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농촌 주택

검색결과 276건 처리시간 0.023초

대구시 칠곡지구의 도시발달 (The Process of Urban Development of Chilgok District in Daegu City)

  • 진원형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83-95
    • /
    • 2004
  • 대구시 칠곡지구는 금호강을 경계로 대구의 기성시가지와 분리되어, 독립된 지역성을 지니고 있으며, 과거부터 상당한 규모의 도시발달이 이루어졌던 역사적 도시이다. 본 연구는 칠곡지구의 도시발달 과정을 역사적으로 고찰하고, 현안 개발과제를 분석하고자 한다. 칠곡지구는 영남대로가 통과하는 교통의 요충지로서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중요성이 크게 인식되어 1640년 칠곡지구 및 칠곡군 일대가 칠곡도호부로 되었다. 초기 칠곡도호부의 읍치는 가산산성에 있었으나, 읍내동 지역으로 읍치를 옮기게 된다. 1914년 칠곡군청 소재지를 경부선 철도가 통과하는 왜관으로 옮겨, 칠곡지구는 상대적으로 성장이 지체되었다. 그 후 대구시의 세력권에 흡수되면서 대구 외곽의 배후 농촌지역으로서 점진적인 도시발전을 이루어 나갔으며, 1981년 대구시로 편입되었다. 1980년대 말부터 칠곡지구의 택지개발사업이 시작되었는데, 태전교 북부의 팔거천 유역평야를 중심으로 개발되었다. 구 칠곡읍의 중심지는 공공개발지구에서 제외되었으나, 민간 개발이 이루어져 옛 모습을 찾아볼 수 없다. 칠곡지구는 현재 고층아파트 중심의 공동주택과 단독주택이 혼재된 고밀도의 주거신시가지로 변모하였다. 칠곡지구의 개발에 따라 도로교통 혼잡 문제가 드러났으며, 향후 개발추세로 미루어 보아 교통문제는 지속될 전망이다. 대구시 제4차 순환도로의 조기개설, 지하철 3호선의 개통 등이 요구된다.

  • PDF

국내 농어촌 표준 목조주택의 hygrothermal 성능 분석 (Analysis of Hygrothermal Performance for Standard Wood-frame Structures in Korea)

  • 장성진;강유진;위승환;정수광;김수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3호
    • /
    • pp.440-448
    • /
    • 2016
  • 본 연구는 WUFI Pro 5.3을 이용하여 한국농어촌공사에서 제시하고 있는 농어촌 표준 목조주택 설계를 기준으로 목조 벽체의 hygrothermal 거동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2010년도에 제시된 벽체보다 2014년도에 개선된 벽체의 Total Water Contents (TWC)가 더 낮게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고, 3년간의 평가에서 TWC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동적 안정 상태에 도달하였음을 보아 hygrothermal 환경을 적절히 고려하는 개선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농촌지역과 어촌지역을 구분지어 hygrothermal 거동을 평가한 결과, 벽체가 해당지역의 온도보다 상대습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목재 기반 재료의 과도한 수분 함량 문제는 실외마감의 재료를 바꾸는 것으로 어촌지역에도 적용이 가능한 벽체로 개선할 수 있었다. 곰팡이 성장 위험의 경우, 초기 실내 설정온도에서 여름철에 곰팡이가 성장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고려하여 여름철 실내 설정온도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개선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건축설계 단계에서 WUFI 프로그램과 같은 hygrothermal 거동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수분에 대한 문제를 미리 분석하고 이에 맞는 벽체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꽁치과메기에 대한 선호도 및 섭취빈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the Taste and the Intake-Frequency for Kwamaegi - Centering around Kyungbuk Regions-)

