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높이-길이 비

Search Result 291,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Effect of Wind Break on the Early Growth of Pinus thunbergii at Saemangum Sea-wall (새만금 방조제에서 곰솔의 초기 생장에 미치는 방풍 시설 설치 효과)

  • Kim, Jeong-Hwan;Lim, Joo-Hoon;Seo, Kyung-Won;Jeong, Yong Ho;Um, Tae-Won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5 no.4
    • /
    • pp.210-218
    • /
    • 2013
  • The sea breeze shows different characteristics compared to land breeze, such as high wind speed and more rapider shift period. One of the major factors affecting plant early growth is wind speed. In the early growth stage, tree growth-rates rise with decreasing wind speed. Thus, the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wind break effects on wind characteristics and tree growth. The wind break used in this study was about 130 meters length and 3 meters height, made up with poly-ethylene (with 40% openness). We installed one vane and fifteen anemographs at three different heights (1, 2 and 3 meters) on the inner and outer wind break areas. The wind characteristic and plant growth data were collected from Jun. 2011 to Oct. over 2012. The wind rose of the Saemangum seawall area presented the north (21.5%) and it was followed by north-west (18.1%), east (14.9%) and north-east (13.7%) and the remainder with other directions. Wind speeds at height were different. The tree height was 159.6 cm at inside and 129.6 cm at outside. The diameter at root-collar was 36.9 mm at inside and 32.6 mm at outside from wind break.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of River-Crossing Structures (하천횡단구조물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Kim, Ki Heung;Jung, Hye R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68-572
    • /
    • 2015
  • 하천횡단구조물은 하천을 횡단하는 시설물로, 크게 농업용수 취수용 보, 하도개수시 유속제어를 위한 낙차공 등을 들 수 있으며, 각각의 설치목적에 따라 그 형태와 설계제원(높이, 마루폭, 바닥보호공의 길이 등)이 다르나, 하천을 횡단하여 인공적인 구조물을 설치하는 형태는 동일하다. 따라서, 하천횡단구조물은 홍수시 배수위 영향으로 상류에 수위상승을 초래하여 하천의 치수 안전도를 저하시킬 뿐 아니라 직하류에서는 하상의 세굴에 의하여 호안 및 제방이 파괴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또한, 하천횡단구조물은 생태계의 이동통로로서의 종적 연속성을 차단하는 것이다. 즉 하천을 따라 거슬러 올라가는 소하성 어종(anadromous species)이나 하천에서 바다로 내려가는 강하성 어종(catadromous species)과 같은 회유성 어종의 이동을 차단하기도 하며, 회유성 어종 이외에도 치어와 성어의 성장환경이 다른 어종의 경우는 상 중 하류를 옮겨가며 성장하는 어종의 이동도 차단하고 있다. 하천횡단구조물은 치 이수적 측면에서 반드시 필요한 하천구조물로서 치수, 생태 및 경관의 측면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나 지금까지는 어도설치나 기능을 상실한 보의 철거 등 소극적인 수준에 머무르고 있기에 적극적인 개선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하천횡단구조물로 인한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경남의 20개 시 군 684개의 지방 하천에 설치된 7,725개의 하천횡단구조물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구조형식, 높이, 재료, 어도 설치 여부, 세굴현황 등을 분석하였다. 하천횡단구조물의 용도별 구성비는 보가 49%, 낙차공이 51%로 나타났으며, 구조형식은 콘크리트 구조가 72%, 콘크리트 석재 구조가 25%, 석재 구조가 3%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하천횡단구조물의 본체 높이별 구성비는 0.5m 이하가 14%, 0.5~1.0m가 35%, 1.0~1.5m가 34%, 1.5~2.0m가 10%, 2.0m 이상이 7%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어도 설치는 약 9%인 669개소에 설치되어 있었으나 대부분이 어류 등의 이용하는 생태통로 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하폭, 하상고, 하상경사, 굴입정도, 유사량 등의 하도특성 및 용수이용 여건 등을 고려하여 유공관을 이용한 지하보, 석재 아치의 원리를 이용한 계단식 자연형 보/낙차공, 부분 램프 설치, 거석 놓기 등의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개선방안은 하천복원 및 하천개수 사업 시행시에 반영하여 합리적인 하천복원 및 관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Stack Effect Mitigation Methods in Exit Route of High-rise Building (고층 건축물 피난경로의 연돌효과 저감 방안)

  • Kim, Jin-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4a
    • /
    • pp.284-288
    • /
    • 2010
  • Length of staircase get longer and evacuation load get heavier in proportion to the building height. Therefore evacuation time could be considered proportional to square of building height. While smoke spreads vertically so rapidly, evacuation speed is too slow, therefore the reasonable measure for the safe of egress route is urgent. Existing pressurizing smoke control system of vertical exit route is seriously limited in function under the stack effect in winter. Stack effect in winter could be overcome with the methods of opening the staircase outward or letting airflow be free between staircase and outside.

