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어촌지역개발

Search Result 13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Developmental Study on Biological Curriculum and Teaching Materials for General High Schools in Kangwon Rural Areas (농어촌 지역 인문계 고등학교 생물 교육과정의 연구 및 개발)

  • Cho, Hee-Hy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12 no.2
    • /
    • pp.1-18
    • /
    • 1992
  • The curriculum especially in Korea plays a crucial role in developing instructional materials. It serves as a criterion for selecting and organizing content of teaching materials. Therefore, the validity of a curriculum can be justified through testing effectiveness of an instructional material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curriculum. This paper presents an instructional method and material developed based on the current tendency of educational thoughts that emphasize STS and students - centered teaching strategies in science education. The instructional material was organized around the concept and its subconcept of "nutrition" as presented in the high school biology textbooks now in use in the nation as well as in a few world-wide countries. It was also organized by the use of biological events and phenomena which high school students in rural areas can easily encounter through their everyday lives. The significant findings in this study are : ${\circ}$ The achievement levels in experimental groups were higher than one in controlled groups. ${\circ}$ The students as well as the teachers involved in this study showed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instructional method developed in the process of this study. ${\circ}$ The greater part of the students among the controlled groups hoped that biology would be taught by this kind of teaching procedure and materials.

  • PDF

Emergency Action Plan Index of Saemangeum Lake Using Flood Characteristics (홍수특성을 이용한 새만금호 비상대처계획 지표개발)

  • Kim, Dong Joo;Maeng, Seung Jin;Lee, Seung Wook;Kim, Hyung S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22-422
    • /
    • 2018
  • 우리나라의 간척사업은 고려시대 중엽부터 서남해안에 다수 산재되어 있는 천혜적인 간척 적지를 대상으로 지속적으로 추진되어 국토확장 및 식량 자급달성에 기여하여 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쌀 수급 등 농업정책의 변화, 비용에 대한 경제성 평가의 변화, 개발과 보전에 관한 이해당사자간의 대립 등으로 신규 간척사업의 추진이 어려워지고 기존 간척지의 토지이용 목적 변화와 이치수 기능개선을 목적으로 배수갑문을 확장하는 등의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방조제 상류지역 및 지천에서 이상홍수 유입에 따른 방조제 안정성 검토를 실시하였다. 호내로 유입되는 빈도별 홍수량에 따른 각 지점별 수위변화를 이용하여 방조제 비상대처계획에 대한 재난관리 지표로 활용할 수 있는지를 확인한다. 이를 위해 선정된 방조제를 중심으로 빈도별 홍수량을 산정하여 수문학적 안정성을 검토하고, 빈도별 홍수량에 따른 호내의 홍수위 변화를 통하여 비상대처계획 시나리오를 구성하고자 한다. 새만금 유역의 수치모델링에 필요한 범위를 설정하고, 모델 구성 및 자료를 입력한 후 검 보정을 통하여 모델의 신뢰성을 검증한 후 모델운영 조건을 설정하였다. 새만금 종합개발계획(MP)이 완료되었을 경우를 가정하여 통합운영을 실시하였다. 호내 관리수위에 따른 100, 200, 500, PMF 홍수량 유입시에 호내 홍수위 모의를 수행하였다. 또한, 비상단계 중 초기단계인 '관심단계'를 "이상홍수 발생부터 관리수위 EL-1.5m까지"로 설정한다면 방조제 초기 재난대응이 유리해 질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주의단계'는 "관리수위 EL-1.5m부터 호내 관리홍수위 EL+1.5m까지"로 '경계단계'를 "호내 관리홍수위 EL+1.5m부터 제당 내측사석보호공 홍수위까지", '심각단계'를 "제당 내측사석보호공(만경유역 EL+4.5m, 동진유역 EL+2.5m) 이상의 홍수위"로 설정한다면 방조제 관리자에게 세부화된 정보 및 지표를 제공해 줄 것이라 판단된다. 방조제 비상상황 단계별 분류에서 이상홍수위 발생후의 시간을 수치모의를 통해 구분하였으며 정성적인 위기상황 판단이 아닌 구체적인 수치로 된 지표들을 방조제 위기상황 재난지표로 활용한다면 상황 관리자의 위기상황 판단과 대처를 위한 의사결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Structure and Physical Properties of Earth Crust Material in the Middle of Korean Peninsula(4) : Development Status of Groundwater and Geological Characteristics in Chungnam Province (한반도 중부권 지각물질의 구조와 물성연구(4) : 충남도 지하수 개발 현황과 지질특성)

