa, 108 kDa, 130 kDa, 그리고 88 kDa의 크기를 나타내었다. Inulin을 기질로 각 재조합 단백질의 활성을 검토한 결과 CFT108은 CF생성, CF분해 반응을 모두 가지고 있었으며 CFT130, CFT88의 경우에는 CF생성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endo-inulinae와 동일한 inulin 분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N-말단의 repeat region인 R1과, R3의 역할은 균체 외로의 분비를 담당하며 C-말단의 R4영역은 CFTase의 중요 활성인 cyclization반응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Repeat region의 모두 제거한 결손 변이체는 기질 inulin을 F2-F4 사이의 중합도를 가진fructooligosaccharide를 생산하는 endo-inulinase의 활성을 가지고 있었다. CFTase는 다기능 효소로 여러 domain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domain의 결손에도 단백질의 활성을 유지하였으며, 특히 결손 변이체 CFT108은 고효율의 CF 생산이 가능하여 산업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소이다.

15-Crown-5-Anthracene 막을 이용한 요 중의 칼륨이온 분석에 미치는 초음파 전처리의 효과 (Effect of Ultrasonic Pretreatment on Analysis of Potassium Ion in Human Urine Using 15-Crown-5-Anthracene-based Membrane)

  • 이지영;장혜영;배준웅
    • 대한화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3-18
    • /
    • 2003
  • 요(urine) 시료 중의 칼륨 이론을 전위차법으로 분석하기 위한 전처리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초음파의 분해 효과를 이용하였다. $NH_4{^+}$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요 시료 속에서 첨가한 $K^+$에 대한 검정 곡선을 구하기 위하여 $NH_4{^+}$에 대한 $K^+$의 선택성이 좋은 N-(4'-benzo-15-crown-5)-anthracene-9-imine을 이온선택성 전극 물질로 사용하였다. 1.0M $HNO_3$으로 산성화시킨 요 시료를 초음파로 100 s 동안 전처리시키려면 요 중의 단백질을 85.1%까지 제거시킬 수 있었다. 이렇게 전처리된 시료에서 얻은 막전극의 감응 전위에 대한 기울기는 log [$K^+$]=-5~-1의 직선범위(r=0.9997)에서 54.6(${\pm}0.2,\;n=5$) mV/decade였다. $HNO_3$으로 초음파처리한 요 시료에 산화제인 $H_2O_2$를 첨가하면 $HNO_3$만으로 전처리시켰을 때보다 단백질 제거율이 10% 증가하여 최대 95%까지 제거되었다. 요 시료에 첨가한 $K^+$에 대한 감응 전위의 기울기 또한 56.7(${\pm}0.1,\;n=3$) mV/dacade로 증가하였다. 검정 곡선을 연속적으로 얻었을 때, 막전극 표면을 초음파로 세척하여 20회까지 안정한 감응 기울기를 얻을 수 있었다. 이 결과들로부터 초음파를 이용한 전처리법은 간단하고, 짧은 시간 내에 요 중의 단백질을 약 95%까지 제거시켜서 막전극의 감응 특성을 증진시킨 방법이었다.

보리(Hordeum vulgare L.)의 전분생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Starch of Barley (Hordeum vulgare L.))

  • 서호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85-190
    • /
    • 1999
  • 보리로부터 전분분리 및 생산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wet-milling, alkali 및 ethanol 처리를 병행한 전분 분리공정의 최적조건을 검토하였다. Wet-milling에서 최적 침지온도 및 시간을 검토한 결과 3$0^{\circ}C$, 12시간으로 처리하였을 때 단백질 5.7%, 전분함량이 69%를 나타내었으며 wet-milling에서 얻어진 조전분을 대상으로 100 mesh체로 처리시 전분의 백색도는 87%를 나타내었다. Alkali 처리에서의 최적조건은 0.2% NaOH로 6시간 처리하였을 때 가장 높은 단백질 제거 (0.3%)와 전분함량(93%)을 나타내었으며 10%(v/v) ethanol처리로 0.1% 조지방 함량을 나타냄으로써 잔존해 있는 조지방 성분이 제거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의 최적조건에서 얻어진 전분의 성분은 단백질 0.1%, 전분함량 95%를 나타냈으며 기타의 성분의 순도 및 백색도가 시판되고 있는 옥수수전분 규격과 비교하여 볼 때 손색이 없었다.

