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뉴욕 컬렉션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4초

지적이며 대담한 현대 사진 예술 레프코 컬렉션(Refco Collection)

  • 신수정
    • 주택과사람들
    • /
    • 통권193호
    • /
    • pp.32-33
    • /
    • 2006
  • 현대 사진에만 초점을 맞추어 기업의 예술 컬렉팅을 해온 레프코(Refco)사. 총 500여 점에 달하는 컬렉션 중 300여 점 이상을 올봄 뉴욕 크리스티 경매에서 선보였다. 사진 예술사적으로 가치 있는 작품들이 대다수를 이루는 레프코 컬렉션에 대하여.

  • PDF

공동체아카이브, 몇 가지 단상 (Some Possibities of Community Archivs)

  • 이영남
    • 기록학연구
    • /
    • 제31호
    • /
    • pp.3-42
    • /
    • 2012
  • 이 글에서는 공동체 아카이브 컬렉션의 두 사례를 비교하면서 공동체 아카이브의 의미를 짚어보았다. 살펴본 사례는 외국의 경우에는 미국 뉴욕 Herstory Collection(Stony Brook Univ.)이고, 한국의 경우에는 풀무학교 전공부(충남 홍성군 홍동면 소재)의 개교 10주년 컬렉션이었다. 전자는 뉴욕 주립대학인 스토니 브룩 대학에서 지역단체인 Herstory Writers Workshop의 기록을 기증 받아 정리한 컬렉션이고, 후자는 풀무학교 전공부에서 개교 10주년을 맞아 수집한 기록과 10년 동안 자체적으로 보유하던 기록을 모아 정리한 컬렉션이다. 뉴욕 허스토리 컬렉션은 전문 아키비스트가 국제표준인 ISAD(G)에 따라 정리하고 기술한 것이다. 허스토리 컬렉션은 '지역기반+소수자 기반'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런 측면은 우리가 공동체 아카이브의 의미를 말할 때 주요하게 지적되어 로컬리티 다큐멘테이션과 소수자의 기억과 정체성의 측면을 동시에 포괄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하겠다. 또한 허스토리 컬렉션은 '대학 + 지역단체 공동 아카이브'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는 대학과 지역단체가 서로 협력해서 공동으로 아카이브를 운영한다는 점에서 한국 대학 아카이브에 시사하는 바가 있을 것 같다. 왜냐하면 대학은 자신이 속해 있는 지역에 자체적으로 기록관리를 할 수 없는 소규모 공동체를 아카이빙할 수 있고, 역으로 소중한 활동을 기록으로 남겨야 하나 여건이 되지 않는 소규모 공동체는 대학과 협력해서 자신의 기억을 아카이빙할 수 있기 때문이다. 풀무 전공부 10주년 컬렉션은 아마추어 아키비스트(풀무학교 전공부 재학생)가 국제표준에 따르지 않고 다소는 특이한 이야기 정리기술(Narrative Description) 방식으로 정리하고 기술한 것이다. 이야기 정리기술은 아직은 '기록 공동체'에 알려지지 않았거나 시도되지 않았던 방식이다. 그런데 풀무가 이렇게 할 수 있었던 것은 공동체 내부에 고유한 내러티브가 있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고유한 공동체 내러티브와 실제 기록물을 연결시켜 작업함으로써 이야기 정리기술은 공동체의 역사와 특성을 살린 기술방식이 될 수 있었다. 이런 점은 국제표준 적용방식과는 다른 맥락에서 주목할 만하다고 본다. 또한 풀무 컬렉션은 앞에서 지적했듯이, 전문 아키비스트가 아닌 공동체 내부의 구성원이 아마추어 아키비스트가 되어 만든 것이다. 이는 공동체 아카이브에서 제기될 수 있는 몇 가지 문제-비용문제, 인류학적 맥락에서 삶과 아카이브의 유대성 문제, 공동체의 고유한 내러티브와 실제 아카이브의 연관성 문제 등-에 시사점을 줄 수 있다고 본다. 국가 아카이브가 추구하는 것에 '국민의 역사적 정체성'이 들어가듯이, 공동체 아카이브도 '공동체성'을 추구해야 한다. 양자의 차이점이 있다면, 소규모 공동체의 경우 전문가-비전문가, 전문작업-일상생활 등의 격자에서 다소는 자유롭게 추구할 수 있다는 점이다. 풀무 컬렉션에서 내부 구성원이 이야기 정리기술이라는 새로운 정리기술 방법론을 만들어가면서 작업할 수 있었던 것도 이런 자유로움에서 유래할 것이다. 공동체 아카이브는 국가 아카이브와 다른 맥락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2008~2009 F/W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메이크업 경향에 관한 연구 (Make-up Trends in 2008~2009 F/W Fashion Collections)

