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누수관리

Search Result 240, Processing Time 0.292 seconds

Analysis of the effect of leakage on water head reduction in the pilot scale pipeline connected to the field pipeline. (현장 관망과 연결된 Pilot 스케일 관로에서 누수가 수두감쇠에 미치는 영향 분석)

  • Lee, Jeongseop;Ko, Dongwon;Lee, Taekwan;Yun, Seokjun;Choi, Dooyong;Kim, Sa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00-400
    • /
    • 2022
  • 관로 내 빈번히 발생하는 수격압의 발생은 관망 구조물에 피로가 누적되고 관벽에 손상을 발생시켜, 관로 내 누수가 다양한 형태로 생성된다. 관 내 누수가 발생되는 경우 관 내부의 수격압의 발생 시 생성되는 부압으로 인하여 외부 물질이 관으로 흡수되거나 혼합되어 스케일과 미생물의 생성되는 등 관 내의 수질에 악영향을 끼치며 마찰을 증가시켜 통수능이 감소하고 관리에 추가적인 비용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영향을 방지하기 위해 관 내에서 생성되는 누수를 탐지하기 위하여 수격압을 발생시켜 압력파를 분석하거나 추적을 수행하는 여러 가지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 관망과 연결된 100A 대구경 관로에 관로 수압 발생장치를 연결하여 기존의 수격압을 발생시켜 분석하는 방법 대신 안전하고 용이한 방법인 압력파를 주입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을 통해 획득한 데이터를 시간상에서 분석하고 Fourier 변환을 통한 빈도상 분석과 Wavelet 분석으로 신호주기에서 누수가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실험 결과에서는 누수에 의한 영향으로 반사파가 직접적으로 변형되는 형태보다 시스템 전체에서 반영되어 수두가 감쇠되는 형태로 나타났다. Fourier 변환을 통해 무누수 조건과 누수조건의 비교에서 누수의 유무에 따른 신호의 형태가 차이를 보였다. 앞선 연구들에서의 누수의 특정한 위치를 찾아내는 형태 대신 신호처리 후 분석을 통해 시스템 전체에서 일어나는 감쇠를 통해 누수 존재 유무를 판별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Simulation of a Leakage Sensing System using TDR (TDR을 사용한 누수감지 시스템의 시뮬레이션에 관한 연구)

  • Kang, Byung-Mo;Hong, I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05b
    • /
    • pp.835-838
    • /
    • 2003
  • 인구증가와 발전으로 도시 집중화 현상에 따라 수도의 수요증가가 가속화되는 상태이다. 특히 물 부국현상 및 수질악화로 인한 수원확보도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다. 누수로 인한 막대한 손실을 줄이고자 컴퓨터와 인터넷을 이용하여 누수가 발생할 경우, 누수 여부를 판단하고 중앙모니터링 센터에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따라서 누수를 탐지할 수 있는 구체적인 알고리즘이 필요하고, 전체 감지 시스템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지에 대한 설계가 필요하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요인 중에 하나는 TDR 기술을 사용한 누수감지 시스템이다. 본 논문에서는 TDR기술을 이용하여 누수 감지시스템을 제안하고 유효성을 입증하기 위해 파이로트 시스템을 구축하여 시뮬레이션 하였다.

  • PDF

Leakage Monitoring Model by Demand Pattern Analysis in Water Distribution Systems (상수도 수요량 패턴분석을 통한 누수감지 모형)

