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농촌 건강

검색결과 836건 처리시간 0.03초

허리통증이 있는 농촌지역 여성들에 대한 허리 강화 운동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 of Back-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in Rural Community-Dwelling Women with Mild Low Back Pain)

  • 백소라;김보람;김고운;박희원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6권2호
    • /
    • pp.53-66
    • /
    • 2021
  • 목적: 농촌 지역사회 기반의 허리 근력 강화 운동 프로그램이 운동과 허리 건강에 대한 개인의 태도 및 믿음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강원도 지역 네 개의 농촌 마을에서 가벼운 허리 통증이 있는 79명의 여성 자원자(42-76세)들을 운동군(n=40)과 대조군(n=39)으로 마을단위로 배정하였다. 운동군에서는 지역사회 기반의 허리강화 운동 프로그램(주당 3회, 8주간)이 시행되었고 대조군에는 일반적인 건강 관리에 대한 강의가 제공되었다. 등척성 허리 신전 근력과 허리 통증 관련 장애, 운동에 대한 태도, 허리 질환에 대한 위협인지, 운동의 자기 효능감을 중재전과 중재후 1, 2개월째 측정하였다. 결과: 운동군에서 2개월후 허리 신전근력은 뚜렷이 증가하였으며 허리 통증 관련 장애도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운동에 대한 태도와 허리 질환에 대한 위협 인지는 운동군에서 증가하였으나 대조군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운동의 자기효능감은 양군에서 같이 증가하였으나 운동군에서 그 정도가 더 뚜렷했다. 결론: 농촌 지역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허리 근력 강화 운동 프로그램은 허리 통증으로 인한 장애를 감소시켰고 운동의 효과에 대한 태도와 믿음을 변화시켰다.

농촌지역과 어촌지역 주민들의 건강행태 비교 (The Comparison of Health Behaviors Between Fishing Area Residents and Agricultural Area Residents)

  • 남해성;이정애;신준호;손명호;권순석;나백주;김순영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7권1호
    • /
    • pp.33-50
    • /
    • 2002
  • 어촌주민의 건강행태를 농촌주민과 비교하기 위해 1998년 11월부터 1999년 4월까지의 기간 동안 어촌지역(고흥군 2개면) 503명, 해안지역으로부터 근거리 농촌지역(고흥군 3개면) 775명과 원거리 농촌지역(곡성군 2개면, 남원시 2개면) 1,425명을 조사하였다. 연령보정 후 대조지역인 근거리 및 원거리 농촌지역과 비교할때 어촌지역 30세 이상 주민들은 다음과 같은 건강행태의 차이를 보였다. 1. 어촌 남성의 과음자율은 근거리 및 원거리 농촌지역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았으며 금주시도율은 유의하지는 않지만 더 낮았다. 그 중에서도 특히 어촌지역의 30-49세 연령층이 가장 높은 음주율을 보였고, 70세 이상이 가장 낮은 금주시도율을 보였다. 반면 어촌 여성의 음주율은 원거리 농촌보다 유의하게 더 낮았다. 2. 어촌 남성의 매일 흡연율 및 금연시도율은 농촌지역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만 70세 이상 어촌 남성의 흡연율이 근거리 및 원거리 농촌지역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고, 50대 이상 어촌 남성의 금연시도율이 원거리 농촌지역보다 유의하게 더 낮았다. 어촌 여성의 흡연율은 원거리 농촌지역보다 유의하게 더 낮았다. 3. 어촌 남성의 저염식 시도율은 원거리 농촌 남성보다 더 낮았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여성의 경우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어촌지역의 과체중률은 남녀 모두 농촌지역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어촌 남성의 운동실천율은 원거리 농촌지역보다 더 낮았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어촌 여성의 운동실천율은 원거리 농촌보다 유의하게 더 낮았다. 6. 어촌지역의 혈압측정률은 남녀 모두 농촌지역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어촌지역을 중심으로 한 지역단위 건강증진사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본 연구의 결과에서 나타난 농촌지역과의 차이점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여성보다는 남성의 건강행태에 더 관심을 두어야 하며 특히 30-40대 남성의 음주문제, 전체 주민의 운동행태에 대한 검토가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농촌노인의 사회활동 및 여가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cial Activity and Leisure Activity on Life Satisfaction of the Rural Elderly)

