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단기요소

Search Result 27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of cyanobacteria in the river reach between Chilgok Weir and Gangjeong-Goryong Weir by lowering of the operation water level (보 수위 저하운영에 따른 칠곡보-강정고령보 구간 내 남조류의 시·공간 변동특성)

  • Park, Dae-yeon;Park, Hyung-seok;Chung, Se-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08-108
    • /
    • 2019
  • 낙동강에는 2010-2012년 4대강 사업 완료 후 8개의 다기능 보가 설치되었다. 보 설치로 인해 물의 체류시간이 증가하고 보 상류에는 정체수역이 광범위하게 형성되었다. 이후 지속된 가뭄과 여름철 고온현상이 겹치면서 남조류의 과잉성장(녹조현상)이 빈번히 발생하여 수생태계 건강성에 문제를 초래하는 등 사회적 이슈로 자리잡게 되었다. 조류의 과잉성장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총인(TP) 방류수 수질기준 강화, 펄스형 방류기법 운영 등 대책을 추진하였으며, 녹조 우심지역을 선정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대응방안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으나, 그 효과가 국부적이고 일시적이어서 근원적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남조류의 과잉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높은 영양염류(질소, 인)와 유기물 농도, 고온과 안정적인 성층강도, 그리고 남조류의 생리적 특성 등으로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정확한 발생 원인의 분석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러나, 보에 의해 흐름이 조절되는 하천에서는 유량, 유속 및 수온성층 등이 남조류 성장과 천이특성에 가장 민감한 영향을 미친다. 선행 연구사례에서는 유량과 남조류 생체량이 서로 반비례 관계를 가진다는 점과 상 하층간의 온도차(수온성층)가 남조류 우점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였다(Sherman et al. 1998). 따라서 최근 국내에서도 보의 관리수위를 낮추어 유속을 증가시키고 체류시간을 감소시켜 녹조문제를 완화하려는 노력이 추진 중이다. 하지만 하천의 수질은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요인들의 복잡한 상호작용의 결과이므로, 단기간의 측정 결과로 보 수위 저하의 효과를 평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를 과학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수리 수질 생태의 연동해석이 가능한 수치모델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수치모델은 매개변수를 충분히 보정한다면, 다른 모든 요인은 동일한 조건에서 보 수위 저하만의 영향을 예측하는데 활용가능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낙동강 수계 중류에 위치한 칠곡보-강정고령보 구간을 대상으로 3차원 수리 수질모델인 EFDC를 구축하고, 실측 자료를 이용하여 모델을 보정한 후 보 관리수위의 저하운영 시나리오에 따른 수질과 남조류의 시 공간적 변동 특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 PDF

A Study on the Tensional Relationship between Form and Function in a Building Constituted by Random Arrangement of Elements - Focused on the analysis of Sou Fujimoto's Children's Center for Psychiatric Rehabilitation - (요소의 무작위적 배치로 구성된 건축에 내재하는 형태와 기능 사이의 긴장 관계에 관한 연구 - 후지모토 소우의 정서장애 아동을 위한 단기 치료 시설의 분석을 중심으로 -)

  • Kee, Se-Ho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 /
    • v.35 no.8
    • /
    • pp.35-46
    • /
    • 2019
  • This study started from the interest about a theme repeated in a similar way among a group of architects in Japan. They argue that a building composed of random elements can lead to discoverable functions rather than fixed functions. Their work supports this to a certain extent, but at the same time raises the following two research questions. Can 'formal randomness' and 'functional discoverability' be completely identical? Does such a form sufficiently fulfill other functions of the building? In order to answer these two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 and function in the 'Children's Center for Psychiatric Rehabilitation' of Sou Fujimoto. The analysis proceeded in three steps. In the first step, I found that alcoves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functional discoverability by comparing scenarios with different conditions. At the same time, however, I could see that these alcoves were weakened in the process of functional adjustment. In the second step, I analyzed the final design and found Sou Fujimoto's response to the preceding problem. He thought that in-between alcoves created from formal randomness, were not enough and thus introduced a new method, cutting alcoves. This means that formal randomness alone does not fully guarantee both the functional discoverability and the fulfillment of the basic functions. In the third step, I searched for the significance of this problem through a brief comparison with other similar projects.