  • 송무영;신은선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4 no.2
    • /
    • pp.153-168
    • /
    • 1994
  • The status of groundwater development in Chungnam was studied with geolog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measured data of Korean Rural Development Corporation. The data of 212 survey wells were used for the relation between catchment area and water discharge, and the data of 344 development wells for the relationships between well depth and discharge, between casing depth and discharge, between rock type and discharge, and the relation with lineaments densit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tchment area and discharge does not show any special trend, and it is understood that groundwater of hard rock mass is not so much influenced by the surface catchment area. The relationship between well depth and discharge shows two different trends; discharge increasing with depth for alluvial groundwater, but no certain trend between depth and discharge for groundwater of hard rock zone. Discharge increases linearly with the casing depth, and it is reliable because the casing was installed in the weathered zone against well destruction. Generally the rock type does not show any difference of discharge, but the crystalline rocks such as granite and gneiss yield a little more discharge than the more porous rocks such as sedimentary rock or schist. It suggests that the effect of fracture zone is a major governing factor. In Hongsong and Puyo, there are similar in rock type and casing depth, but the big difference in average discharge. The big discharge of Hongsong is concordant with the higher intersection density and longer length of lineament in Hongsong than those of Puyo. Therefore the groundwater development strategy should be focused on the micro topography analysis and geophysical survey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fracture zone rather than catchment area or rock type.

  • PDF

Development of Database Management System for Agriculture Facilities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를 이용한 농업시설물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 개발)

  • An, Won-Tae;Choi, Seok-Ke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2 no.4
    • /
    • pp.570-579
    • /
    • 2021
  • The environments in current farming and fishing communities have been exacerbated by the shortage of personnel caused by aging, the deficiency of equipment, and the decrease in produce prices. To help solve these issues,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y, such as inspections, failures, and repairs, by constructing a database for underground water wells, pumping stations, and irrigation, which are critical for management among agriculture production infrastructure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underground water wells, their optimal locations were determined using spatial information, such as a geological map of water resources, a water vein map, and underwater depth, because indiscreet installations and an absence of spatial information resulted in economic losse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Therefore, this study could efficiently manage many facilities scattered in rural areas by developing a system. An analysis of the status of 14 underground water wells using spatial information showed that the location information at six points was specified incorrectly. On the other hand, a site investigation showed that the water vein map analysis at one point was inaccurate.

Development of a reuse system for agricultural purpose with wastewater in Youljung, Jeju Island (제주 월정 농업용수재이용시스템 개발)

