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다랑어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25초

열대 태평양 황다랑어.눈다랑어의 풍도와 수온과의 관계

  • 양원석;조규대;박영철;문대연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409-410
    • /
    • 2001
  • 태평양 해 역은 1985∼1997년간 우리나라 연승어업에 의한 다랑어류 평균 어획량의 55%를 차지하는 중요한 해역으로 눈다랑어와 황다랑어가 전체 어획량의 82.2% 차지 하고 있다. 따라서 다랑어 연승어업의 중요 어장인 태평양 해역에 대하여 서부∼동부 해역의 적도 주변에서 한국 다랑어 연승어업에 의해 주로 어획되는 황다랑어와 눈다랑어를 대상으로 풍도 변동, 연직분포, 어획 적수온, 수온 변동에 따른 분포 특성 등을 밝혀 동 해역에서 조업하는 다랑어 연승어업의 과학적인 어장 정보 제공과 다랑어류 자원의 효율적 이용 및 관리에 기여하고자 한다. (중략)

  • PDF

중서부태평양 수온변동에 따른 다랑어 분포특성

  • 안두해;문대연;김종빈;김진영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추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85-286
    • /
    • 2000
  • 한국 다랑어 선망어업은 1980년 서부태평양 열대해역에서 가다랑어 및 황다랑어를 대상으로 조업을 시작하여 1986년 이후 본격적인 조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1995년 이후 26∼30척이 조업을 하여 140,000∼200,000톤 사이의 비교적 안정된 어획량을 유지하고 있으나 약간의 연별 변동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연별 변동은 한국 다랑어 선망어업의 주 대상종인 가다랑어 및 황다랑어가 고도회유성 어종으로 이들의 회유, 산란, 섭이 등은 어장환경 변동에 영향을 받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중략)

  • PDF

엘니뇨 및 라니냐 발생에 따른 열대 태평양 황다랑어의 풍도 변동

  • 양원석;조규대;문대연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3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91-292
    • /
    • 2003
  • 한국 다랑어 연승어업은 1957년 인도양, 1958년 태평양에서 각각 시험조업을 실시한 이후 1960년대 중반부터 실질적인 조업이 시작되었다. 태평양 해역은 1985∼1997년간 한국 연승어업에 의한 다랑어류 년 평균 어획량의 55%를 차지하는 중요한 해역으로 눈다랑어와 황다랑어가 한국 전체 어획량의 82.2% 차지하고 있고, 이중 황다랑어는 20∼40%를 차지하고 있다. (중략)

  • PDF

서부 열대 태평양의 눈다랑어와 황다랑어의 먹이에 관한 연구 (Diets of Bigeye and Yellowfin Tunas in the Western Tropical Pacific)

  • 김종빈;문대연;권정노;김태익;조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719-729
    • /
    • 1997
  • 눈다랑어와 황다랑어의 먹이의 종류와 섭이 습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서부 열대 태평양에서 연승어업으로 어획된 이들 다랑어의 위내용물을 조사하였다. 눈다랑어와 황다랑어의 먹이는 주로 어류, 두족류, 갑각류이었다. 이들 두 종의 다랑어에서 동정된 먹이생물의 총 종수는 어류가 15종, 갑각류 6종 그리고 두족류가 1종이었으며 그 중 가장 중요한 먹이는 샛비늘치류인 Myctophum sp였다. 황다랑어와 눈다랑어의 먹이를 분석해본 결과 먹이의 종류에 있어서는 두 종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이것으로 보아 같은 해역에 서식하는 다랑어류는 먹이 습성이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먹이 가운데 몇몇 종 (Myctophidae, Alepisauridae, Oplophoridae, Gammaridae, and Onychoteuthidae)의 경우 그 중요도에 있어서 두 다랑어간에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 PDF

다랑어 연승어업에서 눈다랑어 어획률에 미치는 낚시 및 미끼의 효과 (Effects of Hook and Bait Types on Bigeye Tuna Catch Rates in the Tuna Longline Fishery)