  • 전명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298-310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 노인의 사회활동, 여가활동, 그리고 삶의 만족도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는데 있었다. 60세 이상의 농촌노인들로부터 324부의 구조화된 설문서를 수집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건강상태와 경제상태가 농촌노인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농촌 노인의 사회활동에서 경제활동, 종교활동 및 지역사회 참여활동은 전반적 삶의 만족에, 종교 활동과 지역사회 참여활동은 주관적 건강만족에, 경제활동은 주관적 경제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농촌 노인의 여가활동에서 취미활동, 학습활동 및 사교활동은 전반적 삶의 만족에, 취미활동과 사교활동, 소일거리가 주관적 건강만족에, 취미활동과 사교활동이 주관적 경제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농촌 건강증진 시범사업 지역주민과 비 시범사업 지역주민의 건강증진생활 행태 비교 (The Comparison with Health Promoting Life Styles of People between Demonstrating and Non-Demonstrating Health Promotion Services in Rural Community)

  • 이영숙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4권1호
    • /
    • pp.124-134
    • /
    • 2009
  • 본 연구는 건강증진 시범사업을 수행하는 보건소와 자체 예산으로 건강증진 사업을 수행하는 보건소간 주민의 건강증진 생활 형태의 차이를 대표성있는 대상자를 선정하여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은 지난 2004년 1년간 건강증진 시범사업 실시 지역 1개 군(H 군)과 비 실시 지역 1개 군(J 군)을 임의표집하고, 2개 군에 주소를 둔 20세 이상 주민 전체 중 연령별, 남녀별, 읍면별로 인구분포 수에 따라 층화비율 표집을 하여 총 1,300명을 추출하였다. 자료는 훈련받은 조사원이 젊은이는 자가보고식으로 노인은 면접법으로 수집하였고 도구는 한국판 BRFSS설문지를 수정보완하고, 보건복지부의 식생활자가점검표, 박순영이 개발한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두 지역 주민의 건강증진 생활행태를 차이를 x2-test와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로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보건복지부 지원의 건강증진 시범사업지역 주민이 더 건강하다고 생각하고, 흡연율, 음주관련 생활행태가 모두 좋았으며 규칙적 운동율도 높았고, 스트레스도 유의하게 낮아 정부 지원건강증진 사업이 효과적이라고 나타났다. 이는 건강증진 5대 요소를 모두 포괄하는 사업계획을 하였으며, 타 보건소와의 경쟁을 통해 사업지역으로 선정되고, 사업 종료 후 내외부 평가 기준과 지침이 명확하며, 사업비 지원이 중요요인으로 작용하였다고 본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한다. 1) 다년간 건강증진사업 시범지역과 비시범지역의 차이를 비교하는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2) 건강증진생활 행태를 중심으로 대도시, 도농복합도시 및 농촌의 건강증진 사업 효과를 비교할 필요가 있다.

국내 건강도시 프로젝트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건강도시 관련 특성 조사 (The Characteristics of Healthy City Project in Korea)