  • Lee, Kwang-Ya;Kim, Hae-Do;Joo, Jin-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70-470
    • /
    • 2011
  • 환경부 하수재이용사업은 2007년도 하수도법 개정을 통해 공공하수처리시설 처리수의 재이용 의무화를 시작으로 2010년도 "물의 재이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의 시행으로 전국적으로 사업이 확대되고 있다. 제주도 월정하수처리장은 2009년도 하수재이용사업지구로 선정이 되어 2010년도부터 농업용목적의 재이용으로 구체적인 설계와 시공이 추진되고 있는 사업지구이다. 제주도에서는 지하수보존을 위해 대체수자원 개발 방안을 시급히 마련중에 있다. 특히, 제주도 농업용수 종합계획수립(제주도, 2004)에는 하수처리수를 농업용수로 이용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할 정도로 지하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진행중에 있으며, 그 일환으로 하수재이용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하수처리수의 농업용수 재이용은 사용된 물을 재이용함으로써 물과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유역 또는 해양으로 배출되는 오염원을 억제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농산물 생육에 직접 영향을 줄뿐만 아니라 주변의 수질 생태 토양 환경 및 영농인의 보건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장기적인 관찰과 검증작업이 필요하다. 이 에 서울대와 한국농어촌공사는 안전한 농업용수 재이용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장기간 현장시험을 통해 재이용 재배기술과 함께 보건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고 그 개발기술을 월정사업지구에 적용하게 되었다. 월정하수처리장이 위치한 제주 동부의 월정지역은 농지면적이 밭(374ha)과 과수(12ha)등 제주도의 전형적인 농촌마을으로 주요 재배작물은 마늘과 당근, 쪽파, 콩 등으로서 농업기반시설의 미비로 영농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으며, 2006년도에 발생한 가뭄으로 그 해 평균 수학량의 30%가 감소된 바 있는 지역이다. 제주도 농업용수 종합계획수립(2004, 제주도)에서는 10년에 한발을 기준 으로 $43,000m^3$/일의 용수가 부족할 것으로 분석하였으며 최근 $35,000m^3$/day 규모의 상수도 확보사업 계획 수립하였으나 여전히 농업용수가 부족하다. 방류수의 수질은 방류수수질기준을 만족하지만 염분함량이 높아 직접 농업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적당하기 않고, 농업용재이용방류수 수질기준에 맞도록 재이용시스템을 통해 재처리하여 농업용수로 사용해야 한다. 제주도에서는 이미 제주 서부하수처리장 농업용수 재이용사업(이하 판포재이용사업)'이 완료되어 재이용수를 농업용수로 공급하고 있으며 향후 지속적으로 하수재이용사업이 확대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Awareness and a Method to Popularize Korean Traditional Sweets (한과류의 인지도와 대중화 방안에 관한 연구)

  • Kim, Sun-Kyung;Jang, Sun-Ok
    • Culinary science and hospitality research
    • /
    • v.22 no.7
    • /
    • pp.58-71
    • /
    • 2016
  • This study aimed to gauge the public awareness of the cultural value and superiority of Korean traditional sweets. Furthermore, it evaluated the obstacles that the Korean traditional sweet industry faces in the modern society, and a method to popularize it. It also analyzed the awareness of Korean traditional sweets. Both male and female study subjects showed the highest awareness of yakgwa and the lowest of chasugwa. Female respondents showed significantly (p<0.05~p<0.001) higher awareness of Osaekdasik, Hukimjadasik, Bellflower-junggwa, and Genseng-junggwa than male respondents. Maejakgwa, Osaekdasik, Rice-dasik, and Hukimjada- sik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wareness by the area survey respondents originated. Contrarily, Walnut-gangjung had significantly (p<0.001) higher awareness in rural areas than in more urban areas (e.g., large cities and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Both male and female respondents answered (OR indicated) that the obstacles facing the Korean traditional sweet industry are uncommon products and expensive price. Both male and female respondents said that they had Korean traditional sweets less because it was harder to purchase than western sweets (due to limited access to these sweets), less delicious, and too expensive. Both male and female respondenst suggested that the urgent tasks to popularize the Korean traditional sweets were diversification in shape and ingredient, developing various new flavors, and cheaper products. Both male and female respondents responded that product diversification and strengthened marketing were urgent tasks to industrialize Korean traditional sweets. Therefore, it was believed that failure in generalization was the urgent problem of the Korean traditional sweet industry, and that Korean traditional sweets were harder to purchase because of lower accessibility than western sweets. To popularize Korean traditional sweets, it may be necessary to develop sweets in various shapes and ingredients, flavors suiTable to modern people, become cheaper in price, and have fancier (OR better) packaging.

Survey of Farmers' Perception and Behavior for Agricultural water Saving in Pohang and Yeongdeok Areas (포항·영덕지역 농업인 물절약 의식 및 행동 설문조사)

