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단백질 분해 억제제

Search Result 147,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한우에서 추출한 Myosin B의 Pepsin 가수분해물의 Ultrafilteration에 의한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ACE) 저해 활성 분석

  • Kim, Yeong-Ju;Choe, Dam-Mi;Jin, Gu-B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5.10a
    • /
    • pp.168-171
    • /
    • 2005
  • 한우의 Myosin B 단백질을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인 pepsin으로 처리한 다음 단백질의 함량과 혈압상승 펩티드 생성효소인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ACE)에 대한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등심이 우둔에 비해 단백질의 함량이 높았으며, 가수분해 처리 후 우둔과 다르게 등심은 3시간 가수분해 처리구에서 단백질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ACE 저해활성은 등심에서는 3시간, 우둔에서는 6시간동안 가수분해시켰을 때 ACE 저해율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3, 6시간동안 가수분해시켰을 경우 부위 별로 유의적인 차가 있었으나(p<0.05), 0, 1시간동안 가수분해 시켰을 때는 부위간의 유의적인 차는 없었다(p>0.05). ACE 저해율이 가장 좋은 가수분해 처리구를 ultrafiltration시킨 결과, 저분자 peptide 상태의 가수분해물이 고분자에 비하여 ACE 저해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차후 ACE 억제활성도가 높은 단백질을 분리하여 가장 우수한 분획을 찾아 아미노산 염기서열을 밝혀 고혈압 억제제로 합성 개발하는 연구를 추진할 예정이다.

  • PDF

Calpeptin Blocks Myogenic Time-dependent Loss of Cytoskeletal Proteins and Membrane Fusion of Chick Embryonic Myoblasts (계배 근원세포의 분화에 따른 세포 골격 단백질의 분해와 막 융합에 대한 Calpeptin의 억제 효과)

  • 곽규봉;김혜선;전영주;박영순;정진하;하두봉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6 no.3
    • /
    • pp.342-346
    • /
    • 1993
  • The protein level of cytoskeletons in cultured myoblasts was found to gradually decrease during the course of myogenesis. This decrease, however, could be prevented by treatiag the ceils with calpeptin (benzyloxycarbonyl-Leu-nLeu-H), a cell penetrating inhibitor of calpain. In contrast, E-64, which also is a potent inhibitor of calpain but can not be transported into the cells, showed little or no effect. In addition, the treatment of calpeptin was found to stabilize a number of specific cytoskeletal proteins from degradation but without any effect on the pattern of total cells proteins. Furthermore, calpeptin, but not E-64, blocked myoblast fus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lpain is responsible for the myogenic time-dependent loss of cytoskeletal proteins and that the degradative process is associated with myoblast fusion. These results also suggest that the differential effects of the calpain inhibitors depend on the permeabIlity of the drugs across the cell membrane.

  • PDF

한우 등심과 우둔에서 추출한 Myosin B를 pepsin으로 가수분해한 단백질의 변화와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ACE) 저해 효과

  • Kim, Yeong-Ju;Choe, Dam-Mi;Jin, Gu-B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5.05a
    • /
    • pp.226-230
    • /
    • 2005
  • 본 연구는 고혈압을 억제하는 ACE inhibitory peptide가 한우에 함유되어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한우의 우둔과 등심으로부터 Myosin B를 추출하여 가열한 것과 가열하지 않은 것으로 구분하여 pepsin으로 0, 1, 3, 6시간 동안 $37^{\circ}C$에서 가수분해 시켰다. 가수분해물을 전기영동을 실시하여 pepsin 처리시간에 따른 단백질의 변화를 검토하였고, AC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전기영동의 결과 가열한 것은 가열하지 않은 것에 비해서 단백질의 변성과 소멸이 많이 일어나 밴드의 수가 적었다. Pepsin으로 가수분해한 시간이 길어짐에 일부 단백질이 소실되었고, 저분자의 단백질이 생성되었다. Pepsin으로 가수분해함에 따라 등심과 우둔에서 25, 32, 40 및 44 kDa는 소실되었고, 37 kDa의 분자량을 갖는 밴드는 생성되었으며, 27 kDa의 단백질은 처음상태 그대로 유지되었다. 가수분해물을 이용하여 ACE 저해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등심은 1시간 가수분해시 유의차가 있었으나, 우둔은 가열여부에 따라 유의차가 발견되지 않았다. 반면 등심과 우둔 모두 가수분해 시간이 증가하면 ACE 저해율은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한우로부터 추출한 Myosin B의 ACE 억제활성이 우수한 단백질분획을 찾아 아미노산 염기서열을 밝히고 고혈압 억제제로 합성 개발하는 연구를 차후 추진할 예정이다.