Genetic Studies on Heading-to-Ripening Period and Its Relationship to Yield Components in Barley I. Studies on maturity criteria in barley (대맥의 등숙일수와 수량구성요소와의 관계에 대한 유전연구 제I보 대맥의 생리적 성숙기 기준 설정)

  • Chun; J.U.;Lee, E.S.;Lee, H.S.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27 no.1
    • /
    • pp.49-54
    • /
    • 1982
  •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establish physiological maturity determination criteria with reference to visibly easy measurement in barley in 1980 at Suweon. Thirty-three cultivars and lines from 500 crossing blocks were classified into 4 heading groups, and 5 variables; moisture content, discoloration of awn, exsertion, lemma and flag leaf were measured. There were highly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heading date and ripening periods (r=-0.656$^{**}$ ), so early heading types had longer ripening periods. Comparing with the variables used for maturity determination, moisture content and discoloration of lemma were most sensitive to development of grain-filling. Those two variables, alone or in combination could be used to screen many genotypes of barley for physiological maturity. In determination of maturity with reference to visibly easy measurement, color of lemma changed stably and was the most useful way and discolor of flag leaf increased the accuracy of determination. The color of lemma at this time was Grayish yellow, and the mean moisture content was about 33 percent in 33 barley cultivars and lines.

  • PDF

Undrained and Drained Behaviors of Laterally-loaded Offshore Piles (배수조건에 따른 측방유동 해상말뚝의 거동특성)

  • Seo, Dong-Hee;Jeong, Sang-Seom;Kim, Young-Ho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24 no.8
    • /
    • pp.149-160
    • /
    • 2008
  • Offshore pile foundations are prone to lateral soil pressures resulting from embankment construction for the reclamation on deepwater soft clay. Since the 1990s, offshore reclamation has actively progressed in Korea, connecting with the development of Songdo newtown, Incheon newport, and Busan newport representatively. Special attention has been given to lateral soil-structure interaction problems related to passively-loaded offshore pile foundations. Based on a plane strain large deformation finite element (LDFE) approach,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into undrained (short-term) and drained (long-term) behavior of passively-loaded offshore pile foundation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major factors, such as soil profile, pile head boundary condition, magnitude of embankment load, and average degree of consolidation. The results allowed quantification of differences in the magnitude of lateral soil pressure acting on the piles between undrained and drained phases.

Multi-perspective User Preference Learning in a Chatting Domain (인터넷 채팅 도메인에서의 감성정보를 이용한 타관점 사용자 선호도 학습 방법)

  • Shin, Wook-Hyun;Jeong, Yoon-Jae;Myaeng, Sung-Hyon;Han, Kyoung-So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4 no.1
    • /
    • pp.1-8
    • /
    • 2009
  • Learning user's preference is a key issue in intelligent system such as personalized service. The study on user preference model has adapted simple user preference model, which determines a set of preferred keywords or topic, and weights to each target. In this paper, we recommend multi-perspective user preference model that factors sentiment information in the model. Based on the topicality and sentimental information processed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iques, it learns a user's preference. To handle timc-variant nature of user preference, user preference is calculated by session, short-term and long term. User evaluation is used to validate the effect of user preference teaming and it shows 86.52%, 86.28%, 87.22% of accuracy for topic interest, keyword interest, and keyword favorableness.

Healthcare Service Design Using Gamification Techniques - Focused on Office Environment - (게이미피케이션을 활용한 헬스케어서비스 디자인 - 오피스 환경을 중심으로 -)

  • Kim, Su Jin;Ryoo, Han Young
    • Design Convergence Study
    • /
    • v.15 no.5
    • /
    • pp.185-197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office healthcare UX scenarios using gamification techniques. Today, there is increased recognition of office workers' health, and gamification can be a great method to enhance their health. To design effective healthcare service for office workers, first, two levels of gamification design were identified―interface design level and gameplay experience design level. Second, office workers' health problems resulting from office work were collected from their blogs and 13 insights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Finally, 2 UX scenario implementing gamification in the workplace was proposed to promote healthy lifestyle behaviors for office workers.

