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농촌정비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3초

혼불문학권역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에 관한 연구 - 마을의 문화유산 보존 및 정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nservation and Reuse of Cultural Heritage focused on Rural Settlements Honbul Village, Namwon City)

  • 박창범;서향순;김태영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1-8
    • /
    • 2008
  • This paper is aimed to clarify the conservation and reuse of historic areas in modern ages, especially focused rural settlement Honbul village, Namwon city. Honbul village has modern historic areas as well as the korean traditional head houses, and so many narratives. There are old Seodo station building and the other facilities centered on these areas. And so this paper is to conserve and reuse not only this station but also traditional head house as modern cultural assets for revitalizing Honbul village. This study has been done by the field survey and interviews on the basis of the blueprint and its conditions. Through these modern historic areas, it would be for visitors experiencing the sustanable living condition from now on, excellent landscape of Honbul village. And also development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brand naturally increase incomes of farm families, and finally it will go far toward solving the rural problems.

  • PDF

농촌 생활환경 정비구역의 설정 (Spatial Delineation of Planning Unit for Rural Village Improvement)

  • 조영국;김성진
    • 농촌계획
    • /
    • 제4권1호
    • /
    • pp.15-21
    • /
    • 1998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a basic spatial unit for rural village redevelopment plan. An ideal spatial unit need to satisfy three basic premises: to be homogeneous as rural community, to be appropriate to implement the project, and to be compatible with regional planning systems. A spatial unit could, empirically, be defined based on the homogeneity at first, and then appropriateness and compatibility could be used to adjust its boundary. Mitan-Myun(13 villages), Pyungchang County, Dochuck-Myun(15 villages), Kwangju County, and Chuksan-Myun(28 villages), Kimje City in Korea were selected as case study areas. The degree of interrelationship between all possible pairs in each Myun was measured using spatial, socio-cultural, and economic indicators. Multidimensional Scaling(MDS) was used to identify a homogeneous spatial unit, and then indicators representing appropriateness and compatibility were used to adjust the identified boundary. New districts which have two or three villages were suggested as a reasonable spatial unit for rural village redevelopment, and its boundary roughly overlaps with Bup-Jeong-Ri(法定里: a legally defined village).

  • PDF

농촌관광활성화를 위한 경관요소 도출 및 평가 -중국 농촌관광지를 대상으로- (Elicitation and Evaluation of Landscape Components for Vitalization of Rural Tourism -Centered on Rural Tourist Attractions of China-)

  • 손창연;김종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6권5호
    • /
    • pp.937-945
    • /
    • 2016
  • 최근 중국에서 농촌관광개발이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지만 경관적 측면을 고려하지 않은 채 진행되고 있어 이용자들에게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를 가져왔다. 이에 본 연구는 농촌관광활성화를 위한 경관요소의 도출 및 평가를 통해 농촌관광지 경관계획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경관요소와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해 농촌관광활성화를 위한 경관요소를 도출하였고, 관광객을 대상으로 중요도 만족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1)농촌관광지 경관계획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할 경관요소로 지역상품, 안전시설, 공공주차장의 순으로 나타났다. 2)경관개선방향으로 교통과 숙박시설에 있어서는 지역특성을 반영하여 특색 있는 경관조성을 지향하고, 쓰레기수거시설, 식음료시설, 네트워크 및 전력시설은 질서감이 있는 계획을 통해 경관정비 및 유지관리가 필요하다. 하천 및 호수는 자연성 회복, 오폐수정화시설은 차폐경관에 의해 경관정체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대고지질지모관광지구"의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며, 나아가 중국의 농촌관광지조성 및 관리에 있어 실효성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농촌 빈집 정책의 문제점 및 개선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of the Rural Vacant House Policy)

  • 김용균;김상범;안필균;조한솔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19-26
    • /
    • 2022
  • In rural areas, changes in the agricultural structure began to appear as the vulnerable class increased due to a decrease in population such as a decrease in fertility and aging, and the elderly were unable to engage in agriculture. The number of farmers and farmers is steadily decreasing, and the elderly population living in rural areas is steadily increasing. Rural houses are left empty due to the moving, hospitalization, and death of the elderly popu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current status of vacant houses in rural areas, problems of vacant houses policy in rural areas, and improvement plans.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opulation status and aging of rural areas, and to present a plan to improve the trend of vacant houses with cities and the problems of vacant house policie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process. First, the definition of vacant houses in rural areas should be redefined. Second,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auses of vacant houses in rural areas and plan the use of vacant houses linked to them.Third, the management system of vacant houses in rural areas should be clear.

