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업공간

Search Result 663,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농장탐방 - (주)건지농업회사법인(육계)

  • Choe, In-Hwan
    • KOREAN POULTRY JOURNAL
    • /
    • v.48 no.8
    • /
    • pp.120-123
    • /
    • 2016
  • 국내 육계사중 처음으로 고상식계사(발명 특허 제10-0786770호)를 접목한 (주)건지농업회사법인(대표 곽춘욱, 이하 건지농장)은 끊임없이 선진 사양기술을 적용해 생산비는 낮추고 생산성은 올리고 있다. 고상식계사는 계분과 닭의 생활공간이 분리되어 더욱 위생적이고 쾌적한 사육환경 조성이 가능하다. 또한, 최근에는 열교환기 설치로 난방비를 크게 절약하고 있는 건지농장이다. 이번호에는 수년전 대형닭 사육기술을 연구개발해 국내 대형닭 시장의 초석을 다진 건지농장 곽춘욱 대표를 만나 농장 운영상황에 대해 들어 보았다.

Energy Saving Effect of a Greenhouse with New Laborsaving Opening & Closing System of Thermal Tunnel Film (보온터널 개폐 생력화 장치를 이용한 온실의 난방에너지 절감 효과)

  • Ryou, Y.S.;Kang, G.C.;Kim, Y.J.;Paek, Y.;Jang, C.H.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7a
    • /
    • pp.255-260
    • /
    • 2002
  • 일반적으로 온실의 효과적인 온도관리를 위해서는 단열효과가 우수한 보온재를 이용하거나 또는 난방공간의 체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터널재배가 바람직하다. 지금까지는 딸기, 수박 등 키가 작은 작물에 한하여 보온터널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나, 보온터널의 개폐를 인력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노동력이 많이 들고, 개폐에 소요되는 시간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중략)

  • PDF

Development of Control System with Self Diagnosis for Greenhouse Teleoperation (자가 진단기능을 가진 온실원격제어 시스템의 개발)

  • 심주현;박주현;김연태;이석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7a
    • /
    • pp.407-412
    • /
    • 2002
  • 인터넷 기술의 발달은 산업현장에서 오프라인에서만 가능했던 일들을 온라인 상에서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원자력 폐기물 처리작업, 우주공간에서의 작업, 해저에서의 작업등과 같이 사람이 직접 하기에 위험한 작업들은 반드시 원격 제어기술이 요구된다. 원격 제어에 있어서 인터넷은 안정성과 편리성 그리고 용이성을 동시에 제공한다. 그러므로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제어관련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중이다. (중략)

  • PDF

농촌 전통문화보전 기능의 인식 분석과 화폐가치

  • Kim, Eun-Ja;Kim, Young;An, Yoon-Soo;Lee, Sang-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4.05a
    • /
    • pp.162-163
    • /
    • 2004
  • 우리나라는 농경문화가 주류를 이루어 발달해 온 문화권에 속한다. 그러므로 우리의 전통생활문화에서는 농업의 특성과 지역공간에 기반을 둔 두레나 품앗이 등 공동체의 생활양식이 발달되어 왔다. 설날과 보름, 단오, 추석과 같은 명절의 세시풍속과 많은 전통문화의 요소는 농업ㆍ농촌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으며 이는 도시보다는 농촌에서 보다 쉽게 유지되고 보존되어진다. (중략)

  • PDF

Analysis of flood control effect by applying variable restricted water level on rehabilitated agricultural reservoir (둑높이기 저수지의 가변 홍수기 제한수위 적용에 따른 홍수조절효과 분석)