  • 정길호;김건엽;나백주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4권2호
    • /
    • pp.155-167
    • /
    • 2009
  • 본 연구는 국내 건강도시사업을 추진하는 지역사회 담당자를 대상으로 세계보건기구의 건강도시 특성을 중심으로 건강도시 추진 현황을 살펴봄으로 국내 건강도시의 나아가야 할 방향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2007년 2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우편설문조사를 하였는데, 설문문항은 건강도시 현황, 건강도시 담당자의 일반적 특성, 건강도시 기본 특성, 건강도시에 대한 자체평가, 건강도시 발전방향 등으로 구성하였다. 전체 23개 지역사회 중 도시가 11개(47.8%), 농촌이 12(52.5%)였으며, 건강도시 담당부서는 보건소가 73.9%로 대부분이었다. 건강도시 담당자는 여자가 60.9%, 연령은 40대가 65.2%, 건강도시 경력은 6~12개월인 경우가 34.8%로 가장 많았다. 건강도시 기본 특성을 살펴보면, 건강도시 자체 예산 확보(91.3%), 도시건강 프로파일 작성(91.3%), 협력대학 기술지원(82.6%), 건강도시 조례 제정(78.3%), 주민참여(78.3%), 운영위원회 구성(73.9%), 생활터 접근 사업(69.9%), 건강도시 네트워크에 적극적 참여(69.6%) 등이 높았으며, 부서간 협력 활성화(34.8%), 건강도시 장기 계획 수립(39.1%), 공약 및 시정방향에 건강도시 포함(43.5%), 취약 계층 대상 사업(47.8%), 전담조직 구성(47.8%), 건강도시 자체 세미나 실시(47.8%)가 낮았다. 도시농촌간 건강도시 전담조직의 경우 도시가 72.7%가 구성되어 있는 반면 농촌은 25.0%만 구성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건강도시 전담조직 유무에 따른 건강도 기본특성을 살펴보면, 전담조직이 있는 경우 부서간 협력, 주민참여, 생활터 접근, 건강도시 네트워크가 잘 된다고 응답하였다(p<0.05). 건강도시 수행시 사업개발과 예산확보가 어려웠으며, 건강도시 사업시 우선 고려 사항으로는 부서간 협력이 34.8%로 가장 높았다. 건강도시성공을 위한 핵심인물로는 82.6%에서 단체장이라고 응답하였고, 국내 건강도시 활성화를 위해 향후 역할을 할 기관으로는 중앙정부인 보건복지가족부(52.2%)가 가장 높았다. 국내에서는 AFHC 회원도시 수가 급속히 증가하여 왔으나 건강도시를 위한 정치적 지원과 전담조직의 설립 등이 미진하며, 건강형평성을 고려한 사업 및 부문간 협력에 의한 포괄적인 건강도시 경험이 축적되어 오지 못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건강도시의 정의와 선진 건강도시들이 제시하고 있는 원칙 및 특징에 충실하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농촌 여성 노인의 건강의식 및 건강관리경험 (Health Management Experiences of Rural Older Women)

  • 김숙영;김희걸;전경자;소애영;박은옥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87-94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health management experience in rural older women. Methods: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by focus group interviews with 25 participants from July to September, 2007. All the interviews were tape-recorded, transcribed, and analyzed by the content analysis method. Results: Seven main categories were conceptualized, "health concept", "health status", "disease management", "activity for health management", "dependence on the primary health care post", "relationships with families and others", "hope for the rest of lif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for health promotion in older women in rural regions,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usefulness of an incorporated program that combines agricultural work with health activity. In addition, complex programs that combine welfare services with health services are needed.

알츠하이머병에 관한 건강정보 이해력 측정도구 개발 및 평가: 농촌 노인을 대상으로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ealth Literacy Instrument for Alzheimer's Disease: Case of Older Adults in Rural Areas)

  • 정소형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1
    • /
    • 2024
  • Purpose: This study develops a health literacy instrument for Alzheimer's disease. Methods: Items were drawn from The Korean version of the Alzheimer's Disease Knowledge Scale (ADKS) and the Korean version of European Health Literacy Survey Questionnaire (HLS-EU-Q47 & HLS-EU-Q16). Content validity was tested by experts. To further refine the questionnaires and test their reliability and validity, data were collected from 324 older adults in the community. Results: Five significant items in the two subscales were derived from the factor analysis. The subscales were named access and understanding. Reliability was good at Cronbach's ⍺ .79, and validity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KMO .897, p<.001, which was found to be high and significant. Conclusion: The instrument demonstrated high reliability and validity. Therefore, this instrument can contribute to the evaluation of health literacy for Alzheimer's Disease in older adults and to any subsequent intervention, as well as to develop a theory for health literacy for Alzheimer's Dis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