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다리통증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1초

치과위생사의 스켈링 작업 시 발현되는 두경부 및 견부 주위 근육들의 표면 근전도를 이용한 특성 분석 (Analysis Characteristic the Using Surface Electromyography of Head Neck and Around of Shoulder Muscles Express Scaling Working of the Dental Hygienist)

  • 전은숙;남건우;하미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37-442
    • /
    • 2012
  • 이 연구는 20명의 치위생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스켈링 실습 시 발현되는 근육들의 활성도와 통증부위를 파악하여 치과위생사의 작업자세에 따른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스켈링 시 근활성도의 측정은 free EMG를 이용하였고, 근골격계 통증부위를 알아보기 위해 Nordicstyle 설문지를 이용하여 측정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세에 따른 스켈링 시 통증의 발현은 팔꿈치, 등, 다리, 무릎, 발목/발은 그룹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목, 어깨, 손목/손, 허리에서는 자세에 따라 통증의 정도 차이가 높게 나타났다. 2. 자세에 따른 근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올바른 자세를 가진 그룹에서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승모근과 상완요골근에서 변화를 보였고, 나쁜 자세를 가진 그룹에서는 후두부근, 상승모근, 상완요골근에서 근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다. 3. 근활성도에서 두 군간의 변화양상은 좋은 자세로 스켈링을 실시한 그룹에서는 낮은 근활성도를 보였으나, 나쁜자세로 스켈링을 실시한 그룹에서는 근활성도가 과하게 증가되었다. 따라서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며 스켈링을 실시하는 것이 근육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데 도움이 되었음을 알수 있었고, 앞으로 임상에서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여 직무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전방 슬관절 동통 증후군 및 경부목 (Anterior Knee Pain Syndrome & Shin Splint)

  • 김영진;전철홍;이지완;추지웅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7-15
    • /
    • 2010
  • 전방 슬관절 동통 증후군은 여러 가지 형태의 다양한 원인으로 서서히 양측 슬개-대퇴 관절 내 또는 주위에 동통을 야기하는 증상이다. 원인으로는 하지의 부적절한 생역학, 전체적인 신전 기전의 병변, 슬개-대퇴 관절 병변, 슬개골 자체의 병변 또는 부정정렬, 단단한 연부조직, 약화된 근육 등이며, 전방 슬관절 동통 증후군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슬개골 정열의 측정이 필요하고 현재 이학적 검사 및 방사선 검사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어 진단 및 치료 정도를 평가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치료는 슬관절 전방 통증의 원인에 따라 결정되며, 주로 수술적 치료보다는 약물 치료나 대퇴사두근 근력 강화 운동, 함스트링 스트레칭운동 등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경부목 또는 내측 경골 스트레스 증후군은 전내측 경골 원위 2/3 부위에서 발생되는 통증을 의미하며, 반복적이고 조화되지 않는 충격이 하퇴부에 가해지는 스포츠를 하는 체육인에게 흔히 발생된다. 문제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여 진단하는 것이 치료에 매우 중요하며, 따라서 원인, 치료, 재활 및 예방까지 여러 이론이 보고되었다. 치료는 통증이 심할 경우 휴식과 함께 얼음찜질을 실시하며, 진통제를 복용하여 통증을 완화시켜 주는 것이 좋으며, 또한 다리 근육을 강화시켜 줄 수 있는 운동을 하며, 적절한 재활과 예방적 처치가 추후 재발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 PDF

근육 근막 장애가 자세균형에 미치는 시각적 분석 (The Visual Analysis of Myofascial Syndrome on Balance Posture)

