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다모류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2초

가막만의 저서다모류군집 (Benthic Polychaetous Community in Kamak Bay, Southern Coast of Korea)

  • 신현철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50-261
    • /
    • 1995
  • 본 연구는 남해안 가막만의 저서다모류군집의 분포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1993 년 여름에 수행되었다. 다모류는 전체 저서동물중 개체수에 있어서 74.5%를 점하는 가 장 우점하는 동물군으로서 총 84종이 채집되었으며, 평균 서식밀도는 253 indiv.m/SUP -2/ 이었다. 대체로 가막만의 내해역과 의해역을 연결하는 북동쪽 수로와 남쪽 입구역 부근에서 출현 종수가 많았고 서식밀도가 높았다. 우점하는 다모류는 Tharyxsp sp.(31.9%), Lumbrineris longifolia (27.5%), Chone sp.(4.5%), Glycera chirori(4.2%) 등이었다. 조화분석 결과 가막만은 저서다모류의 종수와 서식밀도에 따 라 4개의 구역으로 나뉘어졌다. 만의 양쪽 입구에 해당되는 북동수로와 암쪽입구역은 Tharyx-Chone 군집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막만에서 저서다모류상이 가장 풍부한 해역 이었다. 반면 북서내만역과 백야도 인근해역은 저서동물의 서식이 거의 불가능할 정도 로 다모류가 빈약한 해역이다. 그리고 만의 중앙에 위치하는 해역은 Praxillella-Terebellides 군집이, 중앙의 구릉역에는 Glycera군집이 형성되어 있으 며, 종수 및 서식밀도에 있어서 만의 입구역과 북서내만역의 점이역에 해당되는 해역 이라 할 수 있다. 즉 가막만은 양 입구역만 해수교안이 불량하고, 과다한 퇴적물내 유 기물 함량, 저층수의 낮은 용존산소 농도로 인하여 빈약한 다모류 군집이 형성되어 있 다.

  • PDF

황해의 저서군집내에서 다모류의 중요성과 종조성 (Quantitative import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polychaetes in the benthic community of the Yellow Sea)

  • 이재학;진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89-195
    • /
    • 1989
  • 본 연구는 1982년 8월부터 1986년 2월 까지 5년에 걸쳐 계절별로 한반도에 인접한 황해의 저서다모류를 대상으로 정량 채집하여 다모류의 중요성과 종조성을 파악하였다. 다모류의 비중은 전 저서동물군 중에서 가장 높은 $35.1\~46.4\%$의 조성률을 나타내었고, 생체양에 있어서는 극피동물이나 연체동물군이 우점군으로 나타났으나 그들의 계절적 변화 폭이 일정하지 않고 매우 다양했다. 채집도구에 따른 다모류의 비중은 드레지(dre-dge)를 사용할 경우 채이기(grab)의 경우보다 약간 낮은 조성률을 나타내었다. 이는 드레지의 경우가 훨씬 더 퇴적물의 표층부분만을 예인하기 때문이었으며 다모류의 조성률도 다소 낮은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기간 중 출현한 다모류는 모두 141종으로 나타났으며 이 해역에서의 대표종은Spiophanes bormbyx, Ampharete arctica, Geniada maulata, Nephtys caeca, Nothria iridescens이었다.

  • PDF

저서동물에 의한 여름철 광양만의 저서환경 평가

  • 최진우;이우진;유옥환
    • 한국환경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생물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
    • /
    • pp.81-106
    • /
    • 2002
  • 여름철 광양만의 저서환경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2001년 6월 광양만의 38개 조사정점에서 대형저서동물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은 총 154종이었고, 다모류가 출현종수와 개체수에서 가장 우점한 동물분류군이었다. 다모류의 Tharyx sp. (44.8 %), Lumbrineris longifolia (14.0%), 이매패류의 Mytilus edulis (6.5 %), 단각류의 Corophium sinense (4.5 %), 다모류의 Heteromastus filiformis (3.6 %), Sigambra tentaculata (1.7 %) 등이 주요 우점종이었다. 광양만의 묘도 서쪽에 위치한 정점들에서 종수와 개체수가 적었고, 광양만의 주수로역에서 풍부한 생물상을 보였다. 군집분석결과 7개 정점군으로 구분되었으며, 광양만의 서부해역은 종조성이 다양한 군집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저서오염지수(BPI)와 생물계수(BC)에 의한 저서군집의 건강도지수에서는 주수로역의 일부 정점을 제외한 전 정점이 현재 정상적인 상태에 있었지만, 광양만 입구지역에서는 유기물오염에 잘 적응한 다모류의 대량 출현이 있었다.