  • Ryu, Jeong Hoon;Song, Jung Hun;Kang, Moon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69-369
    • /
    • 2017
  • 농업용저수지는 이수 목적으로 비홍수기 농업용수 공급을 위한 용수 확보를 주요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한편, 농업용저수지가 홍수조절능력 또한 지니고 있음이 다수의 연구를 통해 제기되고 있으며, 이에 치수 목적으로 홍수기 홍수피해 저감을 위한 치수 대책 또한 수립할 필요가 있다. 현재 우리나라 농업용저수지의 홍수기 운영은 제한수위 방식을 기준으로 하되 필요에 따라 예비방류를 허용하는 조합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운영 방식은 홍수기 이후 상시만수위로 복귀하지 못하면 해당 년도 잔여 비홍수기 혹은 다음 년도 영농 시작 시기의 농업용수 공급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홍수기 농업용저수지의 운영은 홍수조절과 함께 상시만수 위로의 복귀를 동시에 고려하여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가변 홍수기 제한수위 (Variable Restricted Water Level, VRWL) 방식은 홍수 발생빈도와 규모를 고려하여 단위기간별 (일별 혹은 순별) 제한수위를 차등 부여하는 방식으로, 한정된 저수공간의 효율적 재할당에 따라 이수와 치수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방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저수지를 대상으로 저수지 유입량 빈도해석을 수행하고 순별 가변 홍수기 제한수위를 산정한 후 가변 홍수기 제한수위 적용에 따른 홍수조절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지는 전국 110개 둑높이기 농업용저수지 중 가능최대홍수량 대상저수지 (유역면적 2,500 ha 이상, 총 저수량 500만 톤 이상) 12개소로 선정하였고, 저수지별 기상자료와 지형자료를 구축하였다. 저수지 유입량 모의를 위하여 장기유출량 산정 모형인 TANK를 이용하였으며, 구축된 저수지 유입량 자료를 토대로 순별 유입량 빈도해석을 수행하고 홍수기 저수지 유입량의 이론적 확률분포형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확률분포형을 토대로 초과확률 10%에 따른 순별 저수지 수위로서 가변 홍수기 제한수위를 산정하였다. 산정된 가변홍수기 제한수위 적용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홍수조절용량을 산정하였고, 유역비 홍수량을 지표로 하여 홍수조절능력을 평가하였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는 둑높이기 농업용저수지의 홍수기 제한수위 설정 및 관리, 운영 지침 개선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stimation of High-Resolution Soil Moisture Using Sentinel-1A/B SAR and Deep Learning Regression Model (딥러닝 모형을 이용한 Sentinel SAR 기반 고해상도 토양수분 산정)

  • Lee, Taehwa;Kim, Sangwoo;Chun, Beomseok;Jung, Younghun;Shin, Yong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14-11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Sentinel-1 SAR 센서 기반 이미지자료와 딥러닝기법을 이용하여 고해상도 토양수분을 산정하였다. 입력자료는 지표특성(모래함량, 점토함량, 경사도), 인공위성 기반의 강우와 LANDSAT 기반의 이미지자료(NDVI, LST, 공간분포 토양수분)를 사용하였다. 강우자료의 경우 GPM(Global Precipitation Measurement) 일강우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관측일 기준으로 5일전까지의 강우자료와 5일평균강우를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LANDSAT 기반의 토양수분 이미지자료와 지점관측 토양수분을 이용하여 검·보정 이후 딥러닝 모형의 입력자료로 사용하였다. 입력자료는 30m × 30m 해상도로 Resample 하여 딥러닝 모형의 학습을 진행하였으며, 학습에 사용된 모형을 이용하여 Sentinel-1 기반의 고해상도(10m × 10m) 토양수분이미지를 산정하였다. 검증지점은 거창군 거창읍, 계룡시 두마면, 장수군 장수읍 및 무주군 무주읍 토양수분 관측지점을 선정하였다. 거창군 거창읍의 산정결과, LANDSAT 기반의 토양수분 이미지와 DNN 기반의 토양수분 이미지가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모의값(DNN 기반 토양수분)이 실측값(LANDSAT 기반의 토양수분)을 잘 반영한 것(R: 0.875 ; RMSE: 0.013)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모형을 토지피복이 유사한 지역에 적용하여 토양수분을 산정한 결과 검증지점 계룡시(R: 0.897 ; RMSE: 0.014), 장수군(R: 0.770 ; RMSE: 0.024) 및 무주군(R: 0.909 ; RMSE: 0.012)의 모의값이 실측값과 매우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Seninel-1 SAR센서 이미지자료와 딥러닝기법을 연계한 고해상도 토양수분자료가 농업, 수문,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hange of Economic Geography in Yeo-ju(여주, 驪州) - Focusing on land utilization, living condition of inhabitants and change of living space - (여주의(驪州) 경제지리 변화 - 토지이용, 주민생활 실태, 생활공간의 입지 변화를 중심으로 -)