  • Lee, Seul Gi;Kim, Sang Hyun;Cho, Gun Ho;Choi, Kyung 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401-401
    • /
    • 2020
  •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해마다 가뭄과 홍수 등의 피해가 큰 실정이다. 특히 가뭄으로 인한 피해는 농업분야와 직결되어 있으며, 미래식량과 물안보에 영향을 미친다. 최근에는 국내 물관리일원화 정책에 따른 통합물관리 시행으로 수요관리에 의한 물이용 효율성이 물관리 기본원칙으로 포함되어 있어, 농업용수 분야의 물절약 필요성과 중요성은 더욱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농업농촌부문 가뭄대응 종합대책의 일환으로 2016년부터 농업용수 이용자 측면에서 물절약 실천을 유도하기 위한 물절약 교육 모델의 개발과 농업인 대상 시범교육이 실시되고 있으나 일부 지역에만 단발성 사업으로 제한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물절약 교육 및 홍보사업을 보다 체계적이고 광법위하게 적용하여 농업 현장에서의 가시적인 물절약 성과를 도출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이에 대한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물절약 교육 콘텐트 개발 및 현장 교육에 반영하기 위하여 농업인 대상 물절약 의식과 행동실천 여부에 대해 조사를 실시해 보았다. 포항 및 영덕지역의 한국농어촌공사 관할지구 내 농업용수 이용자 중 수리시설감시원(이하 '수감원') 100여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로 파악해 보았다. 설문에 참여한 수감원들은 대부분 65세 이상의 고령으로 농업에 오랜 기간 종사한 경험의 소유자로서 소규모 농업경영이 주를 이루었다. 대부분 농사기간동안 물부족 경험이 있었으며, 모내기 및 벼생육기 강우조건에 따라 물부족을 경험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로 인해 설문 참여자들의 물절약 필요성에 대해서는 높은 공감대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농업인 대상 물절약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 매우 높은 공감대를 나타내었다. 농업인의 물과다 사용 및 물꼬관리 부실 등 필지단위 물관리 부실에 대해서도 상당히 인정하는 편이었으며, 이러한 농업인의 관행적인 물관리 행태에 대해서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수리계조직 부활을 통한 농업인 물관리 직접 참여 등의 대안이 필요하다는 의견에 대해서도 긍정적이었다. 또한 농업인 용수이용에 대한 비용 부담에 대해서도 다소 긍정적인 의견도 제시되었다. 본 연구 결과로 농업인의 적극적인 물관리 및 물절약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실현가능한 관련 제도 마련의 필요성과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물절약 교육 및 홍보 정책 추진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 PDF

Possibility of continuous flood modeling by ONE model (ONE 모형에 의한 연속 홍수모의의 가능성)

  • Noh, Jaekyoung;Lee, Jae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1-41
    • /
    • 2022
  • 홍수는 단기간의 사상이다. 평상시 유량은 일단위로 연속유량이라 한다. 홍수해석은 사상 모형을 이용하고, 물 이용의 용수계획에서는 연속 모형에 의한다. 평상시 유량을 홍수처럼 10분, 30분, 60분 단위로 해석할 수 있으면 여러 가지로 편리하다. 홍수기에는 홍수와 이수를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평상시에는 수문자료가 생성되는 기본단위가 10분, 60분이기 때문에 이와 일치하여 유량을 해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저수지에서는 운영자료가 저수율 자료만 관리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면, 연속 홍수모의의 필요성은 매우 높다. 다목적댐도 그 편의성은 말로 형용할 수 없는 수준이다. 홍수모의는 첨두유량도 중요하고, 전체 누적유량도 중요하다. 여기서는 당초 일 단위로 개발된 ONE 모형으로 연속 홍수모의의 가능성을 타진했다. 모형의 검증은 홍수사상 마다 훨씬 긴 장기간의 댐의 유입량, 저수량 오차로 실시했다. 유입량이 누적되면 저수량이 되기 때문에 저수량을 비교하면 확실한 검증 방법이 된다. 유역면적 930.0km2, 총저수량 8억1,500만m3인 용담댐과 유역면적 218.80km2, 유효저수량 3,498만m3인 탑정지를 대상으로 60단위의 장기간 연속 홍수모의 결과를 제시한다. 첫째, 용담댐에 대해 2020년 3월1일부터 6월30일까지 연속유입량을 모의한 결과(ONE모형 매개변수 α=3.18), 면적우량은 최대 12.5mm, 총 371.2mm(3억4,522만m3)였고, 유입량은 최대 1,363.0m3/s, 총 1억8,326만m3로 유출률 53.1%였다, 관측 유입량은 최대 766.1m3/s, 총 2억9,152만m3로 유출률 84.4%로 나타났다. 관측 유입량이 높은 것으로 평가했는데 그 이유는 산정된 유입량이 넓은 수면적에서 오는 음유입량이 발생하는데 이를 0으로 처리하고, 음의 누적 값이 전체유량에 더해지는 계산의 한계에서 비롯한다. 이는 현실적 제한이며, 개선이 필요하다. 댐 수위로 검증한 결과는 관측수위는 EL.257.97~262.92m, 평균 EL.260.40m, 모의수위는 EL.257.22~262.88m, 평균 EL.260.02m로 나타났고, RMSE는 0.174, NSE는 0.959, R2는 0.968로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둘째, 탑정지에 대해 2020년 3월1일부터 6월30일까지 연속유입량을 모의한 결과(ONE모형 매개변수 α=3.18), 면적우량은 최대 18.5mm, 총 311.4mm(6,813만m3)였고, 유입량은 최대 187.8m3/s, 총 3,691만m3로 유출률 54.2%였다. 저수지 수위로 검증한 결과 관측수위는 EL.26.55~29.79m, 평균 EL.29.01m, 모의수위는 EL.26.16~29.92m, 평균 EL.29.07m로 나타났고, RMSE는 0.563, NSE는 0.877, R2는 0.943로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정리하면 2020년 4개월의 장기간 용담댐과 탑정지에 대한 1시간 간격의 연속 홍수모의의 결과는 그 활용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말하고 있다. 이 결과로부터 평상시 댐과 저수지의 실시간 운영자료 검증 및 생산체제의 수문관측업무에 활용 가능한 것으로 평가했다.