  • 김미현;이유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151-159
    • /
    • 2008
  • 오늘날 사회의 제반현상들은 각 분야별로 각각의 트렌드가 있으나 복식의 변화와 관련된 패션 트렌드가 모든 트렌드를 주도적으로 이끌어가고 있다. 패션 컬렉션은 패션 트렌드와 관련하여 전반적인 경향과 특성을 살펴볼 수 있는데 파리, 밀라노, 뉴욕, 런던 컬렉션은 세계 4대 컬렉션으로 불리며 최신 유행을 창출하고 있다. 이러한 트렌드를 가장 빠르게 전해주는 패션 디자이너들의 컬렉션은 의상과 더불어 메이크업과 헤어, 액세서리 등의 전반적인 요소들을 보여준다. 패션 컬렉션에서 연출되는 메이크업은 디자인이나 색채뿐만 아닌 발상 자체에서부터 다양한 이미지가 시도되는 자리로 이를 중심으로 매 시즌의 새로운 메이크업 트렌드가 완성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8${\sim}$2009 F/W 패션 컬렉션의 메이크업 경향을 분석하고, 분석된 메이크업 경향이 각 화장품 브랜드의 새로운 트렌드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미국 9/11 메모리얼의 설립과 재난컬렉션 수집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stablishment and Acquisition for Disaster Collections on The National September 11 Memorial & Museum)

  • 정혜지;이승휘
    • 기록학연구
    • /
    • 제55호
    • /
    • pp.235-273
    • /
    • 2018
  • 미국 뉴욕에 자리한 9/11 메모리얼은 2001년 9월 11일 미국 지역에서 일어난 테러 및 1996년 2월 26일 뉴욕 WTC 폭탄테러와 관련된 컬렉션을 관리하는 기관이다. 설립 당시부터 시민참여 프로그램에서 추모시설의 필요성과 세부적인 특징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고, 개관 이후에도 지속적이고 자발적인 기증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관련법의 제정으로 안정적인 운영이 보장된 기관이다. 한편 전 세계에 분포된 불특정 다수의 생산자에게서 기록을 수집하기 위해 9/11 메모리얼은 구입 오프라인 기증뿐 아니라 온라인에서도 웹사이트 이용자를 중심으로 한 수집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재난기록을 잘 관리하기 위해서는 시민여론과 정부와의 공정한 논의 하에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내려져야 한다. 이 과정에서 재난기록 관리는 추모, 기억 보전, 교육, 진상규명, 학제적 정보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서 함께 논의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재난 이후 기록관리 분야에서의 협력적인 거버넌스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1990년대 후반의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세계화 현상 -파리 .런던 .밀라노 .뉴욕 .도쿄 .서울의 컬렉션을 중심으로 - (The Globalization Shown at Fashion Collections in the Second Half of 1990′s Focused on Paris . London . Milan . New York . Tokyo - Seoul)

  • 김서연;박길순
    • 복식문화연구
    • /
    • 제9권6호
    • /
    • pp.881-892
    • /
    • 2001
  • Applying the globalization theory to the fashion phenomena which regarded the phenomena of the contemporary culture as globalization, this study had an object of looking into the globalization tendency of the fashion phenomena shown Paris, London, Milno, New York, Tokyo, and Seoul collections from 1995 to 1999.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t was the blend of romanticism that was the most common trend shown at the six world collections. 2. The works appeared at the six world collections showed the regional peculiarity under the historical background or the sociocultural influence each city had. 3. Another character appeared at the six city collections was the appearance of multi-ethnic style mixed various regional motive at a work. After all, the world fashion phenomena in the second half of 1990's could be condensed into globalization appeared homogenization, regionalization and hybridization at the same time.

  • PDF

에스닉 패션의 유형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Ethnic Fashion by Type)

  • 최해주;오세희
    • 복식
    • /
    • 제60권2호
    • /
    • pp.144-158
    • /
    • 2010
  • The concept and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ethnic fashion were studied. 267 fashion designs from pret-$\grave{a}$-porter collections in Milan and New York from 2001 S/S to 2005 F/W were analyzed. The major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the following: The major types of ethnic fashion are Africa, American Indian, Japan, India, China, and Inca. Among these types, the first volume is Africa, the second is American Indian and others are Japan, India, China and Inca in order. Ethnic fashion changes in years showed reduction from 2001 to 2004, but much rise in 2005 showed more than 30% from 2001. Much more ethnic fashion designs were presented in S/S seasons than in F/W seasons. Africa ethnic fashion designs were more popular in S/S seasons. India ethnic fashion designs were more popular in F/W seasons. In the comparison of the Milan and New York collection, ethnic fashion designs appeared more in Milan collections than in New York from 2001 to 2003. But ethnic fashion designs appeared more in New York collections than in Milan in the year of 2005.