Baseflow Varaiance Analysis using Runoff-Groundwater Linkage Model (지표-지하수 연동모형을 활용한 기저유량 변동특성 파악)

  • Yang, Dongseok;Lee, Seoro;Kang, Taeseong;Shin, Minhwan;Lim, Kyo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01-401
    • /
    • 2021
  • 최근 급격한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 강수량 등의 시·공간적 변화는 홍수, 가뭄 등과 같은 자연재해의 빈도와 규모를 증가시키고 있다. 특히 한강수계 주요 하천에서는 급격한 도시화 및 산업화로 인한 물 수요의 증가와 기후변화로 인한 강수량 감소 그리고 하천변 시설에서의 과다한 지하수 이용으로 인해 지하수위 변동이 발생하고 있다. 2017년 국가 지하수관측연보 및 지하수조사연보에 따르면 한강수계에 위치한 전체 569개 관정 중 암반층 관정과 충적층 관정의 최근 5년간 지하수위 평균 변동폭은 각각 3.91 m, 2.73 m로 조사되었으며, 10년 이상 장기관측 자료를 보유한 430개소 관정 중 228개소 관정에서 지하수위 하강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이처럼 강우나 하천수위 등 자연적인 원인과 양수, 유출 등 인위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지하수위의 하강은 지반 침하의 주요 원인이 되며, 하천 기저유출의 변화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저유출은 하천으로 단기 유출되는 지하수로 평수기 및 갈수기 하천 유량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건기시 하천 수질과 수생태계 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에 해당된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의한 이상가뭄 발생 등을 대비하기 위한 비상용수 또는 대체수자원으로서의 지하수 개발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에 따라 기저유량 확보 및 수질 개선 방안을 수립하는 것은 지속가능한 수자원 이용·관리 측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현재 활용되는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과 HSPF(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 Fortran) 수문모형의 경우 지표유출 모의에 있어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나 기저유량의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서는 지표하 수문거동 모의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지표하 수문거동 모의가 가능한 MODFLOW의 경우 지표유출을 모의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SWAT-MODFLOW 모형이 개발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SWAT-MODFLOW 모형을 활용하여 신둔천 유역을 대상으로 유량 및 지하수위 모의결과를 검보정하여 기저유량을 산정하고 변동특성을 분석하였다.

  • PDF

Impervious Surface Estimation of Jungnangcheon Basin Using Satellite Remote Sensing and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 (위성원격탐사와 분류 및 회귀트리를 이용한 중랑천 유역의 불투수층 추정)

  • Kim, Sooyoung;Heo, Jun-Haeng;Heo, Joon;Kim, SungHo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8 no.6D
    • /
    • pp.915-922
    • /
    • 2008
  • Impervious surface is an important index for the estimation of urbanization and the assessment of environmental change. In addition, impervious surface influences on short-term rainfall-runoff model during rainy season in hydrology. Recently, the necessity of impervious surface estimation is increased because the effect of impervious surface is increased by rapid urbanization. In this study, impervious surface estimation is performed by using remote sensing image such as Landsat-7 ETM+image with $30m{\times}30m$ spatial resolution and satellite image with $1m{\times}1m$ spatial resolution based on Jungnangcheon basin. A tasseled cap transformation and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transformation are applied to Landsat-7 ETM+ image to collect various predict variables. Moreover, the training data sets are collected by overlaying between Landsat-7 ETM+ image and satellite image, and CART(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 is applied to the training data sets. As a result, impervious surface prediction model is consisted and the impervious surface map is generated for Jungnangcheon basin.