  • 조영대;김정애;오승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585-594
    • /
    • 2000
  • 경북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식생활 행동과 꽁치과메기의 기호도 및 섭취 빈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65.2%가 맛 그 다음이 영양가 14.6%, 청결성 14.3%, 가격 4.3%, 칼로리 0.7% 순으로 음식 선택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있어 남자는 맛을 가장 선호하고 청결성, 영양가, 가격의 순으로 관심을 가지고 있으나 여자는 맛 다음으로 영양가(25.4%)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청결성, 가격 순으로 나타났다. 나이가 많을수록 영양가에 관심을 두며, 칼로리는 학생층에서 91.7%나 높은 관심을 보였다. 농촌주민은 맛에. 어촌주민은 청결성에, 도시주민은 영양가에 다른 거주지역 주민보다 음식선택시 큰 관심을 특히 어촌은 식중독 등의 위험에 대한 정보를 상시 접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2. 외식시 선호 음식은 남(81.5%). 여(78.2%) 모두 한식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한식을 선호하고 연령이 낮을수록 양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젊은 층에서의 양식선호는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학력별로는 고졸 이하가 한식 (95.0%)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핵가족은 한식과 분식을 선호하며, 어른을 모시고 사는 확대가족이 외식시 양식, 일식, 중국식 등 다양한 음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주거형태별로는 연립주택 주민의 93.0%가 한식을 가장 선호하며. 아파트 주민은 한식 다음으로 분식을 선호하였다. 거주지역별로는 도시 주민이 한식(81.9%)을 가장 선호하며 어촌주민은 특히 외식시 양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꽁치과메기에 대하여 91.4%가 긍정적인 응답을 하여 경북지역 주민은 과메기에 대해 높은 선호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메기를 먹는 때는 71.1%가 술안주로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도시 주민 20.3%가 과메기를 간식으로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놓고 볼 때 술안주로서 과메기가 아니라 꽁치과메기가 향토 식품으로 자리잡기 위해서 조리방법의 개발 등을 통하여 반찬으로나 간식으로 먹을 수 있도록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4. 과메기 1회 먹는 양은 남자가 여자보다 월등히 많았다. 대부분 3∼10마리를 1회에 먹으며 30세 이하에서는 67.4%정도가, 남자의 61.1%가 3∼10마리 정도를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의 53.7%가1∼2마리 정도를 1회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1회에 20마리 이상(1두릅) 많이 먹는 연령층은 30세 이하의 젊은 층으로 나타났다. 주거형 태별로는 개인주택 주민이 1회 먹는 양이 가장 많았다.

  • PDF

농촌주택 단열성능 분석 현장연구 (Field Survey of Insulation Performance Analysis in Rural Houses)

  • 권순찬;김은자;임창수;박미정;최진아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7권spc호
    • /
    • pp.703-714
    • /
    • 2016
  • Dwelling environments that can help elderly farmers to live more safely, independently, and conveniently are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Many rural houses are built without any particular architectural or energy-related criteria, so most of them have poor insulation. The construction technology used is also not precise, which increases the loads for heating and cooling. Therefore, rural houses need to be improved. Also, there is more and more need for plans to realize eco-friendly dwellings, so the principle of nature-oriented plans related to the direction, insulation, or landscaping of a house is being emphasized. Insulation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ways to save energy for heating and cooling. This preliminary study to improve the insulation of rural houses examined three regions in South Korea: the central region, the southern region, and the Jeju Island. A field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 a total of 18 houses, including six from each town in the selected regions. The information was used to figure out the current status of rural hous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s. The main living spaces are the living room for the central region and the main room in the southern region and Jeju Island. The southern regions are plane shapes surrounded by rooms, and all ventilation is accomplished by windows. The studied houses were mostly masonry structures with slate rooftops. Additions and improvements included room expansions and bathroom interior installations.

대중교통서비스 취약계층의 공간적 분포 특성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ransit-Poors in Urban Areas)

  • 김재익;강승규;권진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2
    • /
    • 2008
  • 버스와 지하철 등 대중교통수단은 승용차가 없는 시민들에게는 유일한 이동수단으로써 생활필수 서비스에 속한다. 또한 스마트성장을 비롯한 바람직한 도시성장유형들은 예외없이 대중교통수단 위주의 개발 (transit-oriented development)을 권장하고 있다. 그러므로 대중교통서비스는 모든 시민들에게 가용한 기본서비스가 되어야 함과 동시에 도시정책의 주요수단이 된다. 본 연구는 대중교통서비스 취약지역을 파악하고 그 분포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도시 대중교통정책 수립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를 사례지역으로 하여 통계청의 기초단위구 자료와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분석단위를 세분화하고 이를 기준으로 버스 및 지하철 정류장과의 거리를 계산하였다. 그리고 정류장으로부터 300m이상 격리된 지역을 대중교통서비스 취약지역으로 간주하였다. 이 기준에 따라 대중교통서비스 취약지역의 특성을 면적, 인구, 주택유형 등의 측면에서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대중교통서비스는 지역별로 큰 차이가 나는 가운데 특히 교외지역과 농촌지역에서 취약계층이 많음이 입증되었다. 특히 본 연구는 이동성이 낮은 노인인구중 대중교통서비스를 이용하기 쉽지 않는 계층을 파악하고 공간적 분포를 제시하였다.