  • 김순송;문대연;안두해;황선재;김영승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05-111
    • /
    • 2008
  • 다랑어낚시 및 사용미끼에 따른 어획률을 비교하기 위해, 2006년 9~10월간 태평양 중동부 해역에서 다랑어연승 시험조사가 수행되었다. 일반선형모형(GLM)을 이용하여 재래식 다랑어낚시 1종(J4)와 환형낚시 3종(C15, C16, C18), 미끼 5종(고등어(CM), 전갱이(JM), 밀크피쉬(MF), 정어리(SD), 오징어(SQ)) 및 낚시심도를 나타내는 낚시 순번들이 눈다랑어 어획률(1,000낚시당 마리수)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였다. 총 28회 조업에서 낚시순번 간 눈다랑어 어획률에는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었다. GLM분석에서 낚시순번에 의한 눈다랑어 어획률 편차는 33%로 나타났다. 미끼 종류 간 어획률 차이는 그 편차가 2.7%로 적게 나타났고, 낚시형 4종 간 그 차이는 매우 적어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따라서, 낚시형 및 미끼 종류의 선택은 다랑어 연승어업에서 눈다랑어 어획률 차이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어획수심을 나타내는 낚시순번은 눈다랑어 어획률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판단되었다.

태평양 한국 다랑어 선망어업의 어장변동

  • 문대연;안두해;황선재;김종빈;박영철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350-351
    • /
    • 2000
  • 선망어업에 의해 어획되는 다랑어 어군은 연승어업과는 달리 주로 표층에서 유영, 이동, 또는 섭이하는 가다랑어나 황다랑어 무리로 이들의 분포 특성을 감안하면, 해수의 표층수온 등 해양환경 변화는 선망어업의 어획량, 단위노력당어획량 및 종조성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Lehodey (1997)는 미국의 선망어획자료를 이용하여 엘니뇨가 가다랑어의 분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발표한 바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립수산진흥원에서 1995-1998년간 한국 다랑어 선망어선으로부터 수집한 어획 자료를 이용하여 최근의 해양환경 변동에 따른 한국 선망어업의 어장변동 및 조업특성에 대해서 서술하고자 한다. (중략)

  • PDF

다랑어의 미끼 섭취 습성 (The Biting Behavior of Tuna on Baits)

  • 박승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17-322
    • /
    • 1982
  • 꽁치를 통째로 미끼로 하는 다랑어 주낙으로 어획된 다랑어 위속에 들어있는 꽂치 토막의 어체부체별 빈도에서 다랑어의 섭취 습성을 추측하였다. 꽁치 토막을 머리와 꼬리의 유무에 따라 분류하여 꽁치 온마리(A토막) 머리 토막(B토막) 몸통 토막(C토막) 및 꼬리 토막(D토막)으로 구분하고 다랑어 위를 위속에 들어있는 꽁치 토막에 따라 독립적으로 구분하여 A위 , B 위 및 C, D위로 정하고이 호정별로 3개의 소표본을 얻은 다음 소표본마다 그 유의특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위와 동-발인 꽁치 토막의 빈도에서 위와 동수만콤의 빈도를 제외한 나머지 빈도에서 위의 호정과 꽁치 토막의 부위와의 관련성을 $X^2$검정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꽁치의 머리 토막을 삼키고 어획된 다랑어는 먼저 꼬리 토막을 떼어 삼킨 다음 그 꽁치의 머리토막을 삼킨 것으로 인정되는 것이 많다. (2) 꽁치의 머리 토막을 삼킨 다랑어의 조획률은 꽁치 온마리를 삼킨 다랑어의 조획률보다 높아.(3) 꽁치의 머리(A토막과 B토막)를 삼킨 다랑어가 낚시에 낚이지 아니한 것은 아마 꽁치의 꼬리부를 먼저 물어서 그 미끼의 머리가 낚시에서 연도된 것을 삼켰을 것이다.

  • PDF

식품소재로서 자숙 다랑어류뼈의 성분 특성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cooking tuna bone as a food resource)