Drought Assessment of Upland Crops using Soil Moisture, SPI, SGI (토양수분, 표준강수지수, 표준지하수위지수를 활용한 밭가뭄 평가)

  • Jeon, Min-Gi;Nam, Won-Ho;Ok, Jung-Heun;Hwang, Seon-Ah;Hur, Seung-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13-313
    • /
    • 2022
  • 일반적으로 가뭄은 특정지역에서 평균 이하의 강수량이 발생되는 현상으로, 강수량이 감소되면 토양수분, 하천수 수위, 저수지 수위, 지하수위 등이 순차적으로 감소한다. 수문학적 가뭄은 기상학적 가뭄 및 농업 가뭄에 비해 늦게 발현되는데, 이는 강수량의 부족이 토양수분, 하천수량, 지하수 및 저수지 수위 등과 같은 수문학적 시스템에 전이되는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뭄 피해를 경감하기 위해 지하수위 변동성을 이용하여 지하수 함양량을 추정함으로써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지하수위는 농촌 지하수 개발, 가뭄 및 홍수 예측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며, 강수량에 의한 변화가 지표수에 비해 느리게 나타나고 토양을 통과하는 특성으로 인해 단기 및 장기간의 변화 경향이 나타난다. 미국 지질조사국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에서는 지하수위를 월 단위로 보통 이하 (Below-normal), 보통 (Normal), 보통 이상 (Above-normal) 3단계로 구분하여 분포도를 작성하고 전체 관측기간 중 25% 이상에서 보통 이하 (Below-normal)로 나타나면 가뭄으로 판단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형, 유역을 고려한 지하수 수위 및 수질 현황과 변동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국 지하수위 관측망 688개소를 설치하고 운영 중에 있다. 또한, 농촌진흥청에서는 전국 농업기상대와 연계하여 토양수분관측망 (soil moisture monitoring network)을 구축하였으며, 표토 10 cm에 토양수분센서를 전국 168 지점에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수량을 기반으로 산정한 표준강수지수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와 지하수위를 기반으로 산정한 표준지하수위지수 (Standardized Groundwater Level Index, SGI), 토양수분관측망의 토양수분의 상관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밭작물 가뭄의 중요 요소인 토양수분 함량은 강수에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반면 지표수 및 지하수는 상대적으로 장기간의 강수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밭작물 지역의 가뭄 취약성을 관리하는 지표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etection and Monitoring of Multi Natural Disaster Considering on Heatwave and Drought (폭염 및 가뭄을 고려한 복합자연재해 감지 및 모니터링)

  • Lee, Hee-Jin;Nam, Won-Ho;Jeon, Min-Gi;Svoboda, Mark D.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11-311
    • /
    • 2022
  •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및 산업화로 인해 대규모 홍수, 가뭄, 폭염, 산불 등의 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재해 및 재난을 조기에 발견하고 최소화를 위한 대응 체계 및 관리방안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자연재해들의 특징은 추가 재해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으로 재해의 강도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재난 및 재해를 동시에 유발하는 형태로 변화하기 때문에, 단일자연재해 평가 기술을 바탕으로 복합자연재해에 대한 분석 및 감지가 진행되어야 한다.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기상 패턴의 변화 및 가뭄 발생빈도의 증가가 뚜렷하며, 국외에서는 폭염과 가뭄을 고려한 복합자연재해로 'Flash Drought'로 정의된 돌발가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폭염과 가뭄은 단순 강우 부족으로 인한 가뭄, 높은 기온으로 인한 폭염 등이 서로 독립적으로 발생하는 경우와 강우부족과 폭염의 지속으로 인한 상호연관성이 존재하는 복합자연재해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돌발가뭄은 강수 부족 또는 폭염이 지속되거나 강도가 높아질 경우, 지면온도가 상승하여 토양수분이 필요 이상으로 증발하여 단기간에 발생하는 초단기 가뭄으로 복합자연재해에 해당하며, 이러한 돌발가뭄은 농업분야에서 작물 생장 및 영농기 활동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모니터링 및 감지 기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문기상학적 요소를 활용하여 폭염 및 가뭄을 고려한 복합자연재해에 대한 상관분석을 수행하였다.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기상자료(일최고기온/평균기온/최저기온, 강수량, 상대습도, 일조량 등)에 대한 전국 76개소 대상 기상자료를 구축하였으며, Sentinel, Landsat, MODIS(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등과 같은 위성영상 자료를 구축하여 폭염과 가뭄에 대한 각각의 인자를 선정하고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복합자연재해 감지 및 예측 기술 개발에 활용하여 재해 예방 및 대응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