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단백질분해효소

검색결과 1,074건 처리시간 0.03초

대두단백질 분해균주 Bacillks subtilis EB464의 선발 및 분해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Soy protein-degrading Strain, Bacillus subtilis EB464)

  • 박찬수;민대규;안용선;이지훈;홍순광;김정환;강대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10-215
    • /
    • 2002
  • 동물사료로 주로 이용되고 있는 대두박의 이용성을 높히기 위한 방안으로서, 전통발효식품에서 대두단백질 분해능력이 우수한 균주를 분리하여 동정하였으며 Bacillus subtilis EB464로 명명하였다. 분리된 B. subtilis EB464를 대두박에 접종하여 고체배양할 경우, 단백질 분해효소의 최고활성은 배양 24시간 후에 300 PC/g에 달하였으며, 72시간 배양후의 수용성 단백질 함량은 20.6%,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22.0%에 달하였다. B. subtilis EB464 균주가 분비하는 단백질분해효소의 최적 pH는 9.0,최적 온도는 $50^{\circ}C$E.확인되었다. 본 효소는 $40^{\circ}C$에서는 안정하였으나 $50^{\circ}C$ 이상에서는 효소활성이 급격히 실활되었으며, pH 6.0에서 10.0가지의 광범위한 pH에서 상당히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뽕나무에서 추출한 단백질 분해호소의 특성 (The Properties of Proteolytic Enzymes from the Mulberry (Morus alba L.))

  • 윤숙자;오성훈;장명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23-626
    • /
    • 1997
  • 뽕나무는 옛날 가정에서 질긴 쇠고기를 조리할 때 사용하였다고 하였는데, 실제로 육류 조리에의 이용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하여 우선 뽕나무 줄기의 속껍질에서 추출한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 및 특성을 알아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료 2,800 g으로부터 조효소 분말 2.25 g을 회수하였는데, 회수율은 0.08% (wet basis)이었다. 뽕나무에서 추출한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은 2,358 unit/g을 나타내었다. 효소의 특성 중 기질 특이성은 다른 단백질 기질에 대한 뽕나무에서 추출한 조효소의 효소활성을 조사해 본 결과 casein 100에 대하여 hemoglobin 44, collagen 34, egg white 20, gelatin 13의 비율로 가수분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 뽕나무에서 추출한 조효소의 기질 특이성은 육류에 주로 함유된 단백질인 hemoglobin과 collagen을 비교적 잘 가수분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뽕나무에서 추출한 조효소의 활성 온도는 30~6$0^{\circ}C$였고, 최적온도는 5$0^{\circ}C$로 나타났으며, 7$0^{\circ}C$ 이상의 온도에서는 그 활성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또한 pH를 달리한 역가 실험은 pH 5.0~7.0에서 안정하였고, 최적 pH는 6.0으로 관찰되어졌으며 8.0이상의 pH에서는 그 활성이 급격히 떨어졌다. 또한 뽕나무에서 추출한 조효소의 단백질 함량은 7.2%였고, specific activity는 32.75 unit/mg이었다.

  • PDF

Bacillus clausii I-52로부터 alkaline protease 유전자의 클로닝 및 발현 (Cloning and Expression of a Alkaline Protease from Bacillus clausii I-52)

  • 주한승;최장원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6호
    • /
    • pp.201-212
    • /
    • 2011
  • 인천 연안의 심하게 오염된 갯벌로부터 강력한 세포외 알카리성 단백질 분해효소를 생산하는 호알카리성 Bacillus clausii I-52를 분리하였으며, 이 균주로부터 알카리성 단백질 분해효소의 유전자를 cloning하여 서열 분석을 하였다. Chromosome 서열이 완전히 밝혀진 Bacillus subtilis의 서열을 기초로 하여 알카리성 단백질 분해효소 및 promoter를 포함하도록 primer를 고안하여 PCR을 수행하여 2,277 bp의 DNA 단편을 얻었으며 BLAST 분석 결과 29 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signal peptide, 77 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propeptide 및 275 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활성형의 BCAP으로 구성된 총 381 개의 아미노산을 코딩하는 1,143 bp의 open reading frame을 확인하였다. 활성형 BCAP의 N-말단 아미노산은 Ala이며, 분자량 및 pI 값은 각각 27698.7 Da과 6.30으로 계산되었다. 아미노산 상동성을 분석한 결과, B. subtilis 유래의 nattokinase precursor 및 B. subtilis BSn5 유래의 subtilisin E precursor와 99%의 서열 상동성을 나타내어 B. clausii I-52 유래의 BCAP은 subtilisin 계열의 단백질 분해효소임을 확인하였다. E. coli BL21(DE3)에서 발현한 재조합 BCAP는 N-Suc-Ala-Ala-Pro-Phe-pNA 를 효율적으로 분해하였다. Refolding한 재조합 BCAP은 전형적인 serine protease inhibitor인 PMSF에 의하여 강하게 효소 활성이 억제됨으로써 serine protease 계열의 단백질 분해효소임을 알 수 있었다.