  • PDF

한국 동해 대륙붕 및 대륙사면에서의 다모류 분포 (Distribution Pattern of Polychaete Worms on the Continental Shelf and Slope of the East Sea (Southwestern Sea of Japan), Korea)

  • 최진우;고철환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6-48
    • /
    • 1990
  • 본 연구는 동해의 대륙붕 및 대륙사면에서의 다모류 군집의 종 조성과 분포을 알 기 위해 수행되었다. 다모류의 채집은 1985년 4월에 1987년 4월, 10월의 3회의 항해 동안 이루어졌다. 채집된 다모류는 총 36과 112 종이었으며, 우점다모류는 Chaetozone setosa, Aglaophanus malmgrent Ampharete arctica Lerchellules horikoshii, Tharyx sp., 와 Magelona pacifica 등이었다. 본 조사지역의 다모류 군집에 대한 주요 기여종 들은 복반부의 냉수종들이었다. 특히 우점종들은 대륙붕에서부터 대륙사면 상부 혹은 중부에서 주로 분포하며, 특정 서식 깊이를 보였다. 전반적인 평균서식밀도를 300개체 / m$^2$이며, 송풍부도는 15종/0.2 m$^2$ 정도이다. 평균서믹밀도와 종풍부도지수는 600 m 나 그 이상의 수심에서 뚜렷한 변화를 보였다. 우점종의 평균서식밀도와 밀접한 상관 관계를 보인 물리적 환경은 수심, 수온, 니질함량, 평균입도 등이었다.

  • PDF

동해 발전소 주변의 저서다모류 군집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Environmental Effects on the Benthic Polychaete Communities Around the Power Plant Areas in the East Sea of Korea)

  • 권순현;이재학;유옥환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2권1호
    • /
    • pp.18-30
    • /
    • 2017
  • 저서퇴적상은 다모류 군집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고 있지만, 다양한 퇴적상을 가지는 온배수 지역에서 저서다모류 서식에 영향을 주는 환경 요인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동해 연안 저서다모류의 종 조성 및 군집 분포에 따른 공간적 분포 양상을 파악하였고, 이에 영향을 미친 환경요인들을 측정하였으며, 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온배수와 퇴적상의 차이가 저서다모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저서다모류 군집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6년 8월에서 2013년 2월까지 온배수 영향이 있는 울진, 고리 지역과 비교대상 지역인 후포 지역을 포함한 세 지역에서 생물을 채집하였다. 조사결과 총 283종, 평균 4,912개체/$m^2$의 저서다모류가 출현하였다. 주요 우점종으로는 Spiophanes bombyx, Magelona japonica, Lumbrineris longifolia, Sternaspis scutata 등 이었으며, 울진과 후포지역은 S. bombyx, 고리 지역은 M. japonica가 최우점 출현하여 지역별로 차이가 있었다. Lumbrineris longifolia와 M. japonica는 일반적인 동해 연안에 많은 수로 우점 서식하지만 조사지역의 발전소 취 배수구 지역에 거의 출현하지 않아 발전소 취 배수구 지역의 인위적인 환경교란이 저서다모류 종 조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지역을 종합하여 다모류 군집 분석을 실시 한 결과 퇴적물 내의 총 유기탄소량과 퇴적물의 입도, 퇴적상에 따른 군집으로 나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다모류의 군집구조는 발전소 온배수 및 취 배수구의 인위적인 환경 교란에 의한 영향은 발전소 취 배수구 주변에 국한되며 그 이외의 지역에서는 퇴적물 내의 총 유기탄소량과 퇴적물의 입도 등 지역 간 퇴적상 조성에 보다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여겨진다.

