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누액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3초

비강 및 부비동 종양 적출시 누액 배출계의 절제후 처치법 (MANAGEMENT OF NASOLACRIMAL APPRATUS IN RESECTION OF NASAL CAVITY OR PARANASAL SINUS TUMOR)

  • 최건;윤종태;채성원;황순재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1년도 제25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41-41
    • /
    • 1991
  • 비강 및 부비동 종양 적출시 종양의 침범이나 시야의 확보를 위해 누액 배출계의 절제가 불가피하여 이로 인한 술후 유루가 발생하는 례를 종종 경험하게 된다. 이에 저자들은 누액 배출계의 절제후 적절한 처치 방법에 대해 알아 보고자, 1989년 1월부터 1990년 12월까지 2년간 비강 및 부비동의 양성 또는 악성 종양의 적출시 누액 배출계를 절제한 13례에서 누액 배출계의 처치 방법과 이에 따른 유루의 발생 여부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누낭에서 절단한 7례중 6례에서, 누낭에서 절단 후 silastic tube를 4주간 유치한 6례 중 1례에서 유루를 경험하여 누액배출계의 절제시 silastic tube의 유치는 술후 유루 발생의 방지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단백질 침착에 의한 소프트콘택트렌즈의 직경 및 곡률반경 변화 (The diameter and base curve changes of soft contact Lens by protein deposition)

  • 박미정;조규태;신성환;이흠숙;김대수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65-171
    • /
    • 2005
  • 본 연구는 단백질 침착에 의한 소프트콘택트렌즈의 직경 및 곡률반경의 변화를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소프트콘택트렌즈를 인공누액 및 누액과 동일한 조성의 단백질 용액에서 2분, 10분, 30분, 1시간, 3시간, 6시간, 12시간, 24시간 담가둔 후, 고속촬영기(Fastcam ultima 1024)로 촬영하여 직경 및 곡률반경을 측정하였다. 인공누액에 오랫동안 담가둔 소프트콘택트렌즈일수록 소프트콘택트렌즈의 직경과 곡률반경의 변화가 컸다. 단백질만을 침착시킨 소프트콘택트렌즈의 경우도 유사한 양상이 나타나 직경 및 곡률반경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칼슘이온의 영향은 단백질에 비해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누액 단백질로 인하여 소프트콘택트렌즈의 직경 및 곡률반경이 감소되며, 이러한 결과는 렌즈 착용 후의 착용감저하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 PDF

구면 RGP렌즈 Fitting시 누액렌즈 굴절력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 Changed Power of Tear lens at Spherical RGP lens Fitting)

  • 박성종;주석희;정주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455-462
    • /
    • 2004
  • 근시성 굴절이상자 85명 170안을 대상으로 구면 RGP렌즈를 피팅(Fitting)하여 RGP시험렌즈 BCR별, 각막난시량별, 각막의 만곡도별 누액렌즈굴절력 변화를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RGP시럼렌즈 BCR의 변경에 의한 누액렌즈 굴절력은 "on-k"에서 -0.25D, 0.05Ft는 -0.46D, 0.10Ft는 -0.63D, 0.05St는 +0.07D, 0.10St는 +0.26D를 보였다. 2. 각막난시량별 RGP렌즈 BCR의 변경에 의한 누액렌즈 굴절력은 "on-k" 상태에서 각막난시 0.75D이하는 -0.25D, 1.00~1.25D는 -0.18D, 1.50~1.75D는 -0.09D, 2.00D이상에서는 -0.39D를 나타냈다. 3. 각막난시량별 시험렌즈 BCR을 0.05mm단계로 변경함에 따른 누액렌즈 굴절력의 변화량은 0.05St와 0.05Ft에서는 ${\pm}0.25D$에 근사한값을 나타냈지만 0.10St와 0.10Ft에서는 ${\pm}0.25D$이하의 불안정한 누액렌즈값을 나타냈다. 4. 각막의 만곡도별 RGP렌즈 BCR의 변경에 의한 누액렌즈 굴절력용 "on-k" 상태에서 7.50mm이하는 -0.40D, 7.55~7.80mm는 -0.11D, 7.85~8.20mm는 -0.20D, 8.25mm이상은 -0.19D를 나타냈다. 5. 각막만곡도별 시험렌즈 BCR을 0.05mm단계로 변경함에 따른 누액렌즈 굴절력의 변화량은 각막의 만곡도가 클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8.25mm이상은 평균 ${\pm}0.17D$${\pm}0.25D$이하의 낮은 굴절력을 보였다.

  • PDF

종이-미세유체공학을 이용한 건성안 검사 용지 개발 (Development of Paper-based Microfluidic Device for Dry Eye Test)

  • 서영태;노혜란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93-99
    • /
    • 2013
  • 목적: 본 연구는 현장현시 건성안 진단 테스트 중에 현재 사용되고 있으나 부정확한 결과로 신뢰도가 떨어지는 쉬르머 용지를 대체 할 수 있는 차세대 건성안 진단 테스트 용지를 미세유체공학을 이용하여 개발하고자 하였다. 방법: 왁스로 패턴을 제조한 친수성 크로마토그래피 용지를 pH에 따른 색 변화가 나타나도록 안토시안으로 염색을 하였다. 인공 누액의 젖음 속도를 인공 누액과 32명의 참가자의 눈물을 이용하여 임상 측정하였다. 결과: 인공 누액을 이용하였을 경우 쉬르머 용지에서는 소량의 용액은(0.5 ml이하) 흡수거리가 도출되지 않았으나 새로 개발된 용지는 시간에 따른 인공 누액의 흡수거리가 확연히 나타났다. 임상실험에서도 새로 개발된 검사 용지는 TBUT (tear break-up time)결과와 부합하는 건성안 진단 결과를 보였다. 결론: 개발된 건성안 진단 용지는 간편하게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쉬르머 용지와 같은 현장현시 건성안 진단 매체와 비교 했을 경우 건성안 판별의 정확성이 높았다.

