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다랑어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22초

다랑어연승 실험조업의 조획물조성에 의한 어업생태학적연구 (AN ECOLOGICAL STUDY OF TUNA LONG LINE CATCH DISTRIBUTION OBTAINED BY EXPERIMENTAL FISHING OPERATIONS)

  • 박승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61-172
    • /
    • 1969
  • Ten experimental tuna long line fishing operations were performed with the long lines A and B, in combination casting orders of BA and AB. The long line B differs from A in its additional main line length per basket and its greater depth of submersion (Table 1). The BA casting order results in an AB hauling order, so that the long line B is casted at an earlier time of a day and fishes for a longer period than A line (fig. 2). The number of fish caught was divided into subclasses in order to be subjected to $x^2-tests$ (Table 2). The first series of $x^2-tests$ were calculated using the hooking rates of two subclasses with other factors pooled (Table 3). The second series of $x^2-tests$ were calculated to obtain the interactions between two subclasses when other factors differed (Table 4). Attention was paid to the extremely small interactions as well as to the large interactions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a factor functions in the same way or in a contradictory way when the other factors involved differ. The test result is summarized in Table 5.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ok casting time (relative to the sunrise time) and the hooking rates reveals the feeding behavior of particular species (fig. 3) A high hooking rate for yellowfin tuna shown in the period from one hour before sunrise to the moment of sunrise suggests that they feed actively in that period. Their poor hooking rate on earlier casted hooks suggests that they do not feed well under conditions of darkness and that they feed best while the hooks are sinking. Furthermore it is likely that yellowfin tuna maintain a shallow depth in the daytime, for the $x^2$ interaction between the line casting order BA and AB shows their persistant preferance of the long line A regardless of line casting order. Bigeye tuna show their feeding behavior under conditions of darkness, and show a preference for the sea's deeper layer. Alepisaurus borealis (Gill) show their feeding behavior under conditions of darkness more significantly than the bigeye tuna and their preferance for deep layers is also more significant. Marlins (mainly Makaria mazara) show a feeding behavior which is similar to the yellowfin tuna. The author emphasizes that certain variations of the hooking rates in relation to the line easting time were caused by an inadequate fishing depth as well as by the fish preference for a particular feeding time. When the part of the line casted in pre-dawn hours and hauled in the pre-sunset hours show a significantly lower hooking rate than other parts of the line, then it is concluded that tile hooks settled in a sea layer too deep for feeding.

  • PDF

중서부태평양 가다랑어(Katsuwonus pelamis)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the Skipjack Tuna Katsuwonus pelamis in the Western and Central Pacific Ocean)

  • 구정은;이성일;김진구;박희원;이미경;김장근;이동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77-385
    • /
    • 2015
  • The age and growth of the skipjack tuna Katsuwonus pelamis were determined using otoliths sampled from a Korean tuna purse seine fishery in the Western and Central Pacific Ocean from January 2005 to September 2006. A total of 312 otoliths were used to estimate the ages of skipjack tuna, which ranged from 1 to 7 years. The relationships between otolith ring radius (R) and fork length (FL) for female, male, and sex combined were FL = 19.74R + 1.50 ($r^2=0.54$), FL = 17.66R + 6.35 ($r^2=0.47$), and FL = 18.83R + 3.36 ($r^2=0.53$), respectively. The back-calculated fork lengths of each age ($FL_{year}$) were $FL_1=36.2cm$, $FL_2=43.3cm$, $FL_3=48.3cm$, $FL_4=52.6cm$, $FL_5=56.5cm$, $FL_6=60.8cm$, and $FL_7=63.2cm$. The relationships between fork length (FL) and total weight (TW) for female, male, and sex combined were $TW=0.00001FL^{3.19}(r^2=0.95)$, $TW=0.00001FL^{3.17}(r^2=0.95)$, and $TW=0.000009FL^{3.23}(r^2=0.95)$, respectively. The von Bertalanffy growth parameters of skipjack tuna estimated in this study were $L_{\infty}=77.4cm$, K = 0.176/year, and $t_0=-2.569years$.