  • 김진수;양수경;허민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8-42
    • /
    • 2000
  • 참치통조림 가공 부산물인 다랑어류뼈를 식품소재와 같이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일련의 기초자료로서 가다랑어뼈 및 황다랑어뼈의 식품성분 특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다락어류뼈의 건물당 조단백질 함량은 $29{\%}$로 두 어류뼈 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미 노산 조성비는 황다랑어뼈 콜라겐 (193잔기/1,000잔기)이 가다랑어뼈 콜라겐 (173잔기/1,000잔기)보다 높았으나, 가축뼈 콜라겐보다는 낮았다. 조지방함량, 폴리엔산/포화산 및 DHA 조성비는 황다랑어뼈가 각각 $12.5{\%}, 1.04 및 24.0{\%}$로 가다랑어뼈의 $6.6{\%}$,0.90 및 $23.9{\%}$보다 높았으나, 오징어 내장유보다는 낮았다. 다랑어류뼈의 주요 무기질은 칼슘 및 인이었고, 이들의 함량은 가다랑어뼈의 경우가 각각 36.5 g/100g ash 및 17.2g/100g ash이었고, 황다랑어뼈의 경우가 각각 38.0g/100g ash 및 18.7g/100g ash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다랑어류뼈는 두 종류 모두가 콜라겐 및 지질 추출소재로 보다는 칼슘 추출소재로 적절하리라 판단되었다.

  • PDF

다랑어 육으로부터 분리한 Histidine 함유 저분자 Peptide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 of Histidine-Containing Low-Molecular-Weight Peptides Seperated from Tuna Meat)

  • 김홍길;송호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513-520
    • /
    • 2020
  • 다랑어로부터 추출한 histidine 함유 저분자 peptide의 항산화능을 평가한 결과, histidine, 1-methylhistidine, carnosine과 anserine을 포함한 histidine 관련 화합물과 다랑어에서 추출한 histidine 함유 저분자 peptide는 DPPH 라디칼 소거능력을 지녔고,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효과 또한 증가하였다. 다랑어 추출물은 2차 이온교환 처리물이 carnosine과 anserine의 dipeptide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가열처리와 한외여과를 병행한 경우와 이온교환과 한외여과 처리를 한 동결물의 경우 ascorbic acid와 유사한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냈다. Histidine 함유 dipeptide 중에서 anserine이 가장 높은 환원력을 나타내었으며, carnosine은 두 번째로 강한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Dipeptide와 비교하여 황다랑어, 눈다랑어 추출물이 높은 환원력을 나타내었으며, 농도가 증가할수록 환원력이 증가하였다. 다랑어 추출물 원육에서의 SOD 유사활성은 약했으나, 가열처리와 한외여과를 병행하였을 때, 황다랑어 눈다랑어 추출물이 농도별로 4.0-19.4%, 5.7-20.6%로 나타났으며, 이온교환과 한외여과를 병행하였을 때, 8.3-27.9%, 5.4-25.0%, 2차 이온교환 처리를 하였을 때, 8.2-29.5%, 8.6-32.1%로 활성이 증가하였다. Linoleic acid를 기질로 하여 저장기간에 따른 자동산화의 중간생성물인 과산화물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CM-cellulose의 처리 동결건조물은 ascorbic와 유사하게 지질산화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체 내의 pH 변화를 고려하여 pH 1.2, pH 3.0, pH 4.2로 조절하여 아질산염의 소거능을 살펴보았을 때, 황다랑어 추출물의 경우 25.14%, 15.09%, 13.71%, 눈다랑어 추출물은 27.44%, 18,28%, 18.09%로 pH 1.2, pH 3.0에서 carnosine과 anserine보다 낮지만 pH 4.2에서 histidine 보다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다랑어 위내에 들어있는 꽁치 머리의 빈도 해석 (An Analysis of the Frequencies of the Saury Heads(bait) Retained in the Tuna Stomachs)

  • 박승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12-316
    • /
    • 1982
  • 주낙으로 어획된 다랑어의 위내에 들어있는 꽁치 머리의 빈도분포를 해석하여 미끼를 삼킨 다랑어가 그 낚시에 낚이는 어획률을 추정하기 위하여 2항분포식에서 유도한 수식을 적용하였다. 꽁치 머리를 삼킨 다랑어가 그 낚시에 낚이는 확률을 p, 낚이지 아니하는 확률을 q, 낚시에 낚인 다랑어가 그 낚시에서 미끼 꽁치 머리를 위속에 보유하는 확률을 r, 낚이기 전에 삼킨 꽁치 머리를 보유하는 확률을 t로 하는 수식에 꽁치 머리빈도의 관측치를 적합 시켜서 다음과 같은 $\frac{p}{p+q^t}$값과 r의 최적추정치를 얻었다. 황다랑어; $\frac{p}{p+q^t}$=0.789, r=0.598 눈다랑어; $\frac{p}{p+q^t}$=0.810 r=0.608, 날개다랑어; $\frac{p}{p+q^t}$=0.838, r=0.621.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