  • 손용택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7 no.2
    • /
    • pp.283-296
    • /
    • 2004
  • This study aims at explaining locality of living space which is changing drastically by exploring change of land utilization, living space and condition in Yeo-ju, an agricultural area around Seoul.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Agricultural land utilization tends to decrease, while civic land utilization tends to increase. 2. Change of living space due to transportation development is remarkable. Big ferry town (Yeoju-town) grew to a city, while small ferry town fell away. 3. In villages on slow urbanization, houses or lands are deserted. 4. In villages, there has been increasing number of recreational farm for urbanite. 5. In 80% of villages,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number of part-time farmers. 6. Most serious social problem in Yeo-ju is incompetence in agricultural activity after UR. In sum, Yeoju is now an area where the pace of urbanization is very tardy. However, this area, as an changeable area just before speedy urbanization, is expected to be urbanized drastically on condition that transportation develop. When plans suitable for this town are set up, Yeoju is expected to be a comfortable city.

  • PDF

Evalu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teorological Drought and Agricultural Drought of Geum River Basin During 2014~2016 (금강유역 2014~2016년 기상학적 가뭄과 농업가뭄간의 상관성 평가)

  • Lee, Ji Wan;Kim, Kyoung-Ho;Kim, Sehoon;Woo, Soyoung;Kim, Seong Joo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1 no.spc
    • /
    • pp.80-89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PI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meteorological drought and RDI (Reservoir Drought Index) agricultural drought for Geum river basin. Drought Indices was calculated by collecting data of precipitation and agricultural reservoir water storage rate from 2014 to 2016. To evaluated the correlation between meteorological and agricultural drought, the Pearson correlation and the Receiver Operation Characteristic (ROC) analysi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meteorological and agricultural droughts. The SPI-6 and RDI showed the highest relationship with Pearson coefficient 0.606 and ROC hit rates 0.722 respectively, and the spatial occurrence patterns of drought using overlapped SPI-6 and RDI, the big differences between the 2 indices were occurred in the upstream areas of Miho stream and Nonsan stream from August to October 2015. The analysis using reservoirs specifications for areas where reservoir droughts occurred was conducted, and the areas showing severe drought of RDI were the reservoir areas having relatively small value of basin magnifying power (BMP). This means that a reservoir has the reaction capability for agricultural drought mainly depending on the reservoir BMP.

A Study on Traditional Darangyi-Rice Terrace as Design Factors of Agricultural Landscape (농업경관의 디자인적 요소인 전통다랑논 조사연구)

  • Son, Ho-Gi;Kim, Sang-Bum;Kim, Eun-Ja;Rhee, Sang-Yo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29 no.1
    • /
    • pp.157-165
    • /
    • 2011
  • This study is to be used as a fundamental material of rural amenity resources researches, such as excavating, establishing and modifying national agricultural landscape resources, so as to efficiently manage them. It is carried out with targeting traditional Darangyi-Rice terrace which has design factors of agricultural landscape resources. We have set up the standard range with practicable similar standard(Marginal Farmland and Less Favored Areas and etc), those of Japan, a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Darangyi-Rice terrace already known. As a result of the field investigation, it has been revealed that a great deal of Darangyi-Rice terrace are being used for not corresponding purposes, or damaged and disappeared. For preserving and well-managing Darangyi-Rice terrace as a rural landscape resource which has rural design factors, it should be advanced detailed and accurate studies on present conditions and changes of Darangyi-Rice terrace, with researches on significances, values, utilities and economical efficiency of Darangyi-Rice terrace by regions. In addition, we utilized various spatial imagery data in the researching process. Consequently, it is concluded that if high resolution imagery data is used, it can establish rather minute and accurate large-scale DB, and monitor elaborate changes as well. It is therefore thought that its application can be higher as actualizing DB hereaf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