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다문화 내담자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초

한국으로 온 외국인 여성의 인권과 차별 사회복지사는 무엇을 했나?

  • 이해령
    • Social Workers
    • /
    • 1호통권45호
    • /
    • pp.16-19
    • /
    • 2006
  • 사회복지사들은 이주기혼여성들이 이주민이라는 특색을 고려하여 이들을 대하여야 한다. 특정 문화와 이를 수용하려는 자세가 되어있으면 지식습득이 빠르며 내담자와의 공감대 형성도 별 무리없이 이루어 지는 경향이 많기에 다문화 수용의 자세를 가져야 한다.

  • PDF

다문화 내담자를 위한 미술치료의 국내 연구동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Research Tendency of Domestic Art Therapy for Cli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

  • 김수민;김영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
    • 제19권16호
    • /
    • pp.471-494
    • /
    • 2019
  • 본 연구는 선행 논문들을 토대로 분석틀을 만들어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구성과 미술치료를 통한 기대 효과 등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문화 내담자를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도입하기 위해 임상적․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들을 수집하고 분석하는 문헌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그 논문들은 2006년부터 2018년에 출간되었고, 국내 데이터베이스 홈페이지인 Riss를 통하여 수집되었다. 학위논문들은 본 연구의 분석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본 연구는 기본정보 (발행연도, 발행처), 연구 대상, 연구방법(연구방법론, 주요변수), 프로그램(치료기법의 융합, 회기, 핵심어 분석)의 3가지 범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첫째, 다문화가정에 대한 연구는 2011년부터 활발히 진행되었고, 2016년까지 연구가 소극적으로 진행되었다. 그 이후 다문화가정의 자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으로 이주해온 여성들의 자녀들이 심리적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음을 반영하고 있다. 둘째,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주요변수와 치료기법 의 융합여부에 따라 내담자의 심리적 어려움을 탐색할 수 있었다. 그들의 심리적 어려움을 토대로 구성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내담자에게 더 효율적일 것이다. 셋째, 논문의 핵심어들 중 집단미술치료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집단미술치 료는 내담자들이 구성원 간의 서로 격려를 받아 목표에 도달 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마지막으로, 혼합 연구방법론과 양적 연구방법론과 비교하면 질적 연구방법론이 적용된 논문들의 양이 부족하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증명하기 위해서 양적 연 구방법론만을 사용하였을 때 연구를 발전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집단의 역동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질적 연구방법론의 장점을 이용하여 보완해야 한다.

결혼이주 여성의 가정생활 적응 사례연구를 통한 사회복지실천의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 of Social Welfare Practice a Case Study on Adaptation of Family Life to Married Women Migrant)

  • 허명준
    • 산업진흥연구
    • /
    • 제5권1호
    • /
    • pp.107-115
    • /
    • 2020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이 문화 간 차이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원만한 가정생활을 누리기 위해서 그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사회복지실천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에서는 첫째, 문화 간 차이 극복하기 위한 실천방안이 필요하다. 효과적인 문화 간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문화적으로 다양한 내담자를 위해 그들의 인종, 문화, 민족, 성별, 성적 지향의 배경에 부합하는 개입양식을 사용하고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다. 둘째, 전문교육인력의 양성이 필요하다.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기존의 사회복지 과목에 문화적 다양성에 관한 내용이 다루어져야 한다. 셋째, 관련법의 재정비가 필요하다. 다문화가족지원법은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한국가족문화의 이해라든가, 결혼이주여성 상담이라는 항목이 결여되어 있는 등 보완의 필요성이 계속해서 대두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결혼여성이민자들은 일상생활의 여러 측면에서 한국생활이 자국의 생활과 다르다는 점을 인식하게 되어 적응하는 과정에서 많은 인내심과 높은 수준의 노력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사회복지실천방안이 요구된다.

한국인의 공감 측정 도구에 관한 연구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KOREAN EMPATHY CONSTRUCT HATING SCALE)