농촌지역의 가뭄재해 법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Legal System for Drought Disaster of Rural Region)

  • 이영근;박미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129-129
    • /
    • 2016
  •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인한 자연재해의 대규모화에 따라 가뭄재해가 농촌지역에 중대한 피해를 끼칠 수 있는 여지가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4대강 살리기 사업으로 인하여 대하천의 정비가 강화되었지만 농촌지역 주변의 중소하천은 여전히 기후변화에 취약한 현실이다. 농촌지역의 가뭄재해에 대하여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이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농촌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한 대응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연재해대책법 시행규칙" 및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시행령", 그리고 "농어업재해대책법 시행규칙"에 있어서 가뭄관련 조항의 개정을 제안하였다. "자연재해대책법" 제2장(자연재해의 예방 및 대비)에서는 풍수해(제2절), 설해(제4절) 에 이어 가뭄에 대한 예방 및 대비를 규정(제5절 29조-33조)하고 있다. 제29조는 가뭄방재를 위하여 필요한 조사 및 연구를 수행하여야 함을 규정하고 있는데, 여기서 '필요한' 조사 및 연구는 시행령 혹은 시행규칙 등을 통해 명확히 할 필요가 있으며, 제30조는 가뭄재해 극복을 위해 제한 급수 및 제한 발전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으나, 조치를 취함으로써 발생하는 손해 배상 규정의 삽입이 필요하다.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8조(다른 법률과의 관계 등) 2호에서 제3조1호 가목의 규정에 해당하는 재난(가뭄 포함)의 예방 복구 등에 관해서는 '자연재해대책법'이 정한 바에 따르도록 규정하고 있기는 하지만, 자연재해로 인한 재난에 대해서는 소극적 규정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제4장(재난의 예방)에 있어서 재난은 제3조1호의 가목(자연현상으로 발생하는 재해), 나목(사회적 재해), 다목(국가기반체계와 관련된 재해) 각각의 경우에 따른 예방대책의 수립이 필요하다. 각 조항의 개정은 농촌지역 가뭄재해에 대한 정책활용을 염두에 두고 개정안을 제시하지만, 법령 자체의 목적 및 타법과의 정합성 등 대한민국 법체제의 통일성 및 안정성을 최대한 반영하였다. 해당 조항의 개정으로 농촌 및 농업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가뭄대응 정책의 활용을 도모하고 가뭄재해로부터 안전한 영농환경이 구축될 수 있을 것이 기대된다.

  • PDF

농촌지역 마을개발 사업에 대한 주민 인식도 조사 - 일반 농산어촌개발사업의 읍·면소재지 종합정비를 대상으로 - (A Study on Residents' Perception of the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 Focused on the Comprehensive Improvement of the Seats of Eup and Myeon in General Rural Area Development Projects -)

  • 김정규;김윤학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35-42
    • /
    • 2014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methods to provide life service for hinterland villages, which is the biggest function of the seat of myeon in rural areas, and enhance central functions/roles. This study also aim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establish a direction of the future projects of the seat of myeon through empirical study on the comprehensive improvement projects of the seats of eup and myeon and related demanders' perception for sustainable rural area. Based on the results, a variety of hardware manuals are correspondent with present rural situations in the comprehensive improvement projects of the seats of eup and myeon. Therefore, community-based welfare facilities should be expanded. Also, village infrastructure facilities and village landscape projects should be promoted to improve pedestrian environment. Finally, switching into an ecological environment project should be considered to improve village environment as well as supply energy saving facilities.

농촌지역 친수공간의 개발유형 분류를 위한 둑높이기 저수지의 통계적 분류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am Heightening Reservoirs for Classifying Rural Waterfront Development Type)

  • 정인균;정광욱;권진욱;김해도;이광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707-707
    • /
    • 2012
  • 현재 농업용저수지 둑 높이기 사업이 전국 110개 저수지를 대상으로 추진되고 있다. 다양한 효과가 기대되고 있는 둑 높이기 사업과 더불어 농업생산기반시설 및 주변지역 활용에 관한 특별법의 시행으로 저수지 등 농업기반시설 및 그 주변지역을 본래의 기능을 유지하는 범위에서 개발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다양한 시설물의 설치와 운영을 통해 지역의 수익창출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저수지 수변지역으로 개발계획이 집중되어 있고 추가확보 되는 용수는 하천유지와 농업용수 공급에 주로 활용될 계획이므로 추가확보 용수의 보다 다양한 활용방안을 제고하여 더 많은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그 중 하나로 둑 하류지역 농경지의 관개배수체계를 정비하여 추가용수 이용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농촌마을과 연계하여 친수공간을 조성함으로서 둑하류 농촌마을 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경제적 이득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친수공간 개발은 둑높이기 저수지의 추가용수 확보규모 및 지역의 지형, 토지이용,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유형화를 통해 대표적 특성에 대한 표준안을 개발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초연구로서 둑 높이기 저수지의 특성 및 주변 현황자료를 수집하고 통계적인 기법을 이용하여 5개의 둑하류 농촌지역 친수공간 개발유형을 분류하였으며 지역 및 공간적 분포를 제시하였다.