  • Kim, Ju-Hwan;Lee, Doo-Jin;Choi, Doo-Youg;Bae, Cheol-Ho;Park, Su-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79-483
    • /
    • 2012
  • 최근 국내외에서 기상이변에 따른 물 부족에 대응하고 먹는 물의 생산과 공급 효율성 향상을 위하여 스마트워터그리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경향으로 이는 상수도 인프라시설의 운영오류, 자연재해, 사이버를 통한 의도적 공격 등에 대해 안전하고 신뢰성이 높은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수도 분야에서는 스마트 미터링 개념을 도입하여 상수관망에서 발생되는 각종 사고나 물 손실을 저감하기 위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누수량이 많을 경우에는 누수의 징후가 지표면에서 확인이 가능하나 미세한 경우 탐사장비의 운영이나 인력의 투입을 통해 가능하다. 물 공급계통인 상수관망에서 물 손실을 저감시키기 위한 방법중 하나로서 수도미터로부터 기록되는 물 사용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누수패턴을 추출함으로써 누수감시가 가능하도록 하는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는 탐사장비에 의한 누수감지와 상호 보완적을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사용량 자료를 분석하여 사전에 처리된 자료의 노이즈와 결함 있는 계측값을 필터링시키는 기법이 도입된 것이며 신속한 감지를 통해 누수 지속시간을 감소시킴으로서 누수량의 저감을 목표로 한다. 물 공급 네트워크를 보다 더 효율적 만들 수 있는 누수 감시모형은 상수관망의 운영에 필요한 정보를 도출하기 위하여 보다 정확하고 다양한 수학적 및 통계적 분석을 기반으로 구성되어 누수 외에도 각종 결함을 찾아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향후 다양한 지역을 이러한 수용가의 물 사용량 미터링 결과를 토대로 실제 사용량과 누수량을 분리하여 분석함으로써 국내 실정에 적합한 누수감시 기술배발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누수저감을 위한 실질적인 상수관망의 운영관리 효율향상의 정보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Detection of Semiconductor Chemical Leakage through Image Data Analysis (이미지 데이터 분석을 통한 반도체 화학물질 누액 검출연구)

  • Yoo Sang-Taek;Min Youn 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669-670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열화상 카메라 및 주변 환경요인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각종 반도체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화학물질의 누수를 검출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는 대형화되고 복잡한 집적배관이 시공되어 있는 공장 환경에서 검출센서를 통한 화학물질 누수 관리를 열화상 시스템으로 대체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신속한 대응 및 관리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누수 배관표면의 열패턴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함으로 기존 누수 검출 센서(면적식 라인타입의 센서)에 대비하여 20% 이상 검출의 신속성 향상을 보장할 수 있다.

  • PDF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ion for Prevent ing A memory leakage of Memory Pool on Memory Management of Real-Time Operating Systems (실시간 운영체제의 메모리 관리에서 메모리 풀의 메모리 누수 방지 기법 설계 및 구현)

  • 조문행;정명조;유용선;이달한;이철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a
    • /
    • pp.628-630
    • /
    • 2004
  • 실시간 운영체제가 탑재되는 임베디드 시스템의 공간제약 특성상 한정된 자원을 가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 및 관리가 필수적이다. 특히 CPU 와 함께 한정된 크기의 메모리는 운영체제의 중요한 자원으로, 효율적인 메모리 관리를 통해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운영체제의 동적 메모리 관리기법 중 메모리 풀에서의 메모리 누수 방지 기법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A Study on a Remote Leakage Sensing System in Waterworks Network (원격 상수도관망 누수감지 시스템에 관한 연구)

  • Kang, Byung-Mo;Hong, In-Sik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1D no.6
    • /
    • pp.1311-1318
    • /
    • 2004
  • Demand of water is increased according to city centralism phenomenon in population and development. In this progress, guarantee of enough water is important factor for water supply policy. For the detection of exact water leakage point, an epochal sensing technique using computer and internet is required, so, the water pipe having sensing wire and sensing technology using TDR(Time Domain Reflectometer), is proposed in this paper. For the prove of effectiveness of this system, pilot system using 300mm 3-layer coated steel pipe is made and tested.

Hierarchical Clustering Analysis of Water Main Leak Location Data (상수관로 누수위치 자료를 이용한 계층적 군집분석)

  • Park, Su-Wan;Im, Gwang-Chae;Choi, Chang-Lok;Kim, Kyu-Le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2 no.3
    • /
    • pp.177-190
    • /
    • 2009
  • Rehabilitation projects for old water mains typically require considerable capital investments. One of the economical ways of pursuing the rehabilitation projects is to focus on a specific area within the entire region under management. In this paper the hierarchical clustering methods that analyze spatial inter-relationship of location data are applied to about 8,000 water leak location data recorded in a case study area from 1992 to 1997. Among the hierarchical clustering methods Single, Complete, and Average Linkage Methods are used to identify clusters of the water leak locations and to divide the area according to the defined clusters. By comparing the clusters identified by the clustering methods, the best clustering method for the case study area is suggested. Prioritization of the area for maintenance is obtained based on the water leak incident intensity for the clustered area using the suggested best clustering method.