  • PDF

농촌 주택붕괴 대비 방재쉘터의 부재 적정성 평가 - 수치해석을 중심으로 - (Appropriateness Evaluation of Rural House Collapse Prepare Disaster Shelter Member - Focusing on the Numerical Analysis -)

  • 오현문;김정면;이응범;임창수;김용성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9권5호
    • /
    • pp.51-60
    • /
    • 2017
  • This research is a basic study to minimize the risk of disaster (earthquakes and landslides) for rural residential houses. In this study, three-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varying the diameter (D), thickness (T) and the spacing of longitudinal members (C.T.C) of duralumin and galvanized steel pipe as the materials of main members in order to carry out the analysis of the dimension and the applied load of shelter for disaster prevention, and to evaluate the eligibility of members that can satisfy safety and usability. From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member eligibility by the above numer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duralumin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member diameter (D) and thickness (T), and in the case of galvanized steel pipe, its spacing of longitudinal members has a huge amount of influence over the member force, so it is considered that the duralumin and galvanized steel pipe materials can be used as materials for the main members of disaster prevention shelters in terms of safety and usability.

서울 근교 농촌주택에 있어서 식사 및 취사공간에 관한 사례 연구 -경기도 용인군 용인읍 삼가 3리 마을을 중심으로- (A Casestudy on the Eating and the Cooking Spaces of Farmhouse in Suburban Area)

  • 윤정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87-100
    • /
    • 198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weller's housing needs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dwellers' living pattern and space usage. The objectives were (1) to examine how to eat and cook in the eating and cooking spaces, (2) to examine how to alter the original housing, (3) to research the dwellers' housing needs for the eating and cooking spaces, and the changing process of dwellers' housing needs, and (4) to classify the type of eating and cooking spca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1) there were changed in eating pattern of space usage according to the season. The eating activities were a Korean living pattern : sitting on the floor and eating at the BAB SANG. (2)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attern of space usage and the activity for main cooking and KIM CHI. (3) AN BANG (eating space for winter) as well as MARU (eating space for summer) has changed to a larger space. (4) By the changing of living patterns, BU AUK (a main cooking space ) has showed a various alternations: function, dimension of space, facilities, floor materials and floor level. (5) The dwellers' housing needs for eating space were a multipurpose room, and a dining kitchen of western living pattern (using a dining table and chairs) with the present changing life styles. (6) The dwellers' housing needs for cooking space were a multipurpose room of working area, a seperation of heating area, a western living pattern, a plan of flat fllor level and a dining kitchen. (7) BU AUK of eating and cooking spaces was classified into 4 types: a traditional type, a mixing type, a modernized type, and a western type.

  • PDF

농촌주택개량사업에서 파생되는 문제와 그 대책 (A Study on some Problems derived form Improvement Work of Rural Houses and their Solutions)

  • 장보웅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19권
    • /
    • pp.41-51
    • /
    • 1979
  • Since 1971 when the nation wide 'New Community' movement was launched to improve rural standards of living, dol and thatched-roof houses have been reshaped or removed, thereby making it hard to find time-honored people's living structures in the countryside. Since 1977, the improvement work of rural houses has started throughout the country, so many new rural residences have been constructing along the highway, main roads, railways and around the sightseeing area, New rural houses do not show, for the most part, the traditional architectural style and the nation's unique conventional ways of living. The writer tried to find solutions to the problems derived from improvement work of rural residence, in a comparative method of traditional rural houses and newly constructed rural ones. The greater part of new rural houses' types, painting colors, and fence types had been recommended by provincial administrative trative officials. Officials recommended them to the farmer with their standards, which did not consider farmer's convenience of traditional way of life, but a fine sight from the highways or railways. Korea's three basic roof types are the HAPKAK roof (gabled and hipped), the UCHINKAK roof(hipped), and the BAKKOONG roof(gabled). However, the gabled roof houses, having their entrance on the gabled side, are found more ofter in new rural village. As mentioned above, architectural style is not harmonious with the topography and climate i Korea, because it is not Korean traditional type, but one of the western styles. And new rural house plans are inconvenient in the conservation rural family system, because of the same category with urban houses plans. Other problems derived from ton-traditional architecture style are roof painting in 4-5 colors in a new village, types of wall and fence, and attached building in the site.