뱀장어(Anguilla japonica) 자어 먹이로 유기물 분해산물의 활용 가능성 (Fermented Organic Matter as Possible Food for Rearing Anguilla japonica Leptocephali)

  • 김효원;김정현;김명희;김광현;박진철;박흠기;한창희;김대중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424-1431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BFT (biofloc technology) system 수조로부터 분리된 미생물(Bacillus sp.)을 이용하여 Marine snow와 유사한 유기물 분해산물을 만들어 뱀장어 자어먹이로 활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유기원으로는 계란, 참다랑어, 뱀장어, 담치, 갯지렁이, 멍게, 바지락 그리고 새우를 이용하여 8 종류의 유기물 분해산물(HE, TM, EM, PC, TA, MS, HA, SP)를 생산했다. 생산된 유기물 분해산물은 특정한 형태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크기도 $10-20{\mu}m$의 미세한 것부터 $100{\mu}m$ 이상 되는 것까지 다양하였다. 부화 후 20일부터 다양한 유기물 분해산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4 종류의 먹이(A, B, C, D-type)를 급이한 결과 A, B, C-type의 먹이를 급이한 뱀장어 유생은 각각 부화 후 37일, 39일, 37일까지 생존하였으나, D-type의 먹이를 급히한 뱀장어 유생은 부화 후 60일 동안 생존하였다. 각 먹이의 단백질 함량은 비슷하였지만, D-type 먹이의 n-3 HUFA 농도는 다른 type의 n-3 HUFA 농도보다 약 2배 높았다.

눈다랑어(Thunnus obesus)를 활용한 고령친화식품용 연화식 함박스테이크, 완탕 및 토마토스프의 개발 및 품질특성 (Developmen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ftened Hamburger Steak, Wantang, and Tomato Soup for Senior-friendly Seafoods Using Bigeye Tuna Thunnus obesus)

  • 장미순;이석민;박선영;오재영;강상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63-372
    • /
    • 2023
  • This study was developed to prepare hamburger steak (HS), wantang soup (WS), and tomato soup (TS) for senior-friendly seafood's (SFS) using bigeye tuna Thunnus obesus, and to investigate their quality characteristics. All data were presented in the order of HS, WS, and TS. The hardness values were 298.9×1.03, 47.1×1.03 and 14.9 ×1.03 N/m2, respectively. The viscosity of TS was 2,856 mPa·s. The protein contents were 13.8, 11.7, and 9.7 g/100 g, respectively. The fat-soluble vitamins content were as follows: vitamin A 21.88, 5.03, and 23.72 ㎍RAE/100 g; vitamin D 1.15, ND, and 1.81 ㎍/100 g, respectively. The water soluble vitamins contents were as follows: vitamin C 47.22, 32.83 and 37.01 mg/100 g; vitamin B2 0.17, 0.11 and 0.10 mg/100 g; vitamin B3 34.87, 34.76 and 54.62 mgNE/100 g. The Ca contents were 15.9, 16.8, 28.9 mg/100 g, and the K contents were 383.8, 167.4, and 300.0 mg/100 g, respectively. The dietary fiber was 0.04, 0.07 and 0.08 g/100 g, respectively. Escherichia coli was not detected in any of the produc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roducts should be classified as follows, based on their appropriateness as SFS: HS, WS and TS.

일반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의 식품원료 진위 판별에 적용 (Application for Identification of Food Raw Materials by PCR using Universal Primer)