  • PDF

효모발효한 대두침출액으로부터의 대두올리고당 생산: 한외여과 및 역삼투 처리효과 (Soy-oligosaccharide Production from Yeast Fermented Bean Cooking Water: Effects of Ultrafiltration and Reverse Osmosis)

  • 구경형;박동준;목철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80-686
    • /
    • 1997
  • 대두침출액(bean cooking water, BCW)을 효모처리 하지 않은 대조구와 선발된 효모(S. cerevisiae KCTC 7039, H. anomala KFRI 626)로 발효시킨 효모처리구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한외여과 후 보유액(retentate)은 원료로 사용한 각각의 BCW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여과 후 회수된 투과액(permeate)은 고형분은 약간 감소되었으나, 총당 함량의 $80{\sim}100%$가 회수되었다. 회분함량은 한외여과 처리와 관계없이 원료인 BCW와 거의 같은 수준이었으나, 단백질의 경우는 한외여과(cutoff MW 20,000)처리에 의해 대조구는 원료의 약 38%, S. cerevisiae KCTC 7039처리구는 31%, H. anomala KFRI 626처리구는 약 21%의 제거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2단계의 한외여과 처리를 적용할 경우, 대두 침출액에 존재하는 단백질의 $20{\sim}40%$를 제거할 수 있었으며 총당 및 스타키오스를 포함한 올리고당의 회수율을 높일 수 있었다. 대두침출액에 역삼투공정을 적용하여 용질농축비율(VCR, volume concentration ratio)별로 농축한 결과 고형분 및 회분 단백질은 용적농축비율 3.5까지 급격히 증가하다가 완만하게 증가하였고, 최적 용적 농축비는 농축시 요구되는 에너지 양과 투과액으로 손실되는 양을 고려하여 3.5라 여겨진다.

  • PDF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가다랑어 내장으로부터 지방산 추출 및 단백질 농축물의 제조 (Processing of Protein Concentrate and Fatty Acid Extraction from Tuna Viscera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전병수;윤성옥;이승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07-212
    • /
    • 2001
  •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가다랑어 내장으로부터 지방산 추출 및 단백질 농축물의 제조를 위하여 초임계 추출장치의 조건을 압력 1,500-2,000psig, 온도$25^{\circ}C\~40^{\circ}C$으로 하여 추출실험을 하였다. 유속 50mL/min, 압력 1,800psig, 온도 $35^{\circ}C$, 입자크기 0.25mm에서 약 $97\%$ 이상의 지질 추출효율을 보였고, Fig. 5와 6에서 알 수 있듯이 압력 1,800psig, 온도 $35^{\circ}C$, 입자크기 0.25mm의 조건에서 지질을 제거함으로 인하여 약 $50\%$의 단백질이 회수되었고 대부분의 이 취가 제거된 것을 관능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조건에서 추출된 지질의 주요 지방산으로는 palmitic acid (16: 0), oleic acid(18:1) 등이었고, 주요 유리 아미노산는 taurine 등이었으며, 주요구성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leucine, lysine 등이었다.

  • PDF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혈청단백질의 이차원전기영동분석 조건확립 (Optimization of Conditions for 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 of th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Serum)

  • 한윤희;남보혜;감영옥;김우진;공희정;이상준;최태진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68-72
    • /
    • 2007
  • 넙치의 혈청 단백질체를 연구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차원전기영동 분석 시의 기본조건을 확립하였다. 넙치의 혈청단백질을 이차원전기영동 법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TCA 침전을 이용하여 혈청 내에 고농도로 존재하는 이온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과 정이 반드시 요구되었다. 또한 분석 단백질의 농도는 $30{\mu}g$이 적당하였다. 넙치 10개체의 혈청단백질을 이용하여 총 51회의 이차원전기영동을 수행한 결과 1,8207개의 단백질로 이루어진 넙치 혈청단백질 표준 지도를 작성할 수 있었다.

  • PDF

흰쥐에서 Reserpine이 중뇌망상체의 자극으로 유발된 췌장의 외분비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serpine on Pancreatic Exocrine Secretion Induced by Mesencephalic Reticular Stimulation in Rats)