  • PDF

한국농촌지역 전통주택과 마을입지의 이기풍수(理氣風水) 해석 - 의성 김씨 종택을 중심으로 - (A location analysis of Korean traditional housing and farm village based on the Eagi(理氣)theory in Feng Shui : Case study on the head family house of Mr. Kim located in Uisung County, Kyongsang Province)

  • 권영휴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1권1호
    • /
    • pp.3-1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ize the 'Eagi(理氣)' theory in Feng Shui which has been neglected in Korea because of its difficulties in the current Feng Shui theory and to make it easier to apply in the art of placement. The study also analys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tion of a sample village in terms of Feng Shui. Besides the placement analysis, the interpretation of the Yangtaek(陽宅) theory was analysed on the layout of the outdoor space of the building. As the initial step, various theories about Feng Shui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ose, the framework of the Feng Shui theory was summarized for application to the case study. Yangtaeksamyo(陽宅三要) was referred to for consideration of Feng Shui theory outside the residential buildings. At the same time, configurational analysis of the ground was carried out with the naked eye and actual measurements were taken using a specific compass(佩鐵).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 'Eagi' theory in Feng Shui, which finds a 'lucky site(穴)' selects the 'geomagnetic aspect(坐向)' by analyzing the natural forces of wind and water. In this theory, the aspect was regarded of most importance. 'Yangtaek Feng Shui (陽宅風水)' was the theory that people's ups and downs depends on the direction of the place where they live on, and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I ching(周易)'. Second, the village and the house in the case study have been considered as lucky places from old times and this was equally verified by the 'Eagi (理氣)' theory and the "Yangtaek (陽宅)' theory.

GIS를 활용한 도시개발과 기반시설의 합리적 연계 (Linking Urban Development Density with Infrastructure Capacity)

  • 여창환;김재익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6-59
    • /
    • 2007
  • 도시성장관리는 도시개발의 위치와 시기를 조절하여 도시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지향하는 정책이다. 도시기반시설은 도시성장관리의 핵심관리대상으로써 미국의 경우 대표적으로 도시서비스구역(urban service boundary), 공공시설의 충분성 및 동시성 프로그램 등을 통하여 관리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기반시설의 관리를 위하여 밀도관리구역과 기반시설부담구역 제도를 도입한 바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도시기반시설은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기반시설용량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없이 도시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GIS를 이용하여 기반시설의 용량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기반시설용량 지도를 작성하여 이를 다시 주상복합아파트 개발과 연계함으로써 도시성장관리 측면의 적용 가능성을 검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도로와 초등학교를 대표적인 기반시설로 선정하고 기반시설용량 지표로서 도로율과 초등학교 학급당인원수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계산결과를 관련 법령에서 정하거나 권장하고 있는 수준의 용량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도로율은 외곽지역과 도심, 도심과 인접한 지역에서 높게 나왔고, 반면, 소규모 공장이 입지한 공업지역, 공원, 공항, 군사시설 등이 있는 지역에서 낮게 나왔다. 초등학교 수용용량은 전반적으로 양호하였으며 그중 농촌지역, 도심과 기성시가지 지역은 용량이 충분하였고 반면, 주택밀도가 높은 아파트 지역은 부족한 것으로 분석됐다. 기반시설용량과 주상복합아파트개발 입지를 중첩하여 분석한 결과, 대구광역시의 경우 대부분의 주상복합아파트가 기반시설용량의 여유가 있는 지역에 입지하여 과밀개발의 가능성이 낮았으며, 인구측면에서도 인구감소지역에 개발되어 어느 정도의 인구유입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