  • PDF

Experimental analysis of the sedimentation processes in the movable weir by changing the channel slope considering weir operation (가동보 운영 및 하상경사 변화에 의한 보 상류 퇴사과정의 실험적 분석)

  • Lee, Kyung Su;Jang, Chang-La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1 no.8
    • /
    • pp.729-737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ediment processes the Improved-pneumatic-movable weir through laboratory experiments considering changing channel slope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delta migrates towards the weir and the delta height increases as time passes. Moreover, as the delta approaches the weir, the delta migration speed decreases. As the dimensionless delta location increases, the effective height of dimensionless delta and the dimensionless reservoir capacity increases. Therefore, under the same slope conditions, the sediment deposition volume of the delta is small as the channel slope is mild. This means that the channel slope affects the development of the delta in the upstream of the Improved-pneumatic-movable weir. At the beginning of the experiment, the foreset slope is mild. However, the foreset slope of the delta increases with water depth as the delta migrates downstream. Moreover, as the slope is mild, the ratio of delta front length to delta height is close to 1, and the dimensionless delta height and the dimensionless delta migration speed decrease. As the delta height increases, the water depth, the velocity approaching to the weir and the delta migration speed decrease.

A Correlation Study for the Prediction of the Maximum Heat Release Rate in Closed-Compartments of Various Configurations (다양한 형상의 밀폐된 구획에서 최대 열발생률 예측을 위한 상관식 검토)

  • Yun, Hong-Seok;Hwang, Cheol-Hong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2 no.1
    • /
    • pp.16-23
    • /
    • 2018
  • In a closed-compartment with various configurations, the correlation that can predict the maximum heat release rate (HRR) with the changes in internal volume and fire growth rate was investigated numerically. The volume of the compartment was controlled by varying the length ratio based on the bottom surface shape of the ISO 9705 fire room, where the ceiling height was fixed to 2.4 m. As a main result, the effect of a change in ceiling height on the maximum HRR was examined by a comparison with a previous study that considered the change in ceiling height. In addition, a more generalized correlation equation was proposed that could predict the maximum HRR in closed-compartments regardless of the changes in ceiling height. This correlation had an average error of 7% and a maximum error of 19% for various fire growth rates when compared with the numerical results. Finally,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correlation to representative fire compartments applied to the domestic performance-based design (PBD) was examined.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predicting the maximum HRR caused by flashover in closed-compartments as well as the input information required in a fire simulation.

Numerical Analysis for Lateral Earth Pressure on Retaining Wall with Relieving Platform backfilled with Jumoonjin Sand (주문진 모래로 뒤채움한 선반식 옹벽의 수평토압에 관한 수치해석)

  • Moon, In-Jong;Kim, Byoung-Il;Yoo, Wan-Kyu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6
    • /
    • pp.3916-3922
    • /
    • 2014
  • Generally, the retaining wall is becoming unstable as the height is higher. On the other hand, the retaining wall with the relieving platform is more stable and more economical than any other type of retaining wall, because the relieving platform the reduce the lateral earth pressure. In this study, numerical analyses were carried out for 15 cases varying with the type of retaining wall, length and location of the relieving platform and the backfill type. From the numerical analyses, the reduction of the lateral earth pressure was checked and the results of numerical analyses were compared with that of model tests and theoretical equations.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lateral earth pressure of the retaining wall with the relieving platform is considerably less than that of cantilever wall. And the of magnitude of the lateral earth pressure is affected by the length and location of relieving platform and the backfill type.

Determination of the Optimal Location of Baffle Blocks in the Sluice Gate (하단방류형 가동보 감세블록의 최적 위치 선정)

  • Cho, Sung Yoon;Jang, Dong Woo;Park, Hyo 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61-361
    • /
    • 2015
  • 감세블록(baffle block)은 고속의 흐름에서 도수를 유도함으로써 과도한 에너지를 감세시키는 역할을 하는 구조물이며 구조물의 크기, 형태, 위치, 조합 등의 변수로 도수가 형성되는 조건을 조절하여 흐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하단방류형 가동보에서 고속으로 방류되는 흐름의 Froude 수가 2.5에서 4.5 사이일 경우 발생하는 불규칙한 주기의 진동이 중첩 보강되면 감세하기 어려운 파동을 형성하여 수 Km 동안 지속될 수 있어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하다(Peterka, 1984). 이 연구에서는 총 연장 11m, 폭 0.5m의 구형수로에 하단방류형 가동보와 감세블럭을 설치하여 감세블록의 위치가 에너지의 감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감세블록의 최적 위치를 제안하였다. 감세블럭은 높이 2cm, 폭 5cm의 구형단면으로 제작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치형 배열하였으며, 가동보로 부터 5.5~8.5cm 지점에서 1cm간격으로 총 5가지 조건으로 수리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수문 하단에서의 Froude 수가 3.8~3.9를 만족하는 강한 도수가 발생할 수 있도록 유량을 조절 하였고, 유속과 수심은 3차원 유속계와 피에조미터를 이용하여 가동보로부터 0.2m간격으로 하류단 2m 지점까지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가동보로부터 도수가 발생하여 수위가 안정되는 지점까지의 도수길이는 감세블록을 설치한 경우, 설치하기 전의 1.1m와 비교하여 최소 27.3%에서 최대 81.8%만큼 짧아졌으며 감세블록 보에 가깝게 설치될수록 도수길이는 단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동보 하류부에서 도수가 발생한 이후 수심이 안정화되는 1m 지점에서, 도수 전후의 비에너지비로 정의되는 도수효율은 감세블록 미설치 시 74.9%이고, 감세블록이 설치된 조건에서는 54.9~60.6%로 감세블록에 의한 에너지 감소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 감세 효과가 가장 큰 감세블록 위치는 가동보로부터 6.5cm 떨어진 곳으로 하류단 수심의 약 80%에 해당하는 지점이 감세블록의 최적 위치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Numerical Study of the Thrust Vectoring Characteristics in a Two-Dimensional Convergent Divergent Nozzle (2차원 축소확대노즐의 추력편향특성 수치해석연구)