  • PDF

Stabilization of Membrane Proteins by Benzyladenine during Wheat Leaf Senescence (노쇠중인 밀잎에서 Benzyladenine에 의한 막단백질의 안정화)

  • 진창덕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v.35 no.2
    • /
    • pp.117-123
    • /
    • 1992
  • The effect of benzyladenine (BA) on lipid peroxidation and compositions of total insoluble proteins and chloroplast thylakoid protein from wheat primary leaves during senescence in the dark was studied. BA ($10^{-5}\;M$) treatment prevented conspicuously the loss of chlorophyll content and soluble and insoluble leaf protein contents in senescing wheat leaf segments during 4-day dark incubation. Under the BA treatment, especially, the level of insoluble protein was highly maintained than that of soluble protein. Also, the increase of malondialdehyde (MDA: the peroxidation product of membrane lipids) content was inhibited in the BA treated leaves. Three major polypeptide bands in quantity corresponding to 57, 26 and 12 KD molecular weight were clearly resolved with other minor bands by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SDS-PAGE) in the insoluble protein fraction. The insoluble protein profiles of the control leaves showed a remarkable decrease in the intensity of the 57 and 12 KD band except for 26 KD band in the 72 h dark incubation. This loss during dark incubation was reduced by BA treatment. More than 20 polypeptides were resolved in the chloroplast thylakoid membrane fraction with the most prominent bands which are 59 and 57 KD ($\alpha\;and\;\beta$ subunit of coupling factor: CF) and 26 KD (apoprotein of LHCP). The changes in thylakoid protein profile during 72 h dark incubation showed the rapid degradation in control, but this degradation was prevented in quantity by BA treatment. The above results suggested that BA would inhibit the peroxidation of membrane lipids, thereby preventing the loss of membrane proteins which led to the maintenance of the membrane integrity including chloroplast thylakoid.

  • PDF

Clonorchis sinensis: Analysis Characterization of Somatic and Metabolic Antigen (II) Profile of the Worm, Excretory-secretory and Billis Antigen in C. sinensis Infected Rabbit (간흡충 : 충체 및 대사성 항원의 특성분석 (II) 간흡충 감염 가토에서 간흡충, 분비배설액 및 담즙 항원의 분획 양상)

  • Yong-Suk Ryang;Yoon-Kyung Cho;Ji-Sook Lee
    • Biomedical Science Letters
    • /
    • v.3 no.2
    • /
    • pp.89-94
    • /
    • 1997
  • The authors characterized the proteins of the crude antigen obtained from Clonorchis sinensis worm and excretory-secretory and billis from rabbits, experimentally infected for 3 months. Protein composition was observed after adding a cysteine proteinase inhibitor E-64 and a serine proteinase inhibitor PMSF, respectively. SDS-PAGE of the crude antigen from C. sinensis recovered from the infected rabbits, the crude antigen from the adult worm excretory-secretory, and the crude antigen from billis of the rabbits resolved 26, 27 and 19 profiles between 200-9 kDa, respectively. When E-64 supplemented 29, and 22 bands, respectively. More study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on the immun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monoclonal antibody of the each antigen.

  • PDF

The Effects of Ovoinhibitor on nyoblast Digerentiation (근세포 분화에 미치는 ovoinhibitor의 영향)

  • 이정주;하두봉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0 no.4
    • /
    • pp.401-409
    • /
    • 1987
  • 단백질 분해효소와 ovoinhibitor가 계배근세포 융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세포 운합지수의 측정, Western blot 분석법에 의한 ovoinhibitor의 세포 내농도 측정 및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도를 조사하였다. 세포 배양 30시간과 72시간에 처리된 ovoinhibitor는 상당히 근세포 융합 억제시켰다. 근세포 내 ovoinhibitor의 농도는 배 양 48시간에서 가장 높았고, 배양이 진행됨에 따라 계속 떨어져서 대체로 융합지수가 올라갈수록 그 농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근세포 분화가 진행됨에 따라 총 단백질 분해효소의 환성도는 계속 증가하였는데 특히 배양 48시간에서 72시간 사이의 급격한 증가를 나타내는 시기는 세포 융합이 가장 활발히 일어나는 시기와 일치했다. 이상의 결과는 단백질 분해효소 저해제가 근세포 분화에 상당한 영향을 끼침을 보여 주며, 단백질 분해효소와 단백질 분해효소 저해제는 하나의 조절단위로써 근세포 분화에 어떤 작용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he role of p38 MAP kinase on RANKL regulation in mouse periodontal ligament fibroblasts (마우스 치주인대 섬유모세포에서 RANKL 조절에 대한 p38 MAP kinase의 역할)

