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단백질 제거

검색결과 547건 처리시간 0.025초

포말분리법에 의한 해수 중의 단백질 제거

  • 김병진;조진구;서근학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1999년도 임시총회 및 가을 학술발표회 초록집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 /
    • pp.67-68
    • /
    • 1999
  • 포말분리법을 이용하여 해수 중의 단백질 제거 실험을 수행한 결과 유입 단백질의 농도가38.0g/m일 때 제거 속도가 최대였으며 0.48min의 수력학적 체류시간에서 9.65g protein/m3.min의 가장 높은 단백질 제거속도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포말분리공정의 운전인자 변화에 따른 수처리 특성 (Water Treatment Characteristics by Foam Separator According to Operation Parameters)

  • 허현철;김성구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504-508
    • /
    • 1998
  • 포말분리 장치를 이용한 해수 중의 단백질 제거 특성을 조사한 결과, 단백질 농도가 높을 수록 그리고 포말층높이가 낮을수록 단백질의 제거속도는 증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백질의 농도에 따른 제거속도의 변화는 단백질의 농도가 높을수록 그 제거 속도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논문의 폭기량 0.65 cm/sec로 운전한 실험 결과에서 단백질 농도와 제거속도와의 관계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equation omitted) 또한 포말층높이의 변화에 대해서도 포말층의 높이가 클수록 그 제거속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에 폭기량이 많을수록 단백질의 제거속도 또한 크게 나타났으며, 포말층높이의 증가에 따른 제거속도의 감소 정도 또한 폭기량이 많을수록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상대적인 수치에 따르면, 폭기량에 상관없이 포말층 높이가 10 cm증가함에 따라 낮은 포말층 높이에서의 제거속도의 대략 30 % 정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상대적인 감소율의 비는 일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단백질 제거제의 작용에 영앙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 effecting the activities of the protein remover)

  • 빅미정;신영민;장지연;김대수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1-97
    • /
    • 2005
  • 단백질 제거 목적으로 사용되는 효소세척제(소프트콘택트렌즈 단백질제거제)의 작용이 처리시간, 온도, pH 및 소프트콘택트렌즈의 재질에 따라 변화되는지를 알아보았다. 콘택트렌즈 단백질 제거제 중 subtilisin계 단백질 제거제를 선택하여 각기 조건을 달리하여 작용시킨 후 소프트콘택트렌즈에 잔존하는 단백질 양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단백질 제거제 처리 후 60분까지는 단백질이 제거되는 정도가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나, 처리 시간을 60분 후부터 24시간까지 연장하였을 경우에는 단백질이 제거되는 정도에 커다란 변화가 없었다. 단백질 제거제의 효과는 $15{\sim}30^{\circ}C$까지는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나, $10^{\circ}C$ 이하에서 감소하였다. pH 또한 단백질 제거제의 효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쳐, pH 8.0에서 단백질 제거 효과가 가장 뛰어났으며, pH가 산성화됨에 따라 효과가 감소하였다. 이는 subtilisin의 삼차원 구조가 변하여 나타나는 결과로 여겨진다. 또한 subtilisin 효소 세척제의 단백질 제거 효과는 소프트콘택트렌즈 재질에 따라 상이하였다.

  • PDF

소프트콘택트렌즈 단백질제거제의 효능 평가법 분석 (Analysis of Evaluation Methods for the Efficacy of Protein Removal Agents for Soft Contact Lens)