  • KIM, MOON SIL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6-33
    • /
    • 1988
  • 내담자와 상담자간의 관계형성 추진에 관한 연구가 C. Rogers에 의해 시작된 이래, 돕는자 또는 상담자가 가져야 할 주요 조건으로서 공감, 존중, 온정, 확고부동함, 진지성, 자기노출, 직면반응 등을 들고 있으며 이중 둘 또는 세 요소 등을 선택하여 그 효과를 보고 있으나 역시 가장 주요한 요소로써는 공감을 들고 있다. 공감에 관한 연구는 그 본질의 정서적 측면, 인지적 측면 또는 복합적인 측면을 강조하면서 시도되고 있으나 간호원은 돕는자로써 환자의 문제해결을 위한 전수자적 역할을 해야한다는 점을 고려할때 간호현상에서의 공감에 관한 연구는 복합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공감이 어 야 한다고 생각한다. 간호학자들도 간호원의 돕는 행위중 주요 요소로써 공감을 들고 있으며 특히 Lamonica는 공감측정을 위한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공감이란 환자가 간호원이 환자의 입장을 이해하고 도와준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그 고마움을 표현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였다. 본 연구자는 간호원-환자간의 촉진적 관계형성을 위한 교육내용 개발에 대한 기본 연구로써 한국인의 공감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개발의 중요성을 느껴 Lamonica 의 공감측정 도구를 번역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미국문화권에서 사용되는 공감측정 도구가 한국인에게 적합하고 의미있게 번역되었는지를 확인하고 또한 한국인이 인지한 공감에 대한 탐색을 하는데 있다. 위 목적달성을 위하여 횡문화적 연구과정을 통한 개념분석, 도구 개발에 대한 통계분석을 시도하였다. 한국인의 공감 개념 분석을 위하여 미국 텍사스 오스틴에 있는 한국인에게 공감의 뜻, 동의어, 어떤 경우에 공감을 느꼈는지, 어떤 경우에 비공감적임을 느꼈는지를 물은 결과 한국인이 갖는 공감의 의미는 미국인의 것과 유사하지만 그 표현방법의 차이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두 국가에서 사용되는 공감의 의미가 유사하고 또한 간호학자인 Lamonica가 개발한 공감측정 도구를 한국인에게 사용하는데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도구의 번역은 텍사스 주립대학 박사과정 지원생인 임상 심리 학자에게 의뢰하고 그 정확성을 판단하기 위해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학문을 연구하는 한국인(간호학, 사회학, 신문방송, 광고학, 심리학 전공)에게 그 정확성 유무를 물어 최고 27점, 최하 9점중 22점 미만인 문항에 대해서는 미국 간호학자와 의논하여 수정ㆍ보완하였다. 그 후 일반인으로 간주되는 한국인에게 그 도구의 이해 여부를 확인한 후 통계분석을 시도하였다. 대상자는 미국 텍사스 오스틴에 거주하면서 한국을 떠난지 3년 미만인 성인 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차에 걸친 자료수집 과정상 5명의 자료는 분석 불가능하다고 판단되어 총 40명의 자료를 spss- X를 이용하여 cronbach's alpha, test-retest stability, intercorrelation matrix 분석을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cronbach's alpha는 1차 .9353 2차 .9666으로써 문항의 동질성을 보였고, 3, 4주 간격으로 행한 test-retest stability는 .7619(p=000)이였다. 2) 반면에 intercorrelation matrix에서는 역관계 또는 무관계를 보였으며 84문항중 26문항의 item-to-total correlation값이 .35미만이었고 이 중 16문항은 .30 미만이었다. 이들을 제외한 68문항과 58문항의 각각의 item-to-total correlation간은 .96이었고 test retest stability 역시 .76으로써 84문항 전체에 관한 값과 유사하였다. 3) 역상관 또는 무상관의 값을 보인 문항을 미국 간호학자와 재검토한 결과 본래 문항에서의 단어 의미가 복합적이거나 불분명한 것이었고 또는 미국 문화권에서 사용되는 특이한 용어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한국인 공감 측정 도구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역통역을 시도하였다. 그후 공감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는 미국 학자에게 그 정확성을 판단하여 최종적으로 58문항이 한국인 공감측정 도구로서 적합하다는 판단을 하였다. 위 결과를 통한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인간의 행위는 조건화된 문화권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이것은 같은 현상을 인지하는데도 영향을 미치게 되며 본 연구와 같이 어떤 현상에 대한 횡문화적 연구는 그 행위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그러나 한국에서 간호에 대한 연구가 한국적 토착화 과정에 있으므로 그 연구 방법이나 도구사용이 서구의 것을 도입해야 하는 입장을 고려할 때 도구번역 과정은 원래의 의미나 함축성을 내포한 번역이어야 하며 소홀히 해서는 안될 과정임을 재확인되었다. 또한 추후 연구로써 다양한 계층의 다수를 대상으로 한 한국인 공감 측정 도구의 타당성을 재확인해야 하며 요인분석을 시도할 필요성이 있다고 사려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