Development of a pipe burst detection model using large consumer's smart water meter and pressure data (대수용가 스마트미터와 수압 데이터를 이용한 소블록 내 관 파손사고 감지모델 개발)

  • Kyoung Pil Kim;Wan Sik Yu;Shin Uk Kang;Doo Yong Cho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521-521
    • /
    • 2023
  • 지방상수도의 관 파손사고 감지 및 누수관리 방법에는 블록시스템 구축을 통한 소블록별 야간최소유량 감시방법이 가장 대표적이다. 야간최소유량은 새벽 2시와 4시 사이의 인구 활동 비율이 가장 낮은 새벽 시간대에 소블록에 공급된 유량을 의미하며, 대부분 유량 성분은 누수량일 것이라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그러나 아파트 중심의 주거 형태를 보이는 도심지의 경우, 새벽 시간대에도 다량의 물수요가 비정기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관망의 이상 여부를 감시하기 위한 관리기준으로서 야간최소유량을 이용하기에는 높은 일간 변동성에 따른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야간최소유량은 관 파손사고 발생의 감시보다는 관로 연결 또는 급수전 분기 부위에서 발생하는 미량의 누수가 수개월에 걸쳐 누적되는 장기추세를 분석하여 누수탐사반의 투입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근거를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아직까지 관 파손사고의 발생은 자체적인 감지보다는 민원에 의해 인지되는 경우가 많다. 최근, 스마트관망 구축사업(SWM) 등을 통해 관 파손 및 누수 감지를 위한 청음식 누수감지센서가 소블록 내 도입되고 있으나, 초기 시설투자에 큰 비용이 수반되며 주변 소음과 배터리 전원방식의 한계로 인하여 새벽 시간대에만 분석이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경우가 많아 이 역시도 상시적인 관 파손사고의 감시기술이라 보기는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소블록 유입점에서의 유량·압력과 소블록 내에 설치된 대수용가 스마트미터, 그리고 사고감지를 위한 수압계 사이의 평상시 수리적 균형을 학습한 DNN(Deep Neural Network) 모델을 이용하여 관 파손사고를 실시간 감지하는 모델 개발연구를 수행하였다. 모델은 관 파손사고 감지를 위한 수압계의 최적 위치와 대수를 결정하기 위한 모듈과 관 파손사고 감지모듈로 구성되며, 1개 소블록 Test-Bed를 구축하여 모델을 생성하고 PDD 관망해석 모델을 통해 생성된 가상의 사고에 대한 감지 여부로서 개발 모델의 감지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

청계천 유역 지하수 모니터링을 위한 자료 구축 및 관리 방안

  • Park Jong-Cheol;Jang Se-Jeong;Kim Yun-Yeong;Hyeon Yun-Jeong;Lee Gang-Geun;Kim Hyeon-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5.04a
    • /
    • pp.437-440
    • /
    • 2005
  • 서울시는 복개천이었던 청계천을 복원하여 도심지를 통과하는 하천을 만들기 위해 청계천 복원 공사를 수행하고 있다. 청계천 복원 공사 구간을 포함하는 유역에는 서울시 지하철 1, 2, 4, 5, 6호선 등이 통과하고 있으며, 도시 내 비수시설, 하수관거시설 등 자연적인 수문현상에 영향을 주는 인위적인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존재하고 있다. 때문에 청계천 복원 공사 후 유역내의 여러 요인들과 공사의 정도에 따라 누수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공사 후 청계천에서의 누수율에 대한 측정은 공사의 성공여부를 결정하고, 향후 지속적인 누수가 예상되는 청계천의 유지 보수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특히 청계천의 손실량의 대부분을 차지할 지하로의 누수에 대한 측정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누수율을 측정하고, 누수율과 주변 요인들과의 관계를 추정할 수 있는 수문모델링을 수행할 필요성이 있다. 수문모델링은 일회성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수행될 필요가 있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청계천 유역에서의 지속적인 수문관련 인문 자연자료를 획득하여 정리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계천 복원 공사 구간의 유역에 대한 인문 자연자료를 GIS(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치도면과 속성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베이스화한다. 그럼으로써 청계천 주변 유역에 대한 도시형 수문 모델링 연구에 활용하고, 아울러 공사 후 지속적으로 누수율을 측정하는데 자료를 원활히 제공하여 청계천의 유지 보수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