  • Kang, Hyung Seok;Choi, Seong Man;Oh, Seong Hw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17 no.2
    • /
    • pp.94-104
    • /
    • 2013
  • A numerical analysis has been conducted to determine the pitch thrust vectoring characteristics of a two-dimensional convergent divergent exhaust nozzle for supersonic aircraft application. The numerical analysis was done by using Fluent and verified by the experimental test results. Analysis was performed with pitch angle of $0^{\circ}$ and $20^{\circ}$ each at the ambient temperature condition. To see the effect of a ratio of pitch flap length and pitch flap height, the ratio was varied from 0.5 to 2.5. The numerical analysis shows that pitch thrust is changed greatly with pitch flap length. The big difference of the pitch thrust with pitch flap length is due to the shock interactions in the nozzle.

Effect of fill material of gabion drop structures in open channel on subflow (개수로 돌망태 낙차공의 채움재가 복류에 미치는 영향)

  • Kim, Yong Hyun;Son, Sang Jin;Shin, Seung Suk;Park, Sang Deo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77-277
    • /
    • 2022
  • 급경사 산지하천은 호우 시 퇴적 하상이 붕괴하여 하천 유사량을 급격히 증가시키는 계곡형 토석류가 발생하고 도로와 교량에 피해를 일으키기도 한다. 이러한 하천재해를 저감하기 위하여 돌망태 낙차공을 설치하여 하상 안정을 강화하고 급경사에 따른 유수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급경사 하상에 설치한 돌망태 낙차공은 하류부 하상의 국부세굴에 따른 파괴위험이 완경사 하상의 경우에 비하여 높으므로 이를 줄이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광폭경사조절 개수로에 돌망태 낙차공을 설치하고 낙차공의 채움재가 복류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리실험을 하였다. 수리실험에서는 최대 20º까지 경사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 1.44m, 폭 0.14m인 직사각형 단면 개수로에 SUS304 구슬을 사용하여 하상과 돌망태 낙차공을 설치하고 실험하였다. 구슬은 크기에 따라 작은구슬(10.31mm), 중간구슬(15.08mm), 큰구슬(20.63mm)을 사용하고, 하상에는 작은구슬을 깔았다. 낙차공의 크기는 길이 16cm이고 폭과 높이는 12cm이며, 돌망태는 작은구슬을 사용한 단일돌망태와 구슬 크기를 달리한 계층돌망태로 구분하였다. 계층돌망태의 상층은 작은구슬, 중층은 중간구슬, 하층은 큰구슬이 채움재로 사용되었다. 단일돌망태의 공극율은 0.399이고 계층돌망태의 공극률은 상층 0.393, 중층 0.517, 하층 0.54이다. 실험유량의 변화는 낙차공 하단부에서 표면류가 발생하지 않는 범위로 한정하였다. 낙차공 하단에서 상류 68cm 지점의 소류력과 낙차공 내부 복류의 수면경사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단일돌망태보다 계층돌망태가 소류력과 수면경사가 더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돌망태의 공극을 통한 통수능 차이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Length of GFRP Rebars Based on Pullout Test (인발실험에 의한 GFRP 보강근의 정착길이 제안)

  • Choi, Dong-Uk;Ha, Sang-Su;Lee, Chang-Ho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9 no.3
    • /
    • pp.323-331
    • /
    • 2007
  • The development length equations of the GFRP rebars are suggested based on the pullout tests performed in this study. A total of 48 pullout and modified pullout tests were completed. Test variables included embedment length (L=10, 15, 20, and $30d_b$), vertical and horizontal installation of the rebars, height of the rebars (H=100 and 300 mm), and cover thickness $(C=2{\sim}5d_b)$. D13 GFRP rebars domestically developed were used in the experimental program. The average of the bond strength of all vertically installed GFRP rebars was 6.39 MPa with a 5% fractile of 4.63 MPa. A basic development length equation was derived that resulted in an equation equivalent to the one proposed in the ACI 440.1R-03. Careful reevaluation of the bond strength using the modified pullout test indicated that a modification of the design equation was necessary so that the basic development length increases by 11%. The top bar effect of the horizontally installed rebars as well as the effect of the cover thickness were determined and included in the set of suggested equations. Since the current equations were derived from testing rebars embedded in relatively low strength concrete $(f_{ck}=20{\sim}24MPa)$, they result in conservative development lengths when applied to bars embedded in higher strength concre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