  • 박용춘;진상욱;임지영;김규헌;이재황;조태용;이화정;한상배;이상재;이광호;윤혜성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17-324
    • /
    • 2012
  • 본 연구는 식품원료의 진위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시험법으로 일반 프라이머를 이용한 DNA barcode 기법을 도입하였다. 동물성식품원료의 경우 미토콘드리아 DNA 중 cytochrome oxidase subunit I(COI) 부위 검출을 위하여 디자인된 프라이머(LCO1490/HCO2198 및 VF2/FISH R2)와 cytochrome b(cyt b) 부위 검출을 위하여 디자인된 프라이머(L14724/H15915)를 사용하였다. 상기 3 종류의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가축류 6종(소, 돼지, 염소, 양, 말 및 사슴), 가금류 4종(닭, 오리, 칠면조 및 타조), 어류 7종(명태, 대구, 청대구, 청어, 송어, 다랑어 및 우럭)을 대상으로 PCR 후 전기영동하여 예상되는 PCR 산물의 생성 유무를 확인하였다. 가축류 6종에 대하여는 LCO1490/HCO2198, VF2/FISH R2 및 L14724/H15915 프라이머를 사용한 경우 COI 및 cyt b가 모두 검출되었으며, 가금류 4종은 LCO1490/HCO2198 및 VF2/FISH R2 프라이머를 사용한 경우만 COI이 검출되었다. 또한 어류 7종은 VF2/FISH R2 프라이머를 사용한 경우에만 COI 부위가 검출됨을 확인하였다. 식물의 경우 엽록체 DNA 부위를 이용하여 디자인된 3 종류의 프라이머(trnH/psbA, rpoB 1F/4R 및 rbcL 1F/724R)를 사용하였다. 각각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식물 5종(마늘, 양파, 무, 녹차 및 시금치)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 3종류의 프라이머에서 PCR의 산물을 모두 확인하였으며 trnH/psbA 프라이머의 경우 식물 종마다 PCR 산물의 크기는 다르게 검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17종의 식품원료별 일반 프라이머 및 PCR 조건을 확립하였으며, 생산된 PCR 산물을 대상으로 염기서열을 결정하고 유전자은행에 있는 염기서열과 DB 비교 분석을 통하여 식품에 사용된 원료의 진위여부 판별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표고버섯 가루를 이용한 조청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ochung Containing Various Level of Letinus edodes Powder)

  • 박정숙;나환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768-775
    • /
    • 2005
  • 표고버섯을 이용하는 적절한 가공방법을 모색하고 고부가가치를 갖는 식품으로 개발을 하고자 표고버섯 가루를 밥에 직접 첨가하여 조청을 제조하여 실험한 결과 조청의 일반성분은 무첨가구에 비해 조단백질, 회분과 조지방 함량은 증가하였고, 탄수화물 함량은 감소하였다. 투기성분과 유리당 함량은 버섯가루 첨가량이 증가하면서 증가하였고, 아미노산 분석 결과 총 17종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었으며 가장 많이 함유된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이었다. 조청의 지방산 조성과 pH는 시료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환원당의 경우 무첨가구에 비해 첨가구의 한량이 높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점도와 고형분 함량은 무첨가구가 각각 $132{\times}10^3\;cps$와 74.32%에서 3% 첨가구가 각각 $51.4{\times}10^3\;cps$와 65.18%로 첨가량이 증가하면서 두 항목 모두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3% 이상 첨가 시 기존 조청의 고유점성과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의 경우 L값, a값, b값 모두 첨가량이 증가하면서 감소하였고, 2% 이상의 시료군에서 기존 무첨가구와 현저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료별 관능검사 결과에서 색(color)과 향비(flavor)는 1% 첨가구만이, 먹을때의 느낌(chewiness)은 2% 첨가구까지, 단맛(sweetness)과 전반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는 1% 첨가구 만이 무첨가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표고버섯 가루를 밥에 첨가하여 조청을 제조할 경우 적정 첨가 수준으로 1-2%, 혹은 그 이하를 첨가해야 버섯의 장점을 살리면서 기존 조청의 특성을 변화시키지 않는 제품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의 비교적 높은 소거 능을 보였다. 따라서 미숙 통밀감 분말은 식이섬유 및 flavonoid 소재원으로 이용 가능성이 있다.량이 0.043mg/kg으로 나타났다. 조사된 어류 중 우리나라의 수은 기준 및 Codex 규격을 초과한 시료는 없었으며, 다랑어류, 참치 통조림, 연어, 황새치를 통한 수은의 주산섭취량도 JECFA에서 설정한 총수은 및 메틸수은은 PTWI에 대하여 각각 0.5%이하 및 0.6% 이하로 나타나 조사된 어류를 통한 우리나라 국민들의 수은 섭취는 현재까지는 안전한 수준인 것으로 판단된다. 보여진다.ificantly more inclusive. As a result of the evolution of new fibers, materials, processes and markets, we assert that a new "ENGINEERING WITH FIBERS" (EwF)(중략)web.cnu.ac.kr/~fabric이다. 제작된 멀티미디어를 실제 수업에 활용한 결과 수강생(32명)의 96.9%가 보조자료로 사용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자료가 실험관련 교과목 수업에 효과적이라고 응답하였고, 87.5%가 활용된 멀티미디어 콘텐츠 자료에 만족하며, 75%가 기존의 교과서와 비교하여 더 많이 활용하였다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교육은 개인차에 따른 개별화 학습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학습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향은 패션마케팅의 정의와 적용범위를 축소시킬 수 있는 위험을 내재한 것으로 보여진다. 그런가 하면, 많이 다루어진 주제라 할지라도 개념이나 용어가 통일되지 않고 사용되며 검증되어 통용되는 측정도구의 부재로 인하여 연구결과의 축적이 미비한 상태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재고와 새로운 방향 모색이