우리나라 서·남해안에서 출현하는 다모류를 통한 해역의 생태등급 산정 (Assessment of Ecological Grade Based on Polychaete Fauna in the Western and Southern Coast of Korea)

  • 백상규;박흥식;윤성규;제종길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89-104
    • /
    • 2005
  • 우리나라 서 남해안에 위치한 59개 갯벌의 다모류 출현 양상을 바탕으로 갯벌의 생태등급을 평가하였다. 갯벌의 생태등급 평가는 다모류의 분포밀도, 다양성, 풍부성, 자원적 가치, 종 위험도 등의 생물학적인 자료와 해안선의 자연성, 훼손 가능성, 지형경관 등의 인문지리학적인 면을 평가기준으로 하였다. 조사지역에서 출현한 다모류는 총 14목 37과 181종이었으며, 각 조사지역의 생태등급은 다음과 같다. I 등급 4개 지역(충남 학암포, 전남 우이도와 거문도, 경남 비진도와 매물도), II 등급 30개 지역, III 등급 19개 지역, IV 등급 4개 지역이었다. 이번 조사 결과 생태등급 기준에 대한 보다 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선정된 각 해역의 생태등급에 따른 정기적인 생물 조사 및 생태계 위협요인의 제거와 같은 실질적인 관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생물상 및 자연성이 높은 생태등급 지역의 경우 보다 적극적인 보전 노력이 요구된다.

  • PDF

황해의 저서군집내에서 다모류의 분포유형 (Distributional Pattern of Polychaetes in the Benthic Community of the Yellow Sea)

  • 이재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24-229
    • /
    • 1987
  • 본 연구는 1982연 8월부터 5년에 걸쳐 한반도에 인접한 황해의 저서동물을 대상으로 정량채집하여 그중 다모류의 분포유형을 밝히고 저서군집내에서의 특징적인 다모류의 종류와 그들의 생물학적 특성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다모류의 저식환경이 따른 분포유형을 보면 온수종은 18종, 냉수종은 22종, 범세계종은 20종, 고유종은 29종, 태평양연안종은 7종이었으며 퇴적물의 특성에 따라서 분류할 경우 사질상에 특징적인 종은 Anaitides koreana, Aglaophamus sinensis, Nephtys polybranchia, Nephtys caeca, Glycera capiteta, Scoloplos armiger 등이, 이질상에 특징적인 종은 Haploscoloplos elongatus와 Ophelina aulogaster가 밟혀졌다. 본 조사해역의 저저군집은 우점하는 저서생물상에 의해 6개 저서군집으로 구분되어 각 군집은 저서구역의 생태적인 특징에 따라 다모류의 종류가 밟혀졌다. 전반적으로 황해는 Ophiura kinbergi, Amphioplus megapomus 및 Luidia quinaria 등 극피동물의 분포구역이 많고 서식밀도에 있어서도 매우 높아 이들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었다.

  • PDF

광양제철소 건설을 위한 매립과 준설공사 기간중 저서 다모류 군집의 공간 및 계절 변화 (Spatial and Seasonal Patterns of Polychaete Community During the Reclamation and Dredging Activitie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Pohang Steel Mill Company in Kwangyang Bay, Korea)

  • 정래홍;홍재상;이재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730-743
    • /
    • 1997
  • 본 연구는 광양제철소 건설을 위해 매립과 준설이 행해지고 있던 시기인 1983년 8월과 1984년 2월에 이와 같은 대규모의 환경교란이 다모류 군집 구조 및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여름철의 다모류 군집은 총 76종이 출현하였으며, 평균밀도는 $342\;ind.{\cdot}m^{-2}$, 겨울철에는 76종, $437\;ind.{\cdot}m^{-2}$의 밀도를 보였다. 종수 및 밀도의 지역적인 분포 양상은 섬진강 하구역에서는 낮은 종수와 다양도, 수로지역에서는 높은 출현종수와 다양도, 그리고 묘도 서쪽 내만역에 서는 종수, 다양도, 밀도 모두가 중간정도의 값을 기록했다. 하계 다모류군집의 집괴분석 결과 5개의 정점군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이런 결과는 광양만에서의 다모류 군집이 섬진강에서 유입되는 담수 및 퇴적환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겨울철 군집의 분석 결과는 하계와는 다소 상이 한 결과를 보였다. 우점종의 조성에 있어서도 1982년도의 조사시 (Choi and Koh, 1984) 우점종이던 Lagis bocki와 Chone teres가 다모류군집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감소한 반면 본 조사시에는 Glycinde gurjanovae와 Heteromastus filiformis의 개체군은 점차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Shin and Koh (1990)와 Jung et al. (1995)의 결과와 비교해 볼 때 광양만에서 행해진 대규모의 매립 및 준설은 저서 다모류군집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본 조사기간 동안에는 저서다모류 군집이 서서히 변해가는 과정중의 중간단계에 처해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한국 서해 군새외해의 저서 다모류 분포와 섭식조합 (The Distribution and Feeding Guilds of the Polychaete Community in the West Coast off Kunsan, Korea)