  • 박형진;이윤렬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2권1호
    • /
    • pp.101-109
    • /
    • 1988
  • 최근에 마취한 흰쥐에서 중뇌망상체를 전기적으로 자극하면 췌장의 외분비 기능이 증가하며 이러한 결과는 망상체의 자극으로 인하여 교감신경계의 활성도가 상승하기 때문이라는 보고가 있다. 한편 교감신경계의 활성도가 상승할 경우 교감신경계의 전달 물질인 catecholamine이 교감신경 종말 뿐만 아니라 부신수질에서도 유리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중뇌망상체의 자극으로 인하여 췌장의 외분비 기능이 증가함에 있어 교감신경계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지를 확인하고, 이때 부신수질이 관여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마취한 흰쥐에게 atropine (1mg/kg) 또는 reserpine (5mg/kg)을 투여하거나 또는 부신을 적출한 다음 중뇌망상체를 전기 자극하면서 췌장액을 채취하였다. 사용한 전기자극의 매개변수는 1.3V, 40Hz, 2msec이었다. atropine과 reserpine을 투여하면 마취한 흰쥐의 자발적 췌장액 분비량과 단백질 분비량은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부신을 제거하면 췌장액 분비량에는 이렇다할 변동이 없는 반면에 단백질 분비량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중뇌망상체를 전기자극하면 췌장액 분비량과 단백질 분비량 모두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망상체의 자극효과는 atropine 전처치에 의하여 이렇다할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reserpine 전처치에 의하여 소실되었다. 그러나 부신을 적출하면 망상체 자극에 의한 췌장액 분비량의 증가는 유지되는 반면에 단백질 분비량의 증가는 소실되었다. 한편 미주신경을 절단한 흰쥐에서 중뇌망상체를 자극하는 동안에 경동맥의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이 상승하였는데 이러한 망상체의 자극효과도 reserpine의 투여에 의하여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본 실험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마취한 흰쥐에서 중뇌망상체의 자극은 교감신경계를 활성화시켜 췌장액 분비량과 단백질 분비량에 촉진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때 활성화된 교감신경계는 부분적으로 부신을 경유하게 췌장의 단백질 분비에 촉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재조합 항체의약품의 생산시 생산세포주 유래 단백질 검출을 위한 ELISA 방법 개발 (Development of a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Method for Residual Host Cell derived Proteins in Recombinant Antibody Drug Production)

  • 정찬희;임상민;구윤모;이용윤;손영수;김현일;박흥록
    • KSBB Journal
    • /
    • 제21권3호
    • /
    • pp.212-219
    • /
    • 2006
  • 재조합 생물의약품 생산시, 오염물질의 유래는 외인성(외래성 바이러스, 마이코플라즈마, 미생물) 및 내인성(생산세포주 유래 단백질) 두 가지의 일반적인 가능성으로 존재한다. 이 중 생산세포주 유래의 불순 단백질은 환자에게 면역이상반응을 일으킬 수 있어 제품의 안정성과 사용자의 안전상의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단백질의 오염 여부를 검출하는 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상용화된 분석제품들은 일반적인 생산세포주 유래 단백질에 대한 분석은 가능하지만, 생산 방법이나 재조합 된 세포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고유한 생산세포주 유래 단백질에 대한 분석은 적합하지 못하다. 본 연구에서는 재조합 항체의약품 생산과 정제과정에서 목적단백질의 생산 유전자를 지니지 않는 null cell mock 배양에 의해 생산세포주 유래 모든 단백질을 얻어 이에 대한 다클론항체를 제작하여 면역학적 반응을 이용하여 생산세포주 유래 단백질을 정량 할 수 있는 ELISA 방법을 개발하였다. 생산세포주 유래 단백질에 대한 다클론항체는 rabbit에서 얻었으며, 이 중 생산세포주 유래 단백질에 특이적인 항체만을 정제하였다. 또한 direct sandwich ELISA 방법 개발을 위해 항체에 발색효소(HRP)를 표지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항체를 이용하여 정성분석을 위한 Western blot과 정량분석을 위한 ELISA 방법을 개발하여 목적단백질의 정제과정 내에서 생산세포주 유래 단백질이 제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개발된 ELISA 방법은 ICH 규정에 따라 validation을 실시한 결과 되어 객관적 검증을 받은 결과, 특이성, 직선성, 정확성, 정밀성의 기준을 만족하며 검출한도가 10.8 ppm인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Photodynamic Therapy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 조건에서 Helicobacter pylori의 Fur 단백질의 역할 (The Role of Helicobacter pylori's Fur Protein in the Oxidative Stress Induced by Photodynamic Therapy)

  • 박유나;김지훈;최성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24-129
    • /
    • 2011
  • Helicobacter pylori균의 ferric uptake regulator (Fur) 단백질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역할을 연구하였다. H. pylori균의 fur 유전자를 제거한 돌연변이체를 만들고 wild type H. pylori균과 돌연변이체 균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을 비교하였다. 산화적 스트레스는 methylene blue와 660 nm 파장의 빛을 이용하는 광역학적 치료방법으로 유도하였다. 산화적 스트레스를 가한 실험조건에서 wt H. pylori와 돌연변이체의 생존력, DNA 손상의 정도를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fur 유전자가 제거된 돌연변이체의 생균수가 wt에 비해 10,000배 가량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DNA의 산화적 손상의 marker인 8-hydroxy-2-deoxyguanosine (8-OHdG)의 양도 fur 유전자 제거된 돌연변이에서 wild type에 비해 3배 정도 더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실험결과 H. pylori균의 fur 유전자가 PDT법으로 유도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방어 기작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