  • PDF

A Practical Research for Mode Efficient Utilization of Estuary Reserviors in the South-Western Part of Korea (우리나라 서남부지역 담수호의 효율적 이용방안)

  • Kim, Hyeon-Yeong;Seo, Yeong-J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1 no.4
    • /
    • pp.385-396
    • /
    • 1998
  • The south-western part of Korea is situated in an unbalance of water supply and demand relating to the Keum, Mankyung, Dongjin and Youngsan River and their estuary reservoirs. For example, the Keum River estuary reservoir is discharging the larger amount of yearly runoff into the sea due to the small storage capacity, while Saemankeum estuary reservoir which is under construction, has the smaller runoff comparing with its strorage capacity. And the downstream area of the Youngsan River, such as Youngkwang, Youngam are deficient in water due to larger demand and smaller supp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 unbalanced water supply and demand and also to improve the water use effciency, the Hierarchical Operation Model for Multi-reservoir System(HOMMS) has been developed and applied to analyze the multi-reservoir operation assuming that the above reservoirs were linked each other.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2,148{\times}106\;\textrm{m}^3$ of annual additional water requirement for agricultural and rural water demands are required in this region at 2011 of target year, and these demands can be resolved by diverting and reusing $1,913{\times}106\;\textrm{m}^3$ of the released water from the estuary reservoirs into the sea.

  • PDF

A Exploratory Study on the Plan to Foster the Horse Industry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Cultural Contents (지역문화 콘텐츠 개발을 위한 마산업 육성 방안에 관한 연구)

  • Kim, Mi-Kyung;Kim, Kwan-Seok;Park, Gum-R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1
    • /
    • pp.240-249
    • /
    • 2022
  • With the tourism industry stagnating due to the recent COVID-19 virus issue, the importance of preparing a plan to resume and revitalize the tourism industry after the end of the COVID-19 is being emphasized. In particular, this researcher paid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horse industry as it can contribute to the differentiation of services as it is an experience-oriented tourism, and it can be said to be a field with a high potentia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future. However, in the domestic horse industry, legal problems related to installation, industrial structural problems organized around horse racing, and demand-based problems were scattered. Therefore, this researcher suggested a way to improve these problems,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and lead the horse industry to increase the income of rural residents. As a representative example, a legal improvement plan for the expansion and growth of equestrian facilities was presented, and a strategic incubating infrastructure construction plan was presented to support horse industry workers to nurture the horse industry as the 6th industry on their own. This movement will lead to qualitative growth through the conversion of the horse industry into local cultural contents, and not only to expand the base of public demand for the horse industry, but also to maximize the creation of added value through diversification of the horse industry, leading to qualitative growth of the horse industry.