  • Kim, Jae-Cheol;Cui, De-Zhe;Kim, Young-Joon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7 no.sup2
    • /
    • pp.311-323
    • /
    • 2007
  • Receptor activation of nuclear factor ${\kappa}$ B ligand (RANKL)은 파골세포의 분화와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로 이들 물질의 조절에는 p38 MAP kinase가 관여한다. 그러나 치주인대 섬유모세포에서 RANKL 발현 시 p38 MAP kinase의 역할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이번 연구는 마우스 치주인대 섬유모세포의 $IL-1{\beta}-induced$ RANKL 발현과정에서 p38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마우스 치주인대 섬유모세포에 $IL-1{\beta}$ (1ng/ml)의 자극은 수용성 RANKL의 합성을 증가시켰다. 수용성 RANKL의 합성은 p38 MAP kinase 억제제인 SB203580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었으나 다른 MAP kinase 억제제인 SP600125, JNK 억제제와 PD98059, ERK 억제제에 의해서는 수용성 RANKL의 합성이 조절되지 않았다. NF-kB 억제제에 의해서도 수용성 RANKL의 합성이 억제되지 않았다. RANKL 유전자의 발현은 $IL-1{\beta}$로 자극 시에는 대조군에 비해 약 5배의 발현 증가를 보였으나 SB203580으로 전처치 시 $IL-1{\beta}$ (1ng/ml)로 자극시보다 약 1.5배의 감소를 보였다. 그러나 SP600125, PD98059, 및 NF-kB 억제제로 전처치한 경우에는 $IL-1{\beta}$로 자극한 경우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IL-1{\beta}$로 자극 시 RANKL 유전자의 반감기가 90분 이었으나 SB203580로 전처치 후 $IL-1{\beta}$로 자극 시 RANKL 유전자의 반감기는 60분으로 감소하였다. Cycloheximide 전처리 시 SB203580에 의한 RANKL 유전자 발현 억제가 관찰되지 않았다. 단백질 분석결과 p38 MAP kinase의 인산화 활성은 30분까지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 감소하여 2시간째에는 그 발현이 미약하였다. SB203580로 전처치 후 $IL-1{\beta}$로 자극 시 p38 MAP kinase의 인산화 활성이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p38 MAP kinase가 RANKL 유전자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Effect of Proteases on the Migration and Invasion of U-373-MG Cells Induced by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d Hepatocyte Growth Factor (VEGF와 HGF에 의해 유도된 U-373-MG 세포의 이동 및 침윤에 미치는 단백질분해효소의 효과)

  • Jeon, Hui Young;Kim, Hwan Gyu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6 no.10
    • /
    • pp.1189-1195
    • /
    • 2016
  •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and hepatocyte growth factor (HGF) are potent angiogenic factors that have been used clinically to induce angiogenesis. To enable migration and invasion, cells must proliferate and secrete proteinases, which degrade the surrounding extracellular matrix.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ell proliferation; matrix metalloproteinase-2 (MMP-2), MMP-9, and plasmin secretion; and migration and invasion of glioma-derived U-373-MG cells induced by VEGF and HGF treatment. An additional goal was to test the hypothesis that elevated secretion of MMP-2, MMP-9, and plasmin contributed directly or indirectly to the proliferation, migration, and invasion of U-373-MG cells. Cell proliferation, migration, and invasion and MMP-2, MMP-9, and plasmin secretio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VEGF and HGF-treated U-373-MG cells. To elucidate the role of the increased secretion of MMP-2, MMP-9, and plasmin in cell proliferation, migration, and invasion of the U-373-MG cells, they were treated with MMPs inhibitor (BB-94) and plasmin inhibitor (α2AP) prior to VEGF or HGF stimulation. The BB-94 and α2AP treatment resulted in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cell proliferation, migration, and invasion of the U-373-MG cells as compared with the VEGF- and HGF-treated groups. The results indicate that inhibition of MMPs and plasmin reduce the cell proliferation, migration, and invasion of U-373-MG cells.

앱시스산에 의해 기공이 닫히는 신호전달과정에서 G-단백질의 분할

  • 이영숙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v.37 no.4
    • /
    • pp.429-434
    • /
    • 1994
  • 식물 호르몬의 하나인 앱시스산이 식물의 기공을 닫게 하는 과정 중에 phospholipase C가 활성화되어 inositol 1,4,5-trisphosphate(P3)의 양이 증가함이 보고되었다 (Cot and Crain. 1994). 그러나 아직까지 공변세포에서 phospholipase C의 활성을 조절하는 G-단백질에 대한 보고는 없었다. 그러므로 앱시스산에 의한 기공닫힘과정에 G-단백질이 수반되는지를 조사하고자, G-단백질 활성의 저해제인 pertussis toxin과 촉진제인 cholera toxin을 처리하여 보았다. 닭의장풀(Commelina communis L.)의 잎 뒷면으로부터 얻은 온전한 표피층과 잠두(Vicia faba L)의 잎을 부분 분해하여 공변세포만을 남긴 표피층에 pertussis toxin을 처리하였을 때, 앱시스산에 의한 기공닫힘이 부분적으로 억제됨을 관찰하였다. 그러나 cholera toxin의 경우는 아무런 영향이 없었다. 공변세포만을 지닌 표피층에 pertussis toxin을 전처리한 후 앱시스산을 가했을 때, 앱시스산에 의한 IP3 양의 증가 양상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앱시스산에 의한 기공닫힘과정에는 pertussis toxin-sensitive, phospholipase C-linked G-protein이 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