  • 박영한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9권1호
    • /
    • pp.177-184
    • /
    • 1997
  • 인체가 균형상태에 있지않게 되면 중력으로부터 보상작용은 과도한 에너지소비로 구축을 야기시켜 이차적질병과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고 약한 충격에서도 손상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물리적 외상, 염증이나 감염의 진행으로부터 오는 구조적 불균형은 부적절한 근막의 긴장으로 초래하게 되고 이 긴장은 근육근막의 제한으로 신체에 기묘한 비특이적 반응으로 나타나 피부분절과 일치하지 않고 무관한 것처럼 보이나 통증이나 기능이상을 초래하여 그 인접관절과 근육에 기능적으로 방해가 되어 중력으로부터 정상적인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고 신체의 불균형을 초래하게된다. 신체의 어느 한부분의 근육근막 제한은 인체전체의 균형을 파괴하여 골반 왜곡 또는 다리길이가 불일치한 경우도 나타나며 요천추부위에 긴장을 초래하게 되어 기능장애나 유연성이 감소되어 운동제한과 통증이 생기고 외상이 발생하기 쉽다. 1. 인체는 강력한 근막망(powerfull fascial network)의 상호관련된 통합된 전체로 보아야 한다. 2. 근막은 신체구조들의 응집을 방지, 지지해줄 뿐만아니라 외부로부터 충격을 적절히 분산하여 신체적 균형을 유지시킨다. 3. 근막의 장애는 근육긴장과 경축이 생기고 이완되지 않으면 근육결절로 진행하여 동통을 유발한다. 4. 근막장애는 탄력과 단축을 잃게하고 유연성이 없어져 중력으로부터 지지하는 능력이 떨어져 자세의 변화를 가져온다. 5. 국소부위의 근막장애는 중력으로부터 지탱하려는 인접관절과 근육에 영향을 미쳐 인체전체의 자세에 뷸균형을 초래한다. 6. 자세분석은 근육근막장애에 따른 중력의 역학적 변화를 고려하여 평가하여 분석하여야 것이다.

  • PDF

초음파 유도 하 일회성 넙다리신경블록이 슬관절 전치환술 후 통증에 미치는 영향: 0.25% Levobupivacaine과 0.5% Levobupivacaine 주입의 비교 (Effect of Single-injection Femoral Nerve Block Using Real-time Ultrasound on the Postoperative Pain after Bilateral Total Knee Arthroplasty: 0.25% vs 0.5% Levobupivacaine)

  • 김윤주;김윤진;김동연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2권3호
    • /
    • pp.234-240
    • /
    • 2009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nalgesic effect of 0.25% and 0.5% levobupivacaine for real time ultrasound guided single-injection femoral nerve block for the patients who are undergoing bilateral total knee arthroplasty (TKA). Methods: Femoral nerve block was done to all patients with 20 ml of 0.9% normal saline on one leg and 20 ml of 0.25% levobupivacaine on the other leg for group I (n = 16) and 0.5% levobupivacaine for group II (n = 15) with 1:200,000 epinephrine and using real-time ultrasound and a nerve stimulator. The data concerning the verbal numerical rating scale (VNRS) for each leg, the consumption of the intravenous patient-controlled analgesia (IV PCA) and the demands for the additional analgesics was collected at 0, 1, 6, 12, 24 and 48 hours after the operation. Results: The legs on which femoral nerve block was done with levobupivacaine showed a lower VNRS score than the legs with normal saline in either group I or group II. The VNRS scores between the two legs, the consumption of the IV PCA and the demand for additional analgesic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s: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single-injection femoral nerve block using real-time ultrasound with either 0.25% levobupivacaine or 0.5% levobupivacaine 20 ml provides a good effect for the postoperative pain control after TKA.

협응이동훈련과 슬링운동 결합 프로그램이 무릎넙다리통증 환자의 무릎통증 및 기능적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 단일사례 연구 (Effect of CLT and Sling Exercise Combined Program on Knee Pain in Patellofemoral Pain Patient: A Single-Subject Study)