  • 최진우;고철환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97-209
    • /
    • 1992
  • 황해 남서부인 군산외해역에 서식하는 저서 다모류군집의 분포특징과 그들의 섭식 조합을 조사하기 위하여 Veen grab 채집기를 사용하여 24개 장점에서 저서동물을 채집 하였다. 총출현 다모류는 30개과에 속하는 54종이었게, 조사해역의 평균서식밀도는 약 300개체/ m$^2$였다. 주요 우점종으로는 Sternaspis scutata (10%), Notomastus sp. (10%). Lumbrineris cruzensis (9.7%), Nephtys polybrqanchia (5.6%), Praxillella affinis (5.2%) 등이었다. 주요 우점종의 출현은 퇴적상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사질 퇴적상에서는 N. Polybranchia Prionospio pinnata, Spiophanes bombyx 등이, 니질퇴 적상에서는 S. scutata L. cruzensis, Goniada maculata 등이 나머지는 혼합퇴적물상 에서 그들의 주 출현량을 보였다. 다모류의 섭식조합은 12가지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BMX(표층하퇴적물식정, 운동성, 균육질 주둥이)가 출현빈도(19개 장점)나 출현량(전체의 26%)에 있어서 가장 높았다. 각 섭식조합별로 퇴적상에 대한 선호도를 보였는데, 니질퇴적상에서는 표층하퇴적물식성, 운동성 및 비촉수성 다모류가 우세하 여 섭식조합 BMX와 BMJ 등이 많이 출현하였고, 반면 사질퇴적상에서는 여과식성, 고착 성 및 촉수를 가진 FDT와 SST 등의 섭식조합이 우점하였다.

  • PDF

光陽灣의 多毛類群集에 관한 硏究 (A Study on the Polychaete Community Kwangyang Bay, Southern Coast of Korea)

  • 최진우;고철환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53-162
    • /
    • 1984
  • 본 연구의 목적은 潮下帶 軟性低質에 서식하는 多毛類 群集을 중심으로 이들의 종조성, 종다양성, 별 분포의 특징 및 食餌型 등과 환경과의 관계를 논의 코져 함이다. 대상자는 光陽灣으로 만내의 25개 조사기점을 선정, 1982년 7월에 조사가 실시되었다. 출현 다모류는 총 63속 70종으로 개체수의 견지에서 중요 출현종은 Lagis bocki (20%), Lumbrineris longifolia (10%), Chohe teres (7%), Sternaspis scutata (5%) 등이다. 최적물상에 따른 多毛類의 출현개체수는 泥沙質 에서 가장 높으며 泥質퇴적상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食餌형에 따른 출현개체수로는 表層下堆積物食者가 광양만 전체에 걸쳐 우세하게 나타나고 (58.4%), 表層堆積物食者(21.4%), 肉食者(11.1%), 濾過食者(9.1%) 순으로 그 출현 빈도가 감소한다. 光陽灣의 다모류군집은 현존량, 우점종, 종다양성 및 食餌型조성 등의 결과에 의해 沙質환경의 델타군집, 泥質환경의 內灣군집 및 泥沙質환경인 水路군집 등 3개 군집으로 대별된다. 各 多毛類 群集에 影響을 주는 환경요인을 보면 델타지역의 다모류 群集은 沙質퇴적상과 강한 潮流에 의한 堆積物의 不安定性, 낮은 有機物 含量에 의한 먹이부족 등이며, 內灣지역의 다모류군집은 퇴적물내 溶存酸素의 부족에 의해, 水路 지역의 다모류군집은 외부로부터의 먹이공급,저질의 다양한 미도조성,종간경쟁,포식,간철다모류에 의한 퇴적물의 안전성등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다.특히 이.화학적 환경조건이 유사한 곳에서는 생물학적인 상호작용이 다모류 군집구조에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