중공사 막반응기에서 단백질용액의 한외여과시 유출속도에 미치는 Fouling의 영향 (Effects of Fouling on Permeate Flux during Ultrafiltration of Protein Solutions in a Hollow-Fiber Membrane Reactor)

  • 김세권;변희국이환근하진환
    • KSBB Journal
    • /
    • 제9권5호
    • /
    • pp.483-491
    • /
    • 1994
  • 중공사막 반응기를 이용한 유용단백질의 분리 빛 효소로 분해된 단백칠 가수분해물의 분자량별 분획 에 있어서 발생되는 fouling 현상은 투과유출속도의 감소와 막반응기의 효율적인 이용에 문제가 되는 주 된 원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공사막(MW 10,000 cut off)반응기를 이용하여 단백질(gelatin, milk casein 및 bovine serum albumin)을 연속적으 로 가수분해할 때 가수분해물의 한외여과에 있어 발생되는 fouling을 알아 보기 위해 막반응기의 작동 시간, 단백질 용액의 농도, 온도 빛 pH 변화에 따른 투과유출속도로 측정하였으며, 아울러 효소 첨가에 의한 생성물의 투과유출속도도 효소무첨가구와 비교 검토하였다. Gelatin용액의 초기 투과유출속도는 $19.3\ell/m^2.hr$로 작동시간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하였으며, casem 빛 albumin용액은 각각 작동시간 60 분 후에 초기 투과유출속도의 50% 빛 43%가 감소 하였다. 단백질 용액의 농도 빛 온도의 증가에 따른 투과유출속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pH 변 화에 따른 투과유출속도는 세 종류의 단백칠 모두­등전점 pH영역에서 가장 낮았다. Alcalase의 첨가 로 인한 gelatin 용액의 투과유출속도는 작동시간 40분까지 초기 투과유출속도에 비해 $7.51\ell/m^2.hr$증가하였으나, 불용성 단백질인 cas em 빛 albumin 용액의 투과유출속도는 초기 투과유출속도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이였다. 그러나 효소를 첨가하지 않았 을 경우보다는 향상되었다. 따라서 연속식 재순환 막효소반응기에셔 분해물의 투과유출속도는 단백질의 성질이 변하지 않는 온도범위 내에서 온도의 증가 및 등전점 pH영역을 벗어난 pH로 조정해야 하며, 불용성 단백질의 경우는 가수분해시 미리 단백질을 효소로 엘정시간 처리한 다음 재순환시키면 fouling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 PDF

어류의 사후 변화에 관여하는 단백질분해효소의 검색 (Activity Screening of the Proteolytic Enzymes Responsible for Post-mortem Degradation of Fish Tissues)