  • 김성환;유성훈;박세진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73-81
    • /
    • 2019
  • Background: Patellofemoral pain is one of the common diseases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Many previous studies have recommended the application of exercise therapy to patellofemoral pain patients for trea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 of coordinative locomotor training (CLT) and sling exercise combined program on knee pain and functional movement in patellofemoral pain patient. Methods: In this study, single-subject design (A-B-A') was conducted for 6 weeks. A repeted-measure analysis was conducted to assess results of the anterior knee pain scale (AKPS), Clarke's test (CT), eccentric step down test (ESDT). During the intervention (B), the CLT and sling exercise combined program was conducted three times a week for 4 weeks. Results: From baseline period A to intervention period B, the AKPS, CT, ESDT were improved from 61 to 48 (27%), from 8.33 to 3 (64%), from 7.67 to 3,58 (53%). From baseline period A to baseline period A', the AKPS, CT, ESDT were improved from 70.67 to 48 (47%), from 0.67 to 3 (92%), from 1.33 to 3,58 (83%).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recommend the application of CLT and sling exercise combined program to improve the pain and functional movement in patellofemoral pain patients.

탄력밴드를 이용한 협응이동훈련이 무릎넙다리통증 증후군을 가진 여자 대학생의 통증과 근력, 동적 균형,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ordinative Locomotor Training using Elastic Band on Pain, Muscle Strength, Dynamic Balance and Muscle Activity of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 이한결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9-71
    • /
    • 2023
  • Background: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ordinative locomotor training(CLT) using elastic bands on pain, dynamic balance, muscle strength, and muscle activity of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PFPS). Desig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Twenty-six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PFPS were assigned randomly to an experimental(n=13) or control(n=13)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CLT using an elastic band. The control group performed squat exercises to strengthen muscle strength. The 30-minute inter- vention was applied a total of twelve times, three times a week for four weeks. All subjects measured the pain, the muscle strength, the dynamic balance, and the muscle activity(VL/VM ratio)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A paired t-test was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treatment, and an independent t-test was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differences between treatment groups. Results: As a result of comparison within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in, muscle strength, dynamic balance, and VL/VM ratio after the experiment(p<0.05),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in, muscle strength, and dynamic balance after the experiment(p<0.05). In comparison between the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in, dynamic balance, and VL/VM ratio than the control group(p<0.05),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uscle strength than the experimental group(p<0.05).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CLT using elastic bands effectively improved the pain, muscle strength, dynamic balance, and VL/VM ratio of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PFPS.

혹달린신발의 착용이 인체의 체형변화에 미치는 효과 탐색 (Exploring the Effect of Wearing the Knobble Shoes on Body Shape Change)

  • 신광준;이형환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9-50
    • /
    • 2022
  • 개요: 새로 개발한 혹달린신발의 기능성에 대한 조사는 필수적이라 조사하였다. 목적: 본 연구는 혹달린신발을 착용하였을 때 체형이나 신체 균형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탐구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방법: 9명의 대상자에게 혹달린신발을 신고 한 달간 다닌 후에 나타난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혹달린신발은 깔창에는 다양한 작은 공기주머니를 만들어서 발바닥을 자극하여 신체 변화를 유도하였다. 특별히 발 아치 중앙부위에 크게 혹을 내외에 만들어서 발의 아치 부분을 자극하게 되어있었다. 혹달린신발을 신고 30일간 활용한 후에 혈당은 평균 31.1 mg이 저하 되었다. 저하 범위는 5~120 mg이었다. 1명은 혈색소가 7.5%에서 6.5% 가 감소하였다. 신체 균형도는 툭 치는(tap) 검사에서 맨발 상태에서 균형상태가 오른쪽으로 기우는 대상자는 7명, 왼쪽으로 기우는 대상자는 2명이었다. 그러나 혹달린신발을 신은 후의 검사에서는 모두 균형을 유지하였으며, 다리와 몸이 튼튼해진 느낌이라고 하였다. 혹달린신발을 신은 후의 착화감과 균형감은 모두가 안정적이라 하였고, 신은 후에 다리와 몸에 균형감이 높게 나타났다. 왼쪽이 짧은 대상자는 2명, 오른쪽이 짧은 대상자는 4명이었다. 상체 기울기 방지 지지대는 대상자에 따라서 다양했다. 발바닥의 균형이 전체적인 자세에 바로 영향이 있다고 본다. 발바닥 지문 평가에서는 발바닥 어깨선의 흐름이 고르지 못하였으나 호전되었다. 발허리 족궁 부위가 좁았던 것이 약간 넓어졌고, 발의 족저압력이 사후에는 고르게 분포되었고, 골반이 틀어지어 생긴 허리에 통증이 개선되었다고 평가한다. 결론: 혈당이 감소하였다. 그리고 변형되었던 체형이 혹달린신발이 족궁 부위를 받쳐 주면서 균형이 잡히어 원상태로 전환되었고, 이로 인해서 다리와 몸에 활력을 느낄 수가 있었다. 발바닥의 균형이 전체적인 자세에 바로 영향이 미친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었다.