에스닉 패션 유형별 메이크업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akeup by Ethnic Fashion Type)

  • 오세희;최해주
    • 복식
    • /
    • 제61권2호
    • /
    • pp.116-130
    • /
    • 2011
  • Ethnic fashion and makeup were studied. 264 fashion designs from pret-$\`{a}$-porter collections in Milan and New York from 2001 S/S to 2005 F/W were analyzed. The major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the following: 1. The major types of ethnic fashion and makeup were Africa. American Indian. Japan, India. China and Inca. Makeup types expressed in ethnic fashion were soft smoky, smoky, retro, nature, avant-garde, eastern. 2. Makeup types expressed in ethnic fashion were used for the image for the designer's collections rather than ethnic features. Soft smoky and smoky makeup types were more used than others. 3. Soft smoky makeup types were more expressed in S/S seasons than in F/W seasons. In F/W seasons soft smoky and smoky makeup types were more expressed than other types. 4. Soft smoky and smoky makeup types were more expressed than others in Milan and New York collections commonly. 5. To emphasize the ethnic image for ethnic fashion, ethnic makeup arts like China, Japan, India, Africa, American Indian, Inca makeup arts and soft smoky, smoky makeup arts were represented.

여성복 컬렉션에 나타난 대조색상 코디네이션 - 파리, 밀란, 뉴욕, 런던 컬렉션 중심(中心)으로 - (The Contrast Color Coordination of Woman Fashion Showed in Modern Collections of Paris, Milan, New York, London)

  • 권혜숙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17-130
    • /
    • 2010
  •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contrast color coordin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modern woman fashion color coordination as they appear in the 'Collections' from '04 SS to '09/'10 AW. Data collection of 122 was done through review of '$pr{\hat{e}}t$-$\grave{a}$-porter Collections' of four cities; Milan, London, New York, Paris. Statistical analysis of frequency and qualitative interpretation of contrast color coordination characteristics were completed.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combined color type of 'red+blue' and 'yellow+blue' were the most frequently appeared in the same ratio, and followed by 'green+violet', 'red+yellow', 'green+orange', and 'orange+violet'. The contrast tone showed the most, and followed by the similarity and identity, and the type of tone harmony us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ype of contrasting color combination. (2)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ontrasting color harmony were as follows,; Some contrasting colors looked harmonious when used light colors and the contrast between light and dull colors which made the hues even more harmonious. Also combinations of dull colors which work well with other dull colors or vivid colors. Light & vivid color or light & dark color, however, often showed too much contrast and using two contrasting vivid colors presented awkward and restless look. When used one vivid color and one dark color, a little easier to looked at, but still not particularly elegance or effectively harmonious. (3) The types of contrasting color harmony showed some differences between seasons. Contrasting color harmony showed more frequently in the S/S collections than in A/W collections.

  • PDF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자연문양디자인의 특성 - 2011 S/S ~2012 S/S 파리, 밀란, 뉴욕 컬렉션을 중심으로 - (Characteristics of Natural Prints Design in Fashion Collections - Paris, Milan & New York from 2011 SS to 2012 SS -)

  • 권혜숙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1-109
    • /
    • 2013
  •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understand the latest trends of natural print design through the quantitative & qualitative analysis of fashion appeared in contemporary female collections. The research criteria was defined as 3 seasons from 2011 S/S to 2012 S/S. Data collection of 726 was done through review of 'pr$\hat{e}$t-$\grave{a}$-porter Collections' of three major fashion cities; Paris, Milan and NY. Statistical analysis of frequency with chi-square test was conducted. Also qualitative interpretation of natural print design' characteristics was completed.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average occurrence rate of natural print design from 2011SS to 2012 SS in three collections were 6.4% in Milan 6.4%, 5.5% in Paris and 6.8% in N.Y. The five source types of natural prints in contemporary women's fashion collections were identified and the order of their appearance were as follows: flowers, plants, animals, insects & marine organisms and compound one. The plant prints were expressed by stylized or realistic touch. Flower patterns showed more variables than plants, however, there were no big difference in their image and major characteristics. The animal prints demonstrated two aspects. First one used typical animal print of fur or skin, but the other one draw the animal figure like paintings. The compound source type presented the most interesting and fresh pattern design ideas. In the insects & marine organisms, mainly butterfly and seashell & starfish, etc. appeared as real shapes or sometimes were styliz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