  • 변재형;이동수;김두상;허민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96-308
    • /
    • 1996
  • 혈합육어 (멸치와 전어)와 백색육어 (농어와 도다리)의 육과 내장에서 추출한 조효소에 대하여 천연기질 및 합성 기질에 대한 효소 활성과 disc-PAG 전기영동에서 분리된 효소 단백질의 분포를 선택적 합성기질을 써서 비교 검토하였다. 육에는 SH-proteinase인 cathepsin L, B, 및 H 유사 효소가 분포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이 밖에도 cathepsin G 및 D도 다소 분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리고 내장에는 강한 활성의 chymotrypsin 및 trypsin 유사 효소가 주로 분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육과 내장에서 추출한 조효소들은 공통적으로 멸치, 전어, 도다리 그리고 농어의 순으로 활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전체적으로 혈합육어에 분포되어 있는 효소가 백색육어류에 분포되어 있는 효소에 비하여 약 100배정도 높았다. 육과 내장의 조효소를 방어의 근원섬유단백질에 작용시킨 결과, 육 중의 조효소는 myosin heavy chain의 분해가 두드러졌으며, 특히 멸치의 효소가 근원섬유 단백질의 구성 subunit 모두에 대하여 강한 분해능을 보였다. 내장 조효소의 경우는 반응 초기에 myosin heavy chain과 actin을 현저하게 분해시켰으며, 혈합육어인 멸치와 전어 조효소의 분해능이 백색육어인 농어와 도다리의 조효소보다 강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육의 조효소는 어종에 따라 서로 다른 분해 양상을 보였으며, 내장 조효소는 혈합육어와 백색육어의 효소 활성뿐만 아니라 효소의 분포상으로도 많은 차이가 있었다.

  • PDF

VEGF와 HGF에 의해 유도된 U-373-MG 세포의 이동 및 침윤에 미치는 단백질분해효소의 효과 (Effect of Proteases on the Migration and Invasion of U-373-MG Cells Induced by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d Hepatocyte Growth Factor)

  • 전희영;김환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0호
    • /
    • pp.1189-1195
    • /
    • 2016
  •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와 hepatocyte growth factor (HGF)는 강력한 혈관신생 유도인자로 알려져 있다. 세포가 이동하고 침윤하기 위해서는 세포의 증식과 더불어 주변의 세포외기질을 분해하는 단백질분해효소의 분비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악성신경교종 유래 세포주인 U-373-MG 세포에 VEGF와 HGF를 처리하여 세포의 증식, matrix metalloproteinase-2 (MMP-2)와 MMP-9 및 플라스민의 분비, 세포의 이동 및 침윤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또한 단백질분해효소 억제제 처리를 통하여 세포의 증식, 이동 및 침윤에 미치는 단백질분해효소의 역할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VEGF와 HGF의 병용처리 시 VEGF와 HGF의 단독 처리 시보다 세포의 증식, MMP-2, MMP-9 및 플라스민의 분비, 세포의 이동 및 침윤이 유의할만하게 증가되었다. 한편 VEGF와 HGF 처리에 의한 U-373-MG 세포의 증식, 이동 및 침윤 증가에 미치는 단백질분해효소의 효과를 MMPs 억제제인 BB-94를 처리하여 조사한 결과 최대 이동 효과를 나타낸 HGF와 VEGF의 병용처리군 보다 세포의 이동이 32% 억제되었고 플라스민 억제제인 α2AP에 의해서도 29% 억제되었다. 또한 U-373-MG 세포의 침윤 역시 BB-94와 α2AP 처리에 의해 유의할 만하게 억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VEGF와 HGF에 의한 MMP-2, MMP-9 및 플라스민의 분비증가에 의해 직접 또는 간접적인 경로를 통하여 U-373-MG 세포의 증식, 이동 및 침윤을 증가시킨다고 여겨진다.

동해 심층수로부터 Pseudoalteromonas sp. HJ 47의 분리 및 체외단백질분해효소 특성 (Isolation of Pseudoalteromonas sp. HJ 47 from Deep Sea Water of East Sea and Characterization of its Extracellular Protease)

  • 차인태;임형준;노동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2호통권82호
    • /
    • pp.272-278
    • /
    • 2007
  • 단백질분해효소는 다른 단백질들의 아미노산 간에 존재하는 peptide 결합을 절단하며 생리학적, 상업적 측면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효소의 한 부류이다. 이러한 단백질분해효소의 새로운 공급원을 찾기 위하여 비교적 저온에서 체외단백질분해효소를 생산하는 세균을 동해심층수로부터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 중 저온에서의 생육정도와 높은 활성을 가지는 균주를 선별하여 HJ 47이라 명명하였다. 형태학적, 생리생화학적 특성과 16s rRNA gene의 염기서열을 조사한 후 Pseudoalteromonas sp.에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리된 Pseudoalteromonas sp. HJ 47은 $10^{\circ}C$에서도 비교적 잘 자랐으며, $37^{\circ}C$에서 최적의 생육을 보여 주었다. 최적생육온도와는 달리 배양시간당 최대 체외단백질분해효소의 생산은 $20^{\circ}C$에서 최대였고 대수기 후반과 정지기에 생산이 시작되어 15시간 경과 후 최대의 생산을 보여주었다. 효소활성의 최적온도는 $35^{\circ}C$, 최적 pH는 8로 판명되었다.