누액 단백질 침착에 의한 소프트콘택트렌즈의 굴절력 변화 (The Change in Refractive Powers of Soft Contact Lenses Caused by the Deposition of Tear Proteins)

  • 최진용;박재성;김소라;박미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83-390
    • /
    • 2011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콘택트렌즈를 착용하였을 때 렌즈에 부착되는 누액 단백질에 의하여 굴절력의 변화가 유발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00 D, -3.00 D, -5.00 D 및 -7.00 D의 굴절력을 가지는 etafilcon A, hilafilcon A 및 comfilcon A 재질 렌즈를 인공누액에 각각 1일, 3일, 5일, 7일 및 14일 동안 배양시킨 후 자동렌즈미터를 이용하여 wet cell 방법으로 굴절력을 측정하였으며, 렌즈에 침착된 단백질 양을 Lowry 방법으로 정량하였다. 결과: 세 종류의 렌즈 가운데 이온성인 etafilcon A 재질 렌즈에서 가장 많은 단백질이 침착되어 굴절력의 변화 가 크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즉, 인공누액에 1일 동안 배양시킨 후에는 모든 디옵터의 렌즈에서 굴절력이 크게 감소하였으나, 배양 기간이 증가할수록 굴절력이 다시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다. 모든 디옵터의 etafilcon A 렌즈에서 관찰된 굴절력 변화는 소프트콘택트렌즈의 기준오차범위를 벗어나는 큰 변화였으며 이러한 변화는 저굴절력 렌즈에서의 더 크게 나타났다. 반면, 비이온성의 hilafilcon A 렌즈는 etafilcon A 재질 렌즈의 약 20%에 해당하는 단백질 이 침착되었으며, 인공누액에서의 배양기간이 증가할수록 지속적으로 유의한 굴절력의 증가를 보였다. Hilafilcon A 재질 렌즈의 굴절력 역시 인공누액에 배양하게 되면 기준오차범위를 벗어나는 변화가 나타났으며 저굴절력 렌즈에서 더 큰 굴절력의 변화가 나타났다. 실리콘 하이드로겔 재질인 comfilcon A 렌즈의 경우는 침착되는 단백질의 양이 가장 적어 etafilcon A 렌즈의 약 10%에도 미치지 못하였으며, 이에 따른 굴절력 변화도 적어 모든 디옵터에서 기준 오차범위 내의 변화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렌즈에 침착된 누액 단백질에 의해 렌즈 재질에 따라서는 기준오차범위를 벗어날 정도의 큰 굴절력 변화가 나타남을 밝혔다. 이로써 소프트콘택트렌즈의 긴 착용 시간으로 유발되는 시야흐림 현상의 원인 중의 하나가 누액 단백질 침착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으며, 많은 침착 단백질 양을 가지는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경우 적절한 재질의 렌즈 선택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해액 누액에 의한 리튬이차전지 보호회로의 영향 (Effect of Protection Circuit Module for Li-Secondary Battery on Electrolyte Leakage)

  • 남종하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6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413-414
    • /
    • 2016
  • 리튬이차전지는 양극과 음극이 충전과 방전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전극 내에서의 이온의 삽입 및 탈리가 용이하고 이들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전극의 구조가 안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전해질은 이온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여야 한다. 전지에서 전극 내로 삽입되는 이온은 집전체를 통해 전극으로 들어온 전자와 전하중성을 이루어 전극 내에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매개체가 된다. 리튬이차전지에서 전해액은 유기 전해액이 사용되고 있으며, 유기용매에 이온원으로서 용질인 리튬염을 용해시킨 것이지만 폭 넓은 환경조건하에서도 이온의 이동을 계속적으로 원활하게 하여 실용전지로서 충분한 역할을 하도록 만드는 중요한 재료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지에서 유기 전해액의 누액이 발생시 보호회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알코올 섭취에 따른 눈의 생리기능과 안기능의 변화 (Changes in the Physiology of eye and Ocular function due to alcohol intake)

  • 이정영;서정익;박은규
    • 한국정보컨버전스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25-2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 섭취가 눈의 생리기능과 안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아보기 위해 알코올 섭취 전,후의 안압, 누액분비량, 입체시차, AC/A비, 폭주여력, 개산여력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전체 대상자의 알코올 섭취 전 평균 안압은 15.14mmHg이고 알코올 섭취 후 평균 안압은 12.8mmHg로 평균 15.44%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누액분비량은 알코올 섭취 전 검사대상자 평균 17.125mm에서 알코올 섭취 후 평균 9.875mm로 42.33%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체시차는 알코올 섭취 전 40'에서 알코올 섭취 후 165'로 약 4배가량 증가하였다. AC/A비는 알코올 섭취 전 $5.40{\Delta}/D$, 알코올 섭취 후 $6.19{\Delta}/D$로 14.6% 증가하였고 폭주여력과 개산여력은 원거리, 근거리 모두 유의한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