  • PDF

헝가리의 농업 정보 및 농촌지도 시스템 (The Agricultural Information and Extension Systems in Hungary)

  • 뎌르디 내스메이;김성수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8권1호
    • /
    • pp.59-72
    • /
    • 2001
  • 이 연구는 1990년대 이후 헝가리 농촌지도의 특징적인 변화를 고찰하였다. 헝가리의 농촌지도사업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주로 대규모 농장을 대상으로 한 농업기술전파에 주력하였다. 1990년대 이후 사유재산의 인정과 시장경제체제로의 전환과 함께 시장에서의 경쟁력이나 지속성에 대한 요구는 농촌지도사업의 방향전환을 요구하게 되었다. 유럽연합의 농업정보시스템 표준화에 요구와 헝가리 내의 농산업구조의 변화는 농업정보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낳게 되었다. 헝가리에서 농업정보시스템의 개발은 농업경제연구정보원(AKII, Research and Information Institute for Agricultural Economics)과 중앙통계사무소(Hungarian Central Statistical Office)에서 이루어졌다. 시스템 개발의 주요 분야는 농업통계, 농장회계자료네트웍, 시장정보시스템의 세 가지이며 이들의 복합적인 농업정보시스템으로 형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위의 세 가지 주요 범주의 개발배경과 진행사항,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헝가리 농업 농촌개발부(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의 최근 정책의 특징은 전국적인 농촌지도상담 네트웍의 구축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의 헝가리 농촌지도사업체계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농업농촌개발부의 군사무소는 지역사회의 독농가나 선도농가와의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며, 이러한 독농가나 선도농가로 하여금 지역의 농민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둘째는 민간 자문가들이 농장을 방문하여 현장에서 농민들에게 전문적인 도움을 주도록 하는 것이다. 민간 자문가들은 도 단위의 전문지도사들로부터 정보나 기술에 대한 전문적인 도움을 받는다. 세 번째는 전문교육기관을 통한 농민들에 대한 직접적인 교육이다. 이러한 교육들은 농민들에게 무료로 제공되며, 교육과정이나 프리젠테이션, 전시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현재 헝가리 농촌지도체계는 그 실행과정, 효율성, 조직적인 면에서 완성되지 못하였고 전환기에 처해 있다. 효율적인 농촌개발을 위해서는 농촌지도상담의 효과나 조직면에서 많은 연구와 정비가 필요한데 이는 헝가리의 국가적 이익의 증대와 유럽연합의 목적에 부합하기 위해서도 적극적인 관심과 노력을 필요로 하는 분야이다.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농촌지도사업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면, (1) 수도인 부다페스트에 농촌지도사업을 전반적으로 책임지는 중앙부서를 설립하여 효과적인 농촌발전을 지원하여, (2) 7개의 도에 농학계 대학과 연구소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센터를 설립하여 도내의 농촌지도상담활동과 영농에서 농업관련 사안에 대해 문제해결 중심의 도움을 주도록 하며, 지역센터는 자율적, 독립적으로 운영하도록 하고, (3) 50여개의 군에 일선지도기관을 설립하여 농업인들이 쉽게 방문할 수 있도록 하며, 지역의 특수한 상황이나 사안에 대해 융통성 있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 PDF

하천에 있어서 자연성의 보전, 정비 및 창출에 관한 연구 : 지역하천의 생태학적 토지이용 특성(1) (A Study on the Conservaion, Rehabilitation and Creation of Naturality of Rivers : Characteristic of Ecological Land Use in the River Basin(1))

  • 이행렬;김훈희;박정원
    • 한국농촌계획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촌계획학회 1998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 학술논문발표회
    • /
    • pp.25-26
    • /
    • 1998
  •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land use characteristics between urban and rural river systems. The ecological land unit systems was used to the key method for that objectives and the visual analysis was also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 The won-sung river was characterized by the formal urban river system of which the headwater was covered with the various man-made constructions. Also the pong-se river showed a little simptoms of the urbanization from the headwater that meant the urgent ecological land use evaluation about that region.

  • PDF

용수로의 자연친화적 정비 및 설계 (Consolidation and Design of Naturally Favorable Irrigation Canals)

  • 김선주;양용석;안민우
    • 농촌계획
    • /
    • 제8권2호
    • /
    • pp.50-56
    • /
    • 2002
  • In 1980s, studies on the river environment and the management techniques to maintain the quality of water achieved actively. From the beginning of 1990s, the concept considering the river ecology and conservation in urban area have been introduced in Korea. Recently, some environment friendly projects on the rivers have been executed and some are under way. Many small rivers in rural areas have been maintained considering landscape and partly ecology. However until the pilot project named Songsam drainage channel project started in 1998, there were no studies and projects on the irrigation and drainage channels considering environment friendly maintenance. Korea Agricultural and Rural Infrastructure Corporation (KARICO) is going to introduce environment friendly and naturally favorable maintenance technique when the new projects to reform the irrigation and drainage channels are planned. Irrigation channel in O-dong project site in Yeomsan-myeon, Younggwang-gun was designed considering environment friendly consolidation and mainten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