Streptomyces sp. SMF301에서 분리한 단백질 분해효소의 성질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roteases from Streptomyces sp. SMF301)

  • Jeong, Byeong Chul;Hyun Seung Shin;Kye Joon Lee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526-531
    • /
    • 1988
  • 방선균의 단백질 분해효소를 황산 암모늄분획, Sephadex G-75-50 gel filtration, DEAE-Sephadex A-50 ion-exchange chromatography, ultrafiltration 등의 과정을 통해 정제하였다. 염기성 단백질 분해 효소의 분자량은 SDS 전기영동에 의해 23,500 dalton 이었으며 Hammarsten casein에 대한 Km값은 0.8g/l였고 이때 Vmax값은 15.1 $\mu$mole/min/mg 이었다. 효소반응 최적 pH는 9.0이었고 최적 반응온도는 5$0^{\circ}C$였다. pH에 대한 안정성은 9.0-10.0 에서 최대로 안정하였고 5$0^{\circ}C$ 이상에서는 효소가 불활성화되었다. 중성단백질 분해효소의 분자량은 38900 dalton 이었으며 Hammarsten casein에 대한 Km값은 0.54g/l였고 이때 Vmax값은 12.4 $\mu$mole/min/mg이었다. 효소반응 최적 pH는 7.0이었고 최적 반응온도는 35$^{\circ}C$였다. pH 7.0-9.0에서는 안정하였으나 4$0^{\circ}C$ 이상에서는 신속하게 불활성화되었다.

  • PDF

Micrococcus sp. HJ19에서 체외분비 단백질 분해효소의 생산조건과 효소특성 (Production Condi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xtracellular Protease from Micrococcus sp. HJ-19)

  • 차인태;오용식;조운동;임채성;이제관;이오석;노동현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69-73
    • /
    • 2009
  • 단백질 분해효소는 아미노산 간에 존재하는 공유결합인 펩티드 결합을 절단하는 효소이며,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판매되는 효소이다. 해양 심층수로부터 분리된 Micrococcus sp. HJ19의 체외분비 단백질 분해효소를 생산하는 최적의 배지조건을 조사하기 위하여 기본배지로 변형 STY 배지(1% tryptone, 0.15% yeast extract, 0.01% NaCl, 여과살균한 바닷물)를 사용하였다. 탄소원으로 포도당보다 갈락토오스를 사용하였을 때 1.3배로 높은 활성을 보여주었으며, 질소원으로는 casamino acid를 사용하였을 때 가장 낮은 활성을 보여준 반면, 맥아추출물을 사용하였을 때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생산된 체외단백질 분해효소는 $35^{\circ}C$에서 최적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최적 pH는 8.5로 판명되었다.

단백질 분해효소를 분비하는 Micrococcus sp. HJ19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cterization of Micrococcus sp. HJ-19 Secreting Extracellular Protease)

  • 차인태;오용식;노동현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22-226
    • /
    • 2007
  • 단백질 분해효소는 아미노산간에 존재하는 peptide결합을 절단하는 효소로 산업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단백질 분해효소의 새로운 공급원을 찾기 위하여 체외 단백질 분해효소를 생산하는 세균을 둥해 심층수로부터 집식배양으로 분리하였다. 이들 중 빠른 성장과 skim milk를 첨가한 배지에서 가장 큰 투명환을 보여준 균주를 HJ19로 명명하였다. 분리균의 형태학적, 생리생화학적 특성과 16S rRNA gene의 염기서열을 조사한 결과 Micrococcus sp.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리된 Micrococcus sp. HJ19는 $10^{\circ}C$에서는 자라지 못하였으며 $20^{\circ}C$부터 생육과 효소활성을 보여주었다. 최적 생육 온도는 $37^{\circ}C$였으며, 효소 활성은 $30^{\circ}C$에서 약 480 unit/ml의 활성을 보여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