무릎넙다리 동통증후군 환자의 8주간 재활운동과 신경근전기자극치료가 통증척도와 기능적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habilitation Exercise an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on a Visual Analysis Scale and on Functional Capacity Performed For 8-weeks in a Patient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 한상완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3-42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 of rehabilitation exercise an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on a visual analysis scale and functional visual analysis scale regarding functional capacity. A total of 7 consecutive patients with the complaint of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who received this diagnosis from a sports medicine physician were recruited to assess the effect of rehabilitation exercise an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NMES) on Visual Analog Scale (VAS) and Functional Visual Analog Scale (FVAS), functional capacity patient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The exercise rehabilitation consisted of a complex training program requiring five treatments a week for eight weeks. The training program consisted of four phases, and each lasted for two weeks. Statistical analyses were one-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AS and FVAS during 8-weeks of rehabilitation exercise an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p<.01).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unctional capacity during 8-weeks of rehabilitation exercise an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p<.05). In conclusion, at the end of the eight weeks of this rehabilitation program an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a significant reduction was found in VAS and FVA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unctional capacity at the end of the treatment.

  • PDF

측두근과 외측 익돌근에서 발생된 국한성 화골성 근염 : 개구제한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의 증례보고 (Localized Myositis Ossificans of the Temporal and Lateral Pterygoid Muscles- A Case Report for Open Limitation)

  • 한원정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7권4호
    • /
    • pp.227-231
    • /
    • 2012
  • 국한성 화골성 근염은 근육내에 섬유조직과 이소성 골이 형성되는 질환으로 외상성 화골성 근염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외상, 외과적 술식, 지속적인 자극에 의하여 근육이 골화되는 질환이다. 주로 팔, 다리 근육에서 발생되며, 저작근에서 발생되는 예는 드물다. 저작근에 발생된 경우 주된 임상증상은 개구제한이며 환자는 이환부위의 동통이나 불편함을 호소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30대 남성이 개구제한을 주소로 내원하여 임상검사와 방사선검사 후 저작근중에서 좌측 측두근과 외측 익돌근에서 발생된 국한성 화골성 근염으로 진단 내려진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근전도-생체되먹임 훈련이 무릎넙다리통증의 기능적 능력과 Q-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MG-Biofeedback Training on Functional Ability and Q-angle in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 박승규;강재영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6권2호
    • /
    • pp.68-73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 using EMG-biofeedback for selective training of the vastus medialis oblique on functional ability and Q-angle in subject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Methods: Thirty participants who met the criteria were includ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the control group (Group I, n=10),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 group (Group II, n=10), and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 using EMG-biofeedback group (Group III, n=10). Intervention was performed in three groups, three times per week, for a period of six weeks. Kujala patellofemoral score and Q-angle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Results: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in kujala patellofemoral score were observed in group II and group III, compared with group I (p<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in Q-angle at knee flexion angle $0^{\circ}$. However,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in Q-angle at knee flexion $60^{\circ}$ were observed in group III, compared with group I (p<0.01). Conclusion: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 using EMG-biofeedback that provides real-time biometric information on selected muscles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reatment may be helpful in improvement of functional ability and Q-angle in patellofemoral pain syndr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