  • 변현영;성형경;원혜림;심지인;박미정;김소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1-57
    • /
    • 2014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콘택트렌즈 단백질제거제 개발 시 요구되는 단백질 제거효능의 적절한 평가를 위한 시험법을 확립하고 이를 실제 콘택트렌즈에 침착된 단백질의 제거효율을 측정한 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단백질제거제의 효능 평가법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대한약전에 제시된 단백소화력 시험법을 이용하여 파파인, 판크레아틴, 섭틸리신 A 및 프로테아제와 각각의 효소가 포함된 단백질제거 정 또는 용액의 효능평가에 적절한 시험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또한, balafilcon A 재질 렌즈에 인위적으로 침착시킨 단백질을 시판되고 있는 단백질제거 정 또는 용액으로 제거하여 세척효율을 확인하고 이들 방법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판크레아틴과 판크레아틴 함유 제품의 경우 단백소화력 시험법으로 평가하였을 때 둘 다 약전에서 제시하는 판크레아틴 단백소화력 기준값인 28 IU/mg를 충족하였다. 프로테아제와 삼염화아세트산 B 용액으로 실험한 섭틸리신 A의 경우는 단백소화력 시험법으로 평가하였을 때 제조사에서 제시한 효소활성 값을 충족하였으나, 파파인과 삼염화아세트산 A 용액으로 실험한 섭틸리신 A는 제조사에서 제시된 효소활성 값에 해당하는 단백소화력이 측정되지 않았다. 시판되는 단백질제거제의 경우 판크레아틴을 함유한 제품을 제외한 나머지 세 가지 제품은 단백소화력 시험법으로는 제조사에서 명시한 효소들의 단백질 효소활성 값을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러나 실제 렌즈에 침착된 단백질의 제거정도를 측정하였을 때에는 파파인을 함유한 제품을 제외한 3종의 단백질제거제는 모두 90%가 넘는 단백질 제거효율을 보였다. 파파인 함유 단백질제거제의 경우 단백소화력 시험법으로는 효능 측정이 불가능하였으나 실제 렌즈에 침착된 누액단백질 제거효율은 73.72%에 이르렀다. 결론: 본 연구결과로 콘택트렌즈 단백질제거제의 효능은 함유되어 있는 단백분해효소의 종류에 따라 시험법을 달리하여 평가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판크레아틴, 프로테아제, 섭틸리신 A를 함유하는 단백질제거제는 단백소화력 시험법과 단백질제거효율 측정법으로 효능평가가 가능하고, 파파인을 함유하는 단백질제거제의 평가는 콘택트렌즈를 이용한 단백질제거효율 측정법만이 효율적임을 제안할 수 있다.

생합성 히아루론산의 의료용을 위한 정제 (Purification of Biosynthesized Hyaluronic Acid for Its Medical Application)

  • 오덕근
    • KSBB Journal
    • /
    • 제11권1호
    • /
    • pp.15-21
    • /
    • 1996
  • 히아루론산 정제과정 중 불순물인 핵산과 단백질 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균체제거 실험을 수 행한 결과 여과에 의한 방법이 히아루론산 용액 중 의 단백질과 핵산이 가장 잘 제거되었다. 보다 효과 적요로 핵산과 단백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활성탄과 규조토를 첨가하여 여과하였다. 여과시 히아루론산 의 회수율과 핵산 및 단백질 제거율을 살펴 본 결과 활성탄 농도 0.6%와 규조토 농도 1.0% 첨가하는 경우를 최적 여과조건으로 선정하였다. 에탄올 첨가 는 에단융과 히아루론산 용액을 동시에 첨가하는 경우에 히아루론산의 회수율과 핵산 및 단백질 제거율 이 가장 좋았다. 에탄올에 의한 히아루론산의 침전 시 최적조건을 찾기 위해 pH와 전도도를 변화 시키 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pH와 전도도에 따른 핵산과 단백질의 제거 정도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에 탄올에 의한 히아루론산의 침전은 pH 7. 전도도 100mS(l.OM NaCI 정도에 해당)에서 최적이었으며, 이때 히아루론산의 회수율은 약 85% 정도이였 다. 에탄올 침전과 여과 과정에서 히아루론산 용액 중의 단백질은 거의 제거되었으나, 핵산은 완전히 제거되지 않았다. 핵산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하여 Duolite A 7 수지를 통과시킨 결과 pH 7, 전도도 4 40mS 부근에서 핵산제거율이 65%로 가장 좋았다. 히아루론산 용액 내의 잔존 핵산은 hydroxy-apatite 0.2%를 처리하여 거의 제거 할수 있어 그 결과 불 순물인 핵산과 단백질이 각각 0.02%. 0.01 % 이하 인 의료용 히아루론산을 만들 수 있었다.

  • PDF

포말 분리법을 이용한 양어장 순환수 처리 - I Protein 분리특성 - (Treatment of Aquacultural Recirculating Water by Foam Separation - I. Characteristics of Protein Separation-)

  • 서근학;이민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99-606
    • /
    • 1995
  • 포말 분리관에 단백질 용액을 일정하게 공급하여 분리 실험을 수행하며 초기 단백질 농도, 공탑 공기유속, 온도와 pH 등의 영향에 따른 포말 분리관의 단백질 분리특성을 연구한 결과, 액본체 단백질의 약 65% 이상이 약 10min이내에 제거되는 효과적인 분리특성을 나타내어 포말분리법은 양어장 순환수중의 주된 유기성분인 단백질을 분리하기 위한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었다. 액본체 중의 단백질의 초기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단백질 제거속도는 일정 농도 이하의 조건에서는 직선적으로 증가하다가 일정한 값을 유지하여 단백질 제거속도는 Langmuir 흡착형태를 나타내었으며, 제거속도는 공탑 공기유속에 대해서는 직선 관계를 보였다. 본 실험조건 범위 내에서는 단백질 제거에 있어 온도 및 pH의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결과를 검토한 결과 이론식은 타당하였다