황칠나무 추출물의 고초균 발효물로 제조된 가쓰오부시 단백가수분해물의 Lactobacillus plantarum 발효를 통한 고농도 GABA 생산 (Production of highly enriched GABA through Lactobacillus plantarum fermentation of katsuobushi protein hydrolyzate made from Dendropanax morbiferus extract fermented by Bacillus subtilis )

  • 안유정;성낙주;이삼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46-154
    • /
    • 2023
  • 참치액 소스를 가공할 때 가쓰오부시(가다랑어 훈연 숙성) 열수 추출물을 주원료로 사용하며, 이때 부산물로 생산되는 가쓰오부시 단백질을 이용하여 가수 분해산물인 peptide 강화소재를 제조하며 이를 젖산발효를 통한 기능성 물질 GABA가 증진된 기능성 발효소재를 개발하였다. 황칠나무 추출물 25%에 glucose 2%, skim milk 1%를 첨가한 제한배지에서 1차 고초균 발효 1일 동안 B. subtilis HA의 생균수는 8.83 log CFU/mL로 크게 증가하였고, pH 7.53과 산도 0.06%를 나타내었다. 고초균 발효물의 protease 활성은 발효 전 1.55 unit/mL에서 발효 후 102.22 unit/mL로 크게 증가하였고, 이에 가쓰오부시 부산물을 10% 첨가하여 60℃에서 3시간 동안 단백질 분해한 결과 tyrosine 함량이 분해 전 72.94 mg%에서 분해 3시간 후 156.85 mg%로 2배 이상 증가하였다. 고초균 발효물을 이용하여 가수분해시킨 가쓰오부시 단백질 분해물에 추가적으로 MSG 10%, glucose 3%, yeast extract 0.5%를 첨가하여 정치배양으로 젖산균 발효를 수행하였다. L. plantarum KS2020의 생균수는 0일 차 7.65 log CFU/mL에서 발효 7일 차 9.33 log CFU/mL까지 크게 증가하였고, B. subtilis HA의 생균수는 0일 차 5.98 log CFU/mL에서 1일 차부터 생균수가 검출되지 않았다. 젖산균 발효물의 pH 및 산도의 변화는 0일 차 pH 7.14, 산도 0.19%에서 1일 차에 pH는 5.77로 감소하고 산도는 1.92%로 증가한 후 발효 3일 차에 산도는 0% 및 pH 8.00 이상을 나타내었다. 젖산발효 1일 차부터 GABA의 전환이 보이면서 발효 3일 차에 고농도 GABA 생성을 나타내었다. GABA 및 glutamic acid의 함량을 HPLC로 분석한 결과, GABA의 함량은 3,139.58 mg/100 g으로 매우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glutamic acid의 함량은 83.44 mg/100 g이었다. 결과적으로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고초균 발효물을 효소원으로 이용하여 가쓰오부시 부산물의 단백질을 효과적으로 고온에서 단기간에 분해하여 peptide를 생성시켰으며, 연속적으로 젖산발효를 통해 약 3.1%의 GABA가 생성되었다. 최종 가쓰오부시 단백질의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젖산균 발효물은 산도가 0%이며 풍미, probiotics, peptides, 고농도 GABA를 함유한 복합 기능성 발효소재로써 소스 등 다양한 식품의 건강소재로 활용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