  • PDF

콩에서 Source-Sink변경이 건물축적과 단백질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urce-Sink Alteration on Dry Matter Accumulation and Protein Content in Soybean)

  • 성락춘;박지희;박세준;조재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723-730
    • /
    • 1995
  • 콩의 건물축적과 단백질전류에 대한 Source-Sink변경의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1992년에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실험농장에서 황금콩을 공시품종으로 착협시기(R3)에 상위 40%, 하위 60%의 엽과 협을 제거하여 건물중 및 단백질함량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엽-하협제거처리에서 하위 엽과 경 건물중이 증가하였고, 상위 종실과 협 건물중은 감소하였다. 2. 엽의 단백질함량은 상위 엽보다 하위 엽에서 높았다. 3. 종실의 단백질함량은 상엽-하협제거와 하엽-상협제거처리에서 낮았다. 4. 상엽-하협제거처리에서 엽의 단백질함량은 가장 높았고 종실 단백질함량은 가장 낮았다. 5. 본 실험의 결과에서 콩의 단백질원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나 생식생장기간중의 장거리 전류를 위한 엽 단백질의 재이동은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urease고정막에 의한 urea의 가수분해 (Hydrolysis of urea by immobilized urease membrane)

  • 나원재;김민;김병식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2004년도 춘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49-52
    • /
    • 2004
  • 생체 내에서의 요소 형성은 단백질이 아미노산으로 분해되어 인체에 남은 요소는 오줌으로 배출된다. 그러나 고농도의 urea의 경우 단백질을 변형시키게 된다[1-2]. 이러한 고 농도의 urea를 단백질 공정을 통해서 제거시키는 기술이 최근의 투석 과학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urea의 제거와 함께 많은 양의 단백질과 양이온이 유출 및 오염의 문제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3].(중략)

  • PDF

대두올리고당 생산을 위한 한외여과 대두침출액의 이온교환 (Ion Exchange of Ultrafiltrated Soybean Cooking Water for the Production of Soy-oligosaccharides)

  • 구경형;박동준;목철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13-317
    • /
    • 1995
  • 대두침출액으로부터 대두올리고당을 생산하기 위하여 한외여과한 대두침출액의 정제를 목적으로 이온교환공정을 검토하였다. 차단분자량 20,000인 막을 사용하여 한외여과한 대두침출액을 이온교환처리할 경우 회분은 양이온교환수지에 의하여 대부분 제거되었으며 단백질 및 색소제거에는 음이온교환수지의 효과가 높았다. 회분 및 단백질 제거효과가 높은 수지는 각각 양이온교환수지 SK1B 및 음이온교환수지 WA30이었다. 이온교환시 ERR이 낮을 경우 단백질과 회분의 제거는 효과적이었으나 상당량의 올리고당이 수지에 흡착되어 소실되었다. 차단분자량 20,000인 막을 사용하여 한외여과한 대두침출액을 차단분자량 5,000인 막으로 2차 한외여과하여 단백질을 추가로 제거하고 혼합수지를 사용하여 ERR 5.0으로 이온교환처리한 결과, 단백질, 회분, 색소가 거의 전량 제거되었고 올리고당의 회수율도 높아 적정 이온 교환조건으로 결정되었다.

  • PDF

게 껍질로부터 Chitin의 분리 및 특성 규명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hitin from Crab Shell)

  • 김성배;박태경
    • KSBB Journal
    • /
    • 제9권2호
    • /
    • pp.174-179
    • /
    • 1994
  • 최근 산업적으로 다양한 용도로 응용되고 있는 chitin을 게 껍질로부터 분리하였고 그 특성을 규명하였다. Chitin의 분리는 무기물 제거, 단백질 제거 및 탈색단계를 거쳐 이루어졌으며, 얻어진 chitin은 무기물 함량이 0.5% 이내였고, 단백질과 지방질이 거의 제거된 백색분말이였다. IR 분석결과 Sigma제품과 거의 같은 특성을 나타내었고, 단백질 제거 조건에 따라 chitin의 주요 특성치인 탈아세틸화도와 평균 분자량이 다르게 나타났다. 탈아세틸화도는 Sigma 제품보다 상당히 높았고, 점도평균 분자량은 $2.3{\times}10^5~3.0{\times}10^5$ 범위였다. SEM 분석결과 얻어